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여성운동女性運動] (Frauenbewegung , Women's movement )

【Ⅰ】 개요

여성운동은 맑스가 살았던 19세기의 산물이다. 전근대적 공동체의 해체와 산업혁명의 도래로 생산과 재생산(노동력의 생산=소비생활)의 사이클이 이루어져 온 종래의 가족은 생산의 기능을 상실하고, 그 결과 상류계급의 여성은 생산 활동에서 떨어져 나와 가정에 구속되고 하층계급의 여성은 갈 곳을 잃었다. 다른 한편 프랑스 혁명이 내건 자유와 평등이라는 인간해방 사상은 여성에게 자신이 처한 차별과 의존 상태를 인식시켰다. 

이와 같은 사회적 · 사상적 변동을 배경으로 여성은 삶의 방식을 모색하고 상황의 변혁을 요구하게 되며, 그것이 조직적 운동으로 된 것이 여성운동이다. 여성운동의 내용은 생활 전반에 걸치는데, 자선사업, 정치적 · 시민적 권리의 요구, 결혼제도 · 가족제도의 개혁, 연애 · 이혼의 자유, 매춘금지, 교육에서의 평등, 직업 노동에서의 평등 등 다양하다. 게다가 그 방향성은 여러 갈래로 나누어져 나라에 따라, 또 시기에 따라 운동의 중심점에는 차이가 있다.

인간의 해방을 주장하는 맑스는 기본적으로는 여성의 해방, 남녀의 평등을 지지한다. 『경제학 · 철학 초고』에서는 "사랑은 오직 사랑과만, 신뢰는 오직 신뢰와만 교환"[40:489]되는 평등한 상태를 이상으로 하며, 「쿠겔만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는 푸리에의 말을 이용하여 "사회의 진보는 아름다운 성{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척도로 해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32:480]라고 쓰고, 『자본』에서는 "대공업은 ······ 가족이나 양성 관계의 보다 높은 형태를 위한 새로운 경제적 기초를 만들어낸다"[23a:637]고 말하여 장래의 여성의 해방을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저작들 중에서 여성운동을 직접 언급한 부분은 얼마 되지 않는다.

【Ⅱ】 각국의 여성운동

영국에서는 프랑스 혁명에 자극 받아 울스턴크래프트가 『여성의 권리 옹호』를 발표하고 여성 교육의 개선, 여성참정권, 직업노동에 대한 종사를 설파했지만, 여성운동은 그로부터가 아니라 혁명에 위협을 느낀 한나 모어의 자선활동으로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가정에 구속되어 존재 이유를 발견할 수 없게 된 수많은 여성을 사회로 끌어냄으로써 그 이후 전개되는 다양한 운동의 토대를 만들었다. 

여성의 교육을 요구하는 운동은 더부살이하는 가정교사(거버니스)의 구제와 직업 확보의 필요에서 진행되어 이를 위한 칼리지가 설립되는데, 아카데미즘의 아성인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에도 여성의 칼리지가 설립되었다. 기혼여성의 권리를 요구하는 운동은 친권을 요구하는 노턴 사건을 계기로 일어나며, 부인의 재산관리권은 1870년에 성립되었다. 여성참정권 요구는 여성단체의 요청에 따라 J. S. 이 하원에서 처음으로 청원서를 제출한 이래로 끈질긴 운동이 이어졌다.

프랑스에서는 대혁명 시기에 구쥬가 「여성과 여성시민 권리 선언」을 쓰고, 파리의 여성들은 빵을 요구하며 베르사유로 행진하는 등 독자적인 혁명조직을 만들었지만, 1804년의 '나폴레옹 법전'에 의해 여성의 지위는 억압되었다. 1830년대에는 생시몽주의자나 푸리에주의자가 연애의 자유 · 가족의 해체에 의한 여성해방을 주장하고,트리스탕은 '노동자동맹'의 결성을 통한 남녀노동자의 해방을 부르짖었다. 1848년의 2월 혁명에서는 니부아예가 신문 『여성의 목소리』를 발행하여 이혼의 자유, 노동자의 조직화, 여성의 해방을 주장했다. 1871년의 파리 코뮌에서 여성은 독자적인 조직을 만들어 활동했다.

미합중국에서는 영국의 여성운동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참정권 운동이 진행되었다. 1848년에는 세네카 폴즈 회의에서 여성참정권이 결의되고, 미국 「독립선언」을 이용해 여성의 권리를 주장한 「감정선언」이 발표되었다. 우드헐은 여동생과 함께 주간지를 발행하여 여성참정권, 자유연애, 노동문제, 사회변혁을 주장하고, '평등권당'을 조직해 1872년 대통령선거에 입후보하고 제1인터내셔널과도 연대했다. 또한 여성은 노예해방운동, 금주운동, 복장개혁운동에도 참여했다.

독일에서는 프랑스 혁명기에 히펠이 여성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1848년의 3월 혁명을 계기로 오토‒페터스가 신문을 발행하여 여성의 노동권을 호소했다. 1865년에는 '전독일여성협회'가 결성되었지만 비스마르크 정권 하에서 점차 보수적으로 변하고 있었다.

【Ⅲ】 맑스와 여성운동

특징적인 것은 다음의 네 가지 점이다. 

첫째는 여성의 정치적 · 시민적 권리 획득 운동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맑스는 「유대인 문제에 대하여」에서 프랑스 혁명의 「인권선언」과 관련하여 인권이란 사유재산을 중심으로 한 이기적 인간의 권리이며, 근대국가는 그러한 개인으로 이루어진 시민사회를 토대로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태도는 여성참정권에 대한 무관심과 공통된 것이다. 

둘째는 생시몽주의자나 푸리에주의자와의 차이를 내세운 점이다. 『공산당 선언』에서는, 공산주의는 가족을 폐지하고 여성을 공유한다고 하는 부르주아의 비난에 대해, 그 어떤 급진적인 사람이라도 그와 같은 의도에는 분개할 것이라며 생시몽주의자나 푸리에주의자의 여성해방에는 동조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는 동시에 부르주아 사회야말로 매춘에 의해 여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반론했다. 

셋째는 제1인터내셔널에 대한 우드헐의 조직(제12지부) 참가를 거부한 점인데, 거기서의 맑스의 발언은 여성운동에 대한 자세를 보여준다. 즉 우드헐은 미합중국 대통령의 지위를 노리고 있으며, 제12지부의 주장에는 "개인적 자유, 사회적 자유(자유연애), 복장의 개혁, 여성참정권, 세계어 등이 논의되고 ······ 여성문제를 노동자문제보다 우선시하고 있으며 국제노동자협회가 노동자의 단체라는 원칙을 인정하려고 하지 않는다"[18:702]고 비난하고 있다. 

넷째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남성과 함께 투쟁한 여성들을 지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맑스는 파리 코뮌에서 헌신적으로 활동한 여성들에게 찬사를 보내고 있다.

-미즈타 다마에()

[네이버 지식백과] 여성운동 [女性運動, Frauenbewegung, Women's movement] (맑스사전, 2011. 10. 28., 마토바 아키히로, 우치다 히로시, 이시즈카 마사히데, 시바타 다카유키, 오석철, 이신철)

■ 인접어

엘리트
엘버펠트
엥겔스
여성운동
여성운동(단체)
여성운동女性運動
여성해방론
여자 교육
역사법학파
역사주의
연속 혁명론 : 2단계론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