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신비주의2] (Mystizismus , Mystik)

이를테면 감각적인 세계에 등을 돌림으로써 초감각적인 신적 존재를 체험한다든지 그것과 합일할 것을 추구하는 입장. 이러한 광명존재와 자기가 하나라고 아는 점, 따라서 이 존재가 자기에게 개시되어 있다는 점에서 신비적인 것이 성립한다[『정신현상학』 3. 526].

이러한 입장의, 아직 사상으로까지 발전되어 있지 않지만 정신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의 직접적 통일에 기초하는 원초적이고 상징적인 의례형태인 밀의(Mysterien)에서는 영혼이 정화를 통해 하나의 목적으로 고양되는 반면, 한층 더 추상적이고 자립적으로 고찰됨으로써 영혼의 불사라는 표상이 나온다[『종교철학』 17. 151].

헤겔에 따르면 전일적인 것으로서의 실체가 일정한 현상을 생성시켜 생기 있게 하는 혼으로서 그것들의 현상에 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긍정적으로 보여 이해되는 곳에서 생긴 범신론적 예술은 인도에서 발원하여 마호메트교와 그 신비적 예술에서 완성되며, 기독교 신비주의의 몇 가지 현상들에서 한층 더 심화된 주관성을 가지고 재현된다[『미학』 13. 416]. 즉 자기가 신적 존재와 합일하고 있다고 느끼고, 그 주관적 의식 속에서 신적 존재의 현존을 느끼는 주관 측에 중점을 두는 형태로 범신론적 통일이 강조되는 곳에서 헤겔은 신비주의의 전개를 보았다[같은 책 13. 478].

청년기 헤겔에게는 경건주의적 신비주의의 영향이 있으며, 예를 들어 예나 시기의 단편 「신적인 삼각형에 관하여」가 보여주듯이 그의 철학체계의 3부문 구성에는 기독교적 삼위일체론이 독일 신비주의의 계보를 통해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적인 것에 대한 신앙은 믿는 자 자신 속에 신적인 것이 있는 것에서 비로소 가능해진다"[『기독교의 정신』 1. 382]고 하는 발상에서는 신의 초월성보다도 내재성이 문제이며, 그런 점에서 신비주의적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청년기에 신비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것이 곧 그의 사상적 입장이 신비주의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구노 아키라( )

[네이버 지식백과] 신비주의 [神秘主義, Mystizismus, Mystik] (헤겔사전, 2009. 1. 8., 가토 히사다케, 구보 요이치, 고즈 구니오, 다카야마 마모루, 다키구치 기요에이, 야마구치 세이이치, 이신철)

■ 인접어

신념
신뢰
신민회
신비
신비주의
신비주의2
신상神像
신성(성)神聖(性)
신성神性
신성동맹
신스콜라철학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