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지눌] (知訥)

1158~1210. 고려 신종(神宗) 때의 중. 속성은 정(鄭)씨. 호는 목우자(牧牛子). 시호는 불일 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 1182년 선과(禪科)에 합격하고 혜능(慧能)의『육조단경(六朝斷經)』을 읽어 깨우쳤으며, 이통현(李通玄)거사의 화엄론(華嚴論) 을 읽고 선ㆍ교의 같음을 깨달았다 한다. 지눌은 원효의 화쟁(和諍) 사상과 비교될 수 있는 회광반조(廻光返照)의 사상을 전개하였다. 반조의 논리란 부처의 보광명지(普光明智)와 중생의 깨우치지 못한 무명심(無明心)이 바로 동체(同體)임을 밝히는 논리로서,‘부처가 곧 마음이고 나의 마음이 곧 부처(佛卽是心, 自心是眞佛)’라는 것을 깨달아 회광반조(廻光返照)하여 자신의 본성을 알고 모든 논쟁이 쓸 데 없음을 밝히는 것이다. 회광반조의 논리는 기존의 이론을 고차적 관점에서 화해시키는 화쟁의 논리와는 달리 논쟁무용(論爭無用)의 근원을 밝히는 것이다. 지눌은 반조로써 불즉시심(佛卽是心)을 처음으로 깨우치는 것은 돈오(頓悟)에 의하지만 깨우친 뒤에는 점수(漸修)로써 계속 자기를 수양해야 한다는‘돈오점수' 사상을 주장하였다. 특히 ‘정혜쌍수(定慧双修)’는 깨우친 뒤의 수양하는 방법으로서 정은 선(禪)적인 수양방법, 혜는 교(敎)적인 수양방법으로서 양자를 같이 해야 한다고 하여 선과 교를 선(禪)의 입장에서 융합하려 한 독창적인 사상이다. 이것은 의천(義天)이 천태(天台)적인 교(敎)의 입장에서 선을 융합하려 한 입장과 대비된다. 지눌은 이러한 사상으로써 당시 문란해진 교단을 통합하여 조계종(曹溪宗)을 창도하였다. 저서에『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등이 있다.

■ 인접어


지知
지각
지각知覺
지구
지눌
지닌다
지레
지리적 유물론
지배
지성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