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 의견바로가기

[매뉴팩처 ] (manufacture)

맑스는 매뉴팩처를 분업에 근거한 협업의 형태로서, 그 기반은 수공업적 생산이라고 정의한다(《자본론》, 제Ⅰ권, 제14장). 영국에서 매뉴팩처는 16세기 중엽부터 1770년대까지 자본주의적 생산의 지배적 형태였다. 매뉴팩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발생한다. 첫 번째, 생산물이 다양한 독립적 수공업 과정의 결과인 경우이다. 맑스는 마차나 시계 매뉴팩처의 예를 들고, 이것을 '이질적 매뉴팩처'라고 부른다(《자본론》, 제Ⅰ권, 제 12장). 이러한 독립수공업자들은 자본가의 통제 아래서 단일한 작업장에 모아지고, 시간이 지나면서 독립적 과정들은 다양한 세부적 작업들로 나뉘어져서 특정한 노동자들의 전문적 기능에 맡겨지게 된다. 개별 노동자는 부분적 작업만을 담당하게 되고 전체 생산과정은 모든 부분적 작업들을 결합시킨 것이다. 두 번째로는 전적으로 한 사람의 수공업자가 연속 작업을 통해서 물건을 생산하는 경우이다. 맑스는 앞의 책에서 종이나 바늘 매뉴팩처의 예를 들고, 이것을 '유기체적 매뉴팩처'라고 부른다. 이 경우에도 노동자들은 단일한 작업장에 동시에 고용되어 처음에는 모두 동일한 작업을 한다. 작업이 점차적으로 분화되어 상품은 독립적 수공업자의 개인적 생산물이 아니라 하나의 수공업 작업장의 사회적 생산물로 되고, 이제 노동자들은 오로지 전체를 이루는 하나의 부분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두 가지 방향 모두에서 분업이 도입되고, 또 생산과정에서 분업이 더욱 발전한다 (17세기에 기계를 산발적으로 사용하였던 것은 수학에 실제적 토대를 제공하고 기계학의 창조를 자극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기는 하지만). 대규모로 수행되어야 하는 단순한 과정들을 제외하면 큰 동력을 이용하는 기계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이것은 매뉴팩처 시기가 기술적 통일성을 획득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 시기의 특징을 이루는 유일한 기계류는 맑스가 소위 '집단적 노동자'라고 부른 것이다. 즉 개별 노동자는 그 전문화의 일면에 의해서 기계의 규칙성을 가지고 집단적 노동자의 한 부분으로서 작업하여야 한다.
그러나 매뉴팩처에서 분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전문화의 결과로서 노동자들은 생산수단으로부터 더 한층 분리된다. 왜냐하면 전문화에 의해 상실된 그들의 생산수단이 그들을 고용한 자본에 집적되기 때문이다. 자본의 사회적 생산력은 집단적 노동자에 귀속되고, 이것은 노동자의 개별적 생산력의 착취를 통해서만 증가한다. 매뉴팩처에서의 분업은 노동자들을 전문화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하나의 구조 안에 통합한다. 그래서 이것은 자본의 이익을 위해서 노동자의 새로운 생산력을 발전시키는 사회적 노동의 조직을 창출하고, 이와 함께 노동에 대한 자본의 지배를 위한 새로운 조건들을 역사적으로 창조한다. 그러므로 매뉴팩처에서의 분업은 상대적 잉여가치를 창출하는 하나의 특수한 방법이다. 그러나 그것은 한정된 방법이다. 수공업 기술이 여전히 생산의 기술적 토대를 이루고, 매뉴팩처가 발전시키는 기술체계는 자본에 대하여 노동의 중요한 자율성을 만들어 낸다. 노동자들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매뉴팩처의 객관적 구조물은 있을 수 없다. 매뉴팩처는 근본적으로 도시에서의 수공업 생산과 농촌에서의 가내공업에 근거하는 인위적인 경제적 구조물이다. 기계가 없으면 노동자들이 그들의 부분적 기능에 종신토록 종사하는 것을 자본이 주도할 수 있는 아무런 방법도 없다. 이러한 협소한 기술적 토대는 자본이 강제를 동원해야만 하는 노동 훈련의 유지에 끊임없이 부대낀다는 것을 뜻한다. 사회적 생산의 통제 원리로서의 기능과 기술의 역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기계의 발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매뉴팩처시기에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정치경제학이 발생하고 또 발전하였음을 볼 수 있다. 고대세계의 저술가들은 질과 사용가치에 관심을 두었던 반면에, 초기 매뉴팩처 시기가 되자 페티 이후의 저술가들은 상품생산에 필요한 노동시간을 감축하는 원리, 즉 양과 교환가치에 대한 강조를 발전시키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맑스는 아담 스미스를 '매뉴팩처 시기의 정치경제학자의 정수'라고 부른다(《자본론》, 제Ⅰ권, 제 12장). 그것은 아담 스미스의 분업에 대한 강조와 매뉴팩처에서의 분업의 프리즘을 통하여 사회적 분업을 보는 방식에 기인한다.
■ 인접어

맑스주의와 제3세계
맑스주의의 발전
망명
망명자 클럽
매개
매뉴팩처
매뉴팩처
매리 울스톤크래프트
매춘(賣春)
매판부르주아지와 민족부르주아지
맨체스터

뒤로
■ 의견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