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다신교多神敎] (Polytheismus)

절대자가 자연의 힘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이성적 정신으로서 파악되는 경우, 우선 숭고한 것으로서 파악되고(숭고의 종교······ 유대교), 다음으로 이 정신이 특수화되고 분할되어 아름다운 개인들, 이상, 예술작품이라는 형태로 파악되며(미의 종교······ 그리스의 종교), 나아가 합목적성으로서 파악된다(합목적성의 종교······ 로마의 종교). 이리하여 그리스의 종교는 다신교(다신론)이다. 거기서는 자연과 생명의 현상들이 '신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이며, 더욱이 그 '신들'은 인간의 마음 안에서 영상화될 뿐만 아니라 눈앞에 구체적인 상으로서 현전되게 되었다[『종교철학』 17. 96f. 외; 『미학』 14. 89]. 그리스의 종교가 다신론이라는 것은 예술사 전개에서의 '고전적 예술'에 해당되는 그리스 예술(미술)의 원리에 본질적이다[같은 책 14. 88].

이러한 '정신적 개성의 종교'의 3단계는 이들에 선행한 '자연종교'의 3단계와 그 성격과 관련해서 평행적으로 유사한 면이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리스의 종교 및 인도의 종교와 관련하여 말하자면, 후자는 최초의 자기동일적 실체인 브라만에서 모든 것이 생겨나 유출된다고 하는 일원론적 범신론이며(헤겔은 인도의 종교를 일신교(Monotheismus 일신론)라고 보는 견해를 소개한 다음 이를 비판한다[『엔치클로페디(제3판) 정신철학』 573절]), 거기서는 모든 것이 의인화되어 신격화되고, 결국 다수의 다종다양한 신들이 상상되었다. 이런 면에서 인도의 종교는 다신교의 성격을 지니며, 그리스의 종교와 유사하다고 말한다.

-마스나리 다카시()

[네이버 지식백과] 다신교 [多神敎, Polytheismus] (헤겔사전, 2009. 1. 8., 가토 히사다케, 구보 요이치, 고즈 구니오, 다카야마 마모루, 다키구치 기요에이, 야마구치 세이이치, 이신철)

■ 인접어

니콜레
니힐리즘
다공성
다비드
다신교
다신교多神敎
다원론
다위니즘
다윈
다치 논리학
단군신화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