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실천2] (Praxis)

헤겔에서 '실천'이라는 용어는 실재적 세계에 무언가의 변혁을 초래하는 일이라는 점을 큰 틀로 하여 기본적으로 적어도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객관에 대한 주관의 두 가지 정반대의 관계방식으로서 '이론(Theorie)'과 나란히 거론되어 '이론'과 마찬가지로 일면적인 존재방식으로서 좀더 고차적인 통일형태(즉 '이념')를 향해 폐기되어야만 하는 것으로서 생각되는 경우의 그것이다. 또 하나는 특히 '자유'와 '의지'와의 관계에서 (즉 목적의 정립이 오로지 행위와 결합되는 것이라는 것을 논의의 전제로 하여) 주체의 자율적인 목적정립, 즉 무언가 다른 것으로부터가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부터 자신을 한정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실천철학에서의 헤겔과 칸트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의 차이로 인해 단순한 대응은 가능하지 않지만, 여기에 칸트의 '기술적-실천적(technisch-praktisch)'과 '도덕적-실천적'의 구별[『판단력 비판』 서론 Ⅰ 등]의 영향이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 첫 번째 의미의 '실천'에서 '실천' 주체는 '이론(Theoria, 관조)'의 경우와 같이 대상을 자립적 · 불가침한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은 채, 이것을 오로지 유용성의 관점에서 조망하여 가공 · 소비하고, 말하자면 어부지리를 얻기 위해 자연의 구성원을 서로 관계시켜 싸움시키면서 그것을 통해 이 상극 외부에 보존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자세는 목적이 감성적 욕구에 여전히 맡겨져 있고 그것과 연관하여 대상이 그것 자신에서보다도 일면적으로 단지 주관적 요구의 면으로부터만 파악되고 있다는 한계성을 지니며, 이러한 한계의 극복을 위해 '이론'과의 통일을 기다려야만 한다[『미학』 13. 153-155; 『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245, 246절]. 두 번째 의미의 '실천', 요컨대 목적정립의 자율성 또는 의지의 자유의 것은 칸트의 '도덕성'론에 대한 비판을 발판으로 하여 '의지', '법', '국가' 등, 법철학의 문제로서 전개되어간다[4. 57-65].

-마쓰모토 마사오()

[네이버 지식백과] 실천 [實踐, Praxis] (헤겔사전, 2009. 1. 8., 가토 히사다케, 구보 요이치, 고즈 구니오, 다카야마 마모루, 다키구치 기요에이, 야마구치 세이이치, 이신철)

■ 인접어

실증적
실증주의
실증철학
실질적 합리성
실천
실천2
실천론
실천이성
실천이성의 요청
실천철학
실체(성) · 속성 · 우유성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