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주어와 술어] ( Subjekt und Prädikat )

일반적으로 판단(또는 명제)은 'S는 P이다'라는 형태로 제시되는 주어 S와 술어 P의 계사(='이다')에 의한 결합의 형식(구문론적 구조)을 지닌다. 그리고 그 경우에 예를 들면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라는 판단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통 주어는 개체적 대상을 나타내고(지시하고), 술어는 이 대상을 일정한 보편적 개념하에 속하게 하는(이 대상을 어떤 일반원리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으로 각자의 의미론적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헤겔 역시 주어는 가장 직접적으로는 개별자('개념'의 한 계기로서의 '개별성')를 나타내고 술어는 보편적인 규정성('보편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표준적 견해로부터 그렇게 벗어나 있지 않다[『논리의 학』 6. 306f.참조].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그는 첫째, 일반적으로 판단에 의한 술어화는 "머리 바깥에 자존하는 대상에 대해서 머리 안에 있는 이런 저런 술어를 부가하는"[같은 책 6. 304] 주관적인 표상에서의 조작이 아니라 오히려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이 그 자신의 존재에서 "구별화와 규정성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되는[같은 책 6. 307] 사태 그 자체에서의 현실적인 규정의 진전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해를 채택함으로써 헤겔이 의도하고 있는 것은 사태가 판단작용(더 나아가서는 인식 전반)의 도달범위를 초월하여 그 피안에 있는 '사물 자체'적인 존재에 빠져든다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같은 곳 참조].

둘째, 헤겔은 이상과 같은 규정의 진전이 구체적으로는 (1) 주어에 의해서 표시된 개별자가 그 자신에서 술어에 의해서 표시된 보편자 속으로 '자기 내 반성'함과 동시에, (2) 역으로 또한 보편자가 개별자로 자기를 외화한다는 개별자와 보편자 간의 상호적인 회귀 운동으로서 생기한다고 주장한다. "개별자는 판단에 의해서 보편성으로 고양되며, 역으로 또한 단지 즉자적[=잠재적]인 데 불과한 보편자는 개별자라는 형태로 현존재로 끌어내려진다"[같은 책 6. 307].

일반적으로 주어에 의해서 표시되는 개별자와 술어에 의해서 표시되는 보편자의 관계가 보통 말해지듯이 단지 전자가 후자의 '사례(instance, example)'로 된다-소크라테스가 인간이라는 보편자의 하나의 사례라는 식으로-는 정태적인 사태에서 다 마무리된다고 한다면[Strawson (1974) 참조], 이러한 헤겔의 주장은 상당히 특이한 것으로 비쳐진다. 그러나 이 경우 이러한 소크라테스와 인간 사이에서 보이는 개별자와 보편자 간의 관계는 헤겔에게 있어서 단지 위와 같은 〈보편자의 사례화〉와 같은 특징 없고 추상적인 관계로서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관점에 따라서 예를 들면 종으로서의 인간='본질'과 개체로서의 소크라테스='현실존재' 간의 관계로서 이해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그에 따르면 판단에서의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관계는 가장 기본적으로는 이러한 '본질-현실존재'의 관계로서, 또는 '실체-우유성'의 관계로서(이 경우는 개별자가 실체에, 보편자가 우유성에 상당한다) 파악되어야만 하는 것이지만[같은 책 6. 307, 313 참조], 그러나 동시에 바로 『논리의 학』의 '본질론'을 통해 전개되고 있는 대로 이러한 이원적으로 구성된 관계들에서는 그 한편의 항(예를 들면 '본질')은 〈시공을 넘어선 보편자〉, 또 한편의 항('현실존재')은 〈시공 내에서 실현된 개별자〉라는 방식으로 구별되며, 서로 대립하면서도 동시에 서로 타자를 통해서만 존립을 유지할 수 있는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서로 간에 외화-회귀의 운동을 반복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헤겔은 '본질론'에서 이미 다루어진 이러한 운동을 판단론 단계에서 다시 취급하면서 그것이 〈주어와 술어의 계사에 의한 결합〉이라는 판단의 형식에 의해서 표현되고 규정되는 것을 통해 그 근저에 좀더 기초적인 동일성-계사에 의해서 표시되는-이 생성하게 되는 사정을 서술하고자 한다고 말할 수 있다(또한 이러한 서술의 진전에 수반하여 주어는 개별성을 나타내고 술어는 보편성을 나타내는 위와 같은 관계도 이미 고정된 것이 아니게 되고, 오히려 주어와 술어 모두가 '개념'의 세 계기의 각각을 차례차례 표시해 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일성의 생성은 사실 판단론 그 자체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개념의 동일성을 정립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에 다름 아니며, 이런 의미에서 주어와 술어 및 계사에 관한 헤겔의 논의는 그의 논리학의 전반적 구성에 근거하여 이해되어야만 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카모토 겐고()

[네이버 지식백과] 주어와 술어 [主語-術語, Subjekt und Prädikat] (헤겔사전, 2009. 1. 8., 가토 히사다케, 구보 요이치, 고즈 구니오, 다카야마 마모루, 다키구치 기요에이, 야마구치 세이이치, 이신철)

■ 인접어

주관적 관념론
주관주의
주권
주기론
주리론
주어와 술어
주어와 술어
주연
주염계
주의설
주인과 노예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