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원효 ] (元曉)

617~686. 신라의 중. 성은 설(薛). 원효는 법명이며 설총(薛聰)의 아버지. 진덕여왕 2년(648) 황룡사에 출가하였다. 의상(義湘)과 같이 당(唐)에 유학하려 했으나 고구려 순찰에 걸려 실패하고, 문무왕 1년 다시 유학하러 떠나던 중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렸다[一切唯心造]."는 것을 깨닫고 되돌아 왔다. 분황사(芬皇寺)에 거주하면서 통불교(通佛敎)를 주장하고 불교의 보급에 노력하였다. 무열왕의 딸 요석공주(瑤石公主)와 결혼하여 설총을 낳고, 파계를 자처, '무애(無碍)'의 정신으로 불교 대중화에 전력하였다. 불교사상의 종합과 대중 불교화의 대표적 사상가로서 화쟁(和諍)의 사상은 독자적사상이라 하겠다. 승랑(僧朗)의 삼론(三論), 원측의 유식사상을 포함한 모든 이설(異說)들을 화합하여 귀일시키는 화쟁의 논리는 원효사상의 가장 기본적인 정신이며, 장차 전개될 불교의 올바른 방향을 정립한 것이다.『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등의 저술은 만법귀일(萬法歸一), 만법귀진(萬法歸眞)으로서 "모든 강이 바다로 흘러가듯 모든 법도 불도(佛道)도 하나(一)로 귀일한다.[還歸一心]."는 사상을 보여준다. 원효는 이 하나를 일심(一心)이라 하였고, 일심은 이른바 제9식(第九識), 대승(大乘), 불성(佛性), 또는 열반(涅槃) 등으로 지칭되는 것으로 만물의 중핵[主樞]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십문화쟁론(十問和諍論)』에서 화쟁사상과 일치하는 것이다. 원효의 다른 저술로는『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범망경소(梵網經疏)』,『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등이 있고, 특히『대승기신론소』는 마명(馬鳴)의『대승기신론소』를 독창적으로 해석한 것으로『해동소(海東疏)』라고 불릴 만큼 탁월한 것이다.
■ 인접어

원죄
원죄2
원측
원칙
원환圓環
원효
원효
위기신학
위기의식
위너
위선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