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강화학파 江華學派] ()

조선 후기에 정제두(鄭齊斗)를 중심으로 강화 도에서 양명학(陽明學)을 공부하였던 유파를 일컫는 말이다 . 이들은 대개 정치적으로 소론 (少論)에 속하였다 . 강화도는 정제두가 거주하 며 자신과 가까이 지내던 사람들을 불러 모아 서 학문을 한 장소이므로 후에 강화학파로 불 리게 되었다 . ' 강화학파 ' 란 용어는 1988년에 민영규(閔泳珪)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정제두의 영향을 받은 이들은 주로 소론의 가계(家系)를 통해 이어져 이광사(李匡師) . 이 광려(李匡呂) 등의 전주 이씨 , 신대우(申大羽)

 

등의 평산 신씨 , 심육(沈銷) 등이 포함되었다. 대체로 정제두가 이해한 양명학은 심즉리(心卽理) , 치양지(致良知)의 양명설을 따르기는 하 나 , 이기(理氣)에 대해 체용(體用)의 형식으로 이해하는 등 , 양명 우파적인 성격을 띠어 주 자학에서 완전히 탈피한 양명 좌파와는 거리 가 있었다.

강화학파의 학문적 관심은 역사 , 정음(正音) , 시문(詩文)과 서예 등 다양하였다 . 이쾅사 는 『서결(書訣)』 등을 짓고 동국진체(東國眞體) 를 완성하였으며 , 이긍익(李肯翊)은 『연려실기 술(練藜室記述)』을 지어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신대우의 아들인 신작(申綽)은 경학 연구에 박 학하였는데 , 문장에서는 이지(李贄)의 영향을 받았으며 , 시문이나 민족의 역사 , 지방의 풍속 을 다룬 글을 지은 경우도 많았다 . 한말에 정 치사인 『당의통략(黨議通略)』을 저술한 이건창 (李建昌)도 강화학파의 일원이었으며 , 이는 정 인보(鄭寅普)에게 계승되었다 . 이 외에도 강화 학파의 사상은 신채호(申采浩)나 박은식(朴殷植) , 김택영(傲點흰 등 한말 민족주의 역사가

들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 好 정재훈

〔참고문헌〕

柳準基 , 「江華學派의 學脈과 思想史的 展開」 , r국사관논총』

(1989).

閔泳珪 , 「江華學 최후의 광경』 (굣半 , 1994).

鄭良婉·沈慶昊, 『江華學派의 文學과 思想』 (2)·(3)韓國精 

神文化硏究院 , 1995).

■ 인접어

감찰제(한) 監察制
강도 江都
강령
강제 수용소 强制收容所
강제경작 제도 强制耕作制度
강화학파 江華學派
강화학파 江華學派
개념 槪念
개량주의
개발독재 開發獨裁
개방경지제 開放耕地制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