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식민지] (Kolonie)

경찰행정하에서 인구증가와 과잉생산으로 빈곤이 생기면 "일시적 해결수단"[『역사철학』 12. 287]으로서 식민지 건설에 대한 충동이 높아진다[『법철학』 248절]. 식민에는 (1) 식민자가 가족원리로 돌아가 농업을 경영하는 효과와 (2) 모국이 이곳을 새로운 시장으로 삼아 노동의욕을 낳는 효과가 있다. 그 종류로는 ① 생활 자료의 획득을 위해 식민자가 모국과 관계없이 행하는 산발적인 것(근대식민), ② 공민적 자유의 확보를 위해 국가가 독립식민지를 조직적으로 건설하는 것(고대 그리스와 로마)이 있다.

①의 경우, 독일인의 식민에는 (2)의 효과가 없으며, 지배와 착취욕에 의해서 가능했던 스페인 정복지와 선주민을 쫓아낼 수 있었던 영국 식민지는 본국에 정치적 · 경제적으로 종속된다. 이에 반해 선주민과의 혼혈은 그리스에서는 〈아름답고 자유로운 그리스적 정신〉을 낳았다[『역사철학』 12. 278]. 다른 민족과의 접촉은 인정을 요구하는 투쟁을 초래하지만, 신대륙의 선주민은 정신과 도구가 무력한 까닭에 패배했다. 또한 식민지 해방이야말로 본국에게 참된 이익이 된다.

-가미야마 노부히로()

[네이버 지식백과] 식민지 [植民地, Kolonie] (헤겔사전, 2009. 1. 8., 가토 히사다케, 구보 요이치, 고즈 구니오, 다카야마 마모루, 다키구치 기요에이, 야마구치 세이이치, 이신철)

■ 인접어

시제르
시행착오

식.
식물
식민지

신.
신2
신 존재의 증명
신간회 운동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