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렘 (Harem) |
아랍어 ‘haram’에서 변용된 하렘(harem)은 아카드어 ‘덮다, 숨기다, 분리하다, 보호하다’라는 의미의 ‘haramu(m)’에서 기원했다... |
* 하르트만 ( Hartmann, Eduard von) |
1842~1906.『무의식의 철학』philosophie des Unbe wußten(1869)을 제창한 독일의 철학자이다. 무의식이란 헤겔의 '이성’과 쇼펜하우어의 '... |
* 하르트만. (Hartmann, Nicolai) |
1882~1950. 독일의 철학자로서 신칸트학파인 마르부르크학파에 속하며 후설의 영향도 받아 인식론의 기반이 되는 ‘비관적 존재... |
* 하만 ( Hammann, Johann Georg) |
1730~1788. 독일 프로테스탄트의 사상가. 쾨니히스베르크의 세관창고 관리인으로 생애를 마쳤다. 그의 저작은 비체계적이고 난해... |
* 하방 下放   |
중앙 또는 상급기관의 권한 또는 인원을 지방 또는 하급기관에 내려 보내는 것을 의미한다. 권한의 하방은 정부의 기능 조정... |
* 하버마스 ( Habermas, Jurrgen) |
1929~. 서독의 사회철학자, 하이델베르크대학 교수를 거쳐 프랑크푸르트대학 교수(1964~1971)를 역임하였다. 1971년 이래 슈테른베르... |
* 하이데거 ( Heidegger, Martin) |
1889~1976. 독일의 철학자. 키에르케고오르의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방법론으로서 후설의 현상학을 발전시키고, 기초 존재론이라... |
* 하틀리 (Hartley, David) |
1706~1757. 영국의 심리학자로 연상(연상)심리학을 정립한 인물이며 감각에서 출발한 관념의 연합에 의해서 심적 활동을 설명하였... |
* 학 ( [學, 도 Wissenschaft]) |
하나의 전체로 계통화되고, 조직화된 지식을 말하며 단순한 신앙, 직관, 체험들과는 구별된다. ‘학문(學問)’이라고도 한다. ... |
* 한계상황 ([限界狀況, 도 Grenzsituation]) |
야스퍼스의 용어로 극한 상황이라고도 말한다. 실존은 항시 상황 속에 존재한다. 이러한 나는 지금 여기에서 이렇게 존재할 수... |
* 한비자 ( 韓非子) |
BC 233년에 사망. 전국시대말기 법가(法家)의 대성자이다. 그의 이론은 진시황의 제국통일의 이론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
* 한용운 ( 韓龍雲) |
1879~1944. 독립운동가. 3ㆍ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시인ㆍ승려, 자는 정옥(貞玉). 법명은 용운(龍雲). 초명(初名)은 유천(裕... |
* 한원진 (韓元震) |
1682~1751. 조선시대 인물성상이론(人物性相異論)을 주장한 호론(湖論)의 대표적 성리학자. 자는 덕소(德昭). 호는 남당(南塘). 권... |
* 한정 ([限定, 영 determination, 도 BestimmungㆍDetermination]) |
1)일반적으로 사고에서 대상의 성질이나 한계를 확실하게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논리학에서는 동일한 유(類)개념에 속하... |
* 함무라비 법전 (Code of Hammurabi) |
고대 문명이 남긴 법전의 수는 적지 않지만, 이 법전처럼 보존 상태가 양호한 예는 그리 흔치 않다. 함무라비 법전은 기원전 18세... |
* 함언 ([含言 , 영 implication]) |
러셀은 임의의 명제 p,q에 관해서 “p이면 q이다.”라고 하는 것을 “p가 참이면 q가 거짓인 경우는 없다.”라고 단순화하여 기호... |
* 합리론 ([合理論, 영 rationalism]) |
경험론, 감각론과 대립하여 보편타당한 참된 인식은 경험에서 독립된 이성적 인식이라고 하는 설이다. 따라서 선험적인 자명한 ... |
* 합리적 ([合理的, 영ㆍ도 rational, 프 rationnel]) |
이성에 적합한 것을 말한다. 이성적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인데 이성이 아 프리오리(a priori)한 원리로서 협의로 사용되는 경우에... |
* 합리주의 ([合理主義, 영 rationalism]) |
일반적으로 이성을 중시하는 사상이나 생활의 모든 것에 이것을 관철하려고 하는 태도, 즉 합리적인 태도를 말한다. 고대 ‘철... |
* 합목적성 ( [合目的性, , 영 purposiveness, 프 finalite]) |
목적에 적합하다는 것을 뜻한다. 인간의 사상(事象)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사상(事象)에도 적용된다. 여기에는 두 가... |
* 합법칙성 ([合法則性, 도 GesetzlichkeitㆍGesetzmaßigkeit]) |
법칙성, 합법성이라고도 한다. 법칙에 따른다는 의미인데 이 경우의 법칙은 객관적인 현실을 지배하는 법칙을 가리킨다. 즉 자... |
* 항구 평화 ([恒久平和, 영 lasting peace]) |
여러 나라 사이의 지속적인 평화를 말한다. 이 사상은 제2차 대전 후에 세계 인민의 광범위한 평화 의욕과 평화운동에서 형성되... |
* 해링턴 ( Harrington, James) |
