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이기설] ( [理氣說])

이(理)의 뜻은 사물에 고유한 조리있는 법칙과 이것을 인식하고 절차를 밟아가는 주관의 활동, 그리고 절차에 따라 사물을 질서있게 정리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위(魏)와 진(晉)의 시대에는 사물의 본질적 특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당대(唐代)의 화엄교학(華嚴敎學)에서는 관념론적인 체(體)와 용(用)의 개념에 이(理)와 사(事)의 개념을 적용했다. 이는 각(覺)의 체(體)로 현실의 사(事)와 상즉무애(相卽無碍)이며, 사(事)와 사(事)가 평등즉융(平等卽融)하는 근거이다. 송(宋)의 새로운 유교에서는 장횡거가 이(理)를 일기유행(一氣流行)에 속하는 조리(條理)라고 규정하여 유교의 존재론적인 입장을 명시하였다면, 정명도는 일기(一氣)의 만물 변화를 전일체(全一體)로서 관념화하여 천리(天理)라 명명하였다. 정이천은 이 일체성(一體性)을 관념으로서 구체적인 만물에서 추상하여 이것을 이(理)라 부르고 경험적인 대상으로서의 만물을 기(氣)라고 하였으며 이기(理氣)의 관계를 채용일원(體用一源)이라고 표현하였다. 이기설의 전거(典據)는 『역(易)』의 형이상의 도(道)와 형이하의 음양에서 구하였다. 이기설은 존재에 관한 이론이지만 도덕론에서는 사람의 성(性)은 이(理)이고 이것이 정욕(情欲)의 기(氣)를 규제하고 있다는 성리설(性理說)로 되었으며 (→天理人慾), 나아가 이 성(性)이 곧 이(理)라고 하는 학설로부터 객관적인 사물의 이치를 깊이 연구하면 지식이 명확해지고 마음이 이(理)에 합치된다고 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설이 도출되었다. 이기설은 이(理)를 보편원리로 함으로써 천지(天地0의 일체성, 하늘과 인간, 존재법칙과 도덕규범의 일치를 설명하려고 하였는데 이 점을 명확하게 한 인물은 주희이다. 주희는 동일한 이(理)가 사물에 있어서 존재 법칙으로, 도덕상으로는 당위 법칙으로 나타난다고 하여 법칙과 규범의 동일성을 설명하였지만 이 동일성은 실제로는 인간, 즉 규범이 하늘, 즉 존재에 종속하는 것이다. 즉 그는 하늘을 이(理)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 하늘은 전통적인 천지만물의 전일체(全一體)이기 때문에 그의 이(理)는 실체인 천지(天地0에 종속되어 규정된 것이다. 정주(程朱)의 이기설은 도덕설로서 일단은 인간의 이와 성(性)의 정욕(情欲)인 기에 대한 주체적인 자율성에 관한 학설이지만 이기(理氣)아 이러한 대립은 실은 천(天)의 내부에서의 대립으로 양자도 하나의 전체로서의 천지(天地)에 규정되고 있다. 그리고 유교의 천지(天地)는 인륜질서의 전통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理)의 주체성은 천지의 존재에 앞서 있는 것이고 인간의 도덕규범은 천지의 법칙 즉 주어진 인륜질서에 의해 결정지어 진다. 그러므로 이기설은 화엄에서 말하는 이사체용(理事體用)의 이론을 취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유교의 존재론적인 천인합일의 관점에 입각하고 있다. 이기설은 육상산(陸象山)이나 왕양명에 의해서 유심론적으로 철저하게 되어 마음이 곧 이(理)라고 하는 설로 되었다. 그리고 인간의 욕망을 적극적으로 등정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주자학의 관념론적인 엄숙주의에 대한 비판이 일게 되면서 존재는 기(氣)이며 이(理)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법칙이라고 하는 기(氣)의 철학이 발흥하였다.
■ 인접어

이것인가 저것인가
이격 개념
이교
이규보
이그나티우스 드 로욜라
이기설
이기주의
이념
이념2
이념형
이다, 있다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