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자연종교2] (natürliche Religion , Naturreligion)

자연종교란 인간이 직접적 상태에 있을 때의 종교의식이다. "신은 자연적인 것으로서 정립되며, 의식은 자연적 규정성에 사로잡혀 있다"[『종교철학』 16. 274]. 그러나 이 자연의 폭력에 대한 공포의 극복은 "정신적인 것이 자연을 지배하는 힘"이기도 하다[같은 책 16. 278]. 거기서는 인간의 누군가가 자신의 자연적 의지만으로 자연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고 간주된다. 이러한 주술이 객관화되어 주물숭배로 되고 나아가 모든 자연적 사물을 포괄하는 신의 힘으로서 생각되면 자연과 주관이 구별되고 자연의 종교가 나타난다.

헤겔에 따르면 이 단계의 최후에 만물의 감성적 표상에 기초를 두는 중국의 종교가 있다. 그 본질은 하늘이며, 하늘의 나타남이 도량이다. 이것을 지상에서 지배하는 유일한 자가 황제이다. 전일자로서의 이 원리가 한 사람의 개별적 인격에서가 아니라 모든 순수사유에서 전개되었을 때 인도의 종교가 된다. 나아가 이 원리가 자기 내에서 추상화되어 무로 되고 그것과 인간이 일체로 되었을 때 불교의 열반의 경지에 도달한다. 불교에서 궁극 원리가 자기 외부로부터 차단된 데 반해, 페르시아 종교에서는 이 원리가 세계의 힘으로서, 세계의 목적으로서 발현한다.

그것은 세계의 목적으로서의 선이며, 세계의 힘으로서의 빛이다. 이 빛이 모두를 개시하고 생명과 발전에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페르시아의 종교는 빛의 종교라고도 불린다. 이때 종교의식은 자연종교로부터 벗어나며, 자유의 종교로의 이행이 시작된다.

-핫타 다카시()

[네이버 지식백과] 자연종교 [自然宗敎, natürliche Religion, Naturreligion] (헤겔사전, 2009. 1. 8., 가토 히사다케, 구보 요이치, 고즈 구니오, 다카야마 마모루, 다키구치 기요에이, 야마구치 세이이치, 이신철)

■ 인접어

자연사
자연성장적 유물론
자연의 균일성
자연의 빛
자연종교
자연종교2
자연주의
자연주의적 허위
자연철학
자연철학2
자연학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