1611~1677. 영국 내란기의 정치철학자이다. 내란시에는 중립을 유지하였으나, 왕정복고 후에 투옥되었고 석방 후에는 미쳐서 죽었... |
* 해밀턴 (Hamilton, William) |
1788~1856. 스코틀랜드의 철학자로서 에딘버러대학의 교수직을 역임하였다. 리드를 좇아서 지각에 있어서는 자아와 비자아의 구... |
* 해석 ([解釋, 영 intereation, 도 DeutungㆍAuslegung]) |
1) 말이나 문장 등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이해(理解ㆍVerstehen)' 작용에 근거를 둔 것으로, 인과적이며 ... |
* 해석학 ( [解釋學, 도 Hermeneutik]) |
해석의 방법이나 이론을 취급하는 학문을 뜻한다. 원래는 문헌학의 방법으로 고대 그리스(알렉산드리아 시대)에서 성립된 것이... |
* 해탈 ([解脫, 범 mokss·vimokss·vimukti]) |
고통에서 초월하여 정신적인 자유를 획득하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불교를 비롯한 인도의 여러 종교에서 이상의 경지에 해당한... |
* 행동주의 ( [行動主義, 영 behaviorism, 도 Behaviorismus]) |
미국의 심리학자 웟슨(J.B. Watson)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후 헐(C.L. Hull), 톨만(E.C. Tolman), 스키너(B.F. Skinner) 등으로 이어지는 심... |
* 행동학 ( [行動學, 영 ethology]) |
행동 생물학, 비교 행동학, 동물 행동학이라고도 한다. 자연계에 있는 동물의 행동 자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과학으로 심리... |
* 행복론 ([幸福論, 영 eudemonism]) |
행복(그 eudaimonia)이 선이며 인생의 목적이라고 하는 윤리 이론이다. 행복을 감각적인 쾌락과 동일시한다면 쾌락주의와 같게 되... |
* 행위 ( [行爲, 영 conduct, 도 Handlung]) |
희랍어 praxis, 라틴어 actio, 즉 목적의식 하에 이루어지는 행위나 작용을 의미한다. 반사적이고 본능적인 행동과 구별되는 인간 ... |
* 향약 ([鄕約]) |
조선 시대에 시골에서 상호 간에 예의와 미풍양속을 지키기 위해 만든 자치 규약. 중국 송(宋)의 여씨 향약(呂氏鄕約)이 그 시초... |
* 허균 (許筠) |
1569~1618. 조선 광해군대의 문인.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ㆍ백월거사(白月居士). 관직에 올라 여러 차례 박탈당하거나 유... |
* 허위 ([虛僞,영 fallacy, 도 Trugschluß, 프 sophisme]) |
논리학용어로는 잘못된 추리를 가리킨다. 오류라고도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허위를 ‘언어상의 허위’와 ‘언어 이외의 허... |
* 허위의식 ( [虛僞意識, 도 Falsches Bewußtsein]) |
엥겔스, 루카치 등이 사용한 용어로서, 이데올로기는 그것을 발생시킨 역사적, 물질적인 토대에 의해서 제약되는데, 계급사회... |
* 허치슨 ( Hutcheson, Feancis) |
1694~1746. 영국 계몽기의 도덕철학자. 로크, 샤프츠베리의 영향을 받아 인간성 속에 선악을 판별할 수 있는 도덕감각을 상정하고 ... |
* 헤게모니 ([영 hegemony, 도 Hegemonie, 이 egemonia]) |
군(軍) 장수의 지위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hēgemonia에서 유래된 말이다. 1) 19세기 이래 한 나라가 다른 국가에 대해서 우월한 ... |
* 헤겔 ( Hegel, Georg Wilhelm Friedrich) |
1770~1831. 독일 고전철학 최대의 철학자로 예나(Jena), 하이델베르크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만년에는 베를린대학의 교수로 활동하... |
* 헤겔학파 ([도 Hegelianer]) |
헤겔학파는 헤겔의 생존시부터 사후에 이르기까지 독일에서 지배적이었으며, 19세기의 30년대 말경에 우파, 좌파, 중도파로 분열... |
* 헤라클레이토스 (Herakleitos) |
BC 535년경~475년. 그리스 철학자, 당시 번창하던 에페소스시 왕족 출신이다. 밀레토스학파의 원리 추구를 발전시키고 그 원리의 ... |
* 헤르더 (Herbart, Johann Gottfried) |
1744~1803. 독일의 철학자로 칸트철학을 비판하였다. 그의 주저 Ideen zur Philisophie der Geschichte der Menschheit(1784~1791)은 자연과 정신의 분... |
* 헤르바르트 ( Herbart, Johann Friedrich) |
1776~1841. 독일 철학자이다. 철학을 ‘개념의 수정’이라고 하였으며 경험적 개념에 함축된 모순을 제거함으로써 경험의 배후에 ... |
* 헤르첸 ( Herzen, Aleksandr Ivanovich) |
1812~1870. 러시아의 혁명적 민주주의자이다. 어머니는 독일인이었고 귀족 가문에서 출생하였으며, 모스크바대학에서 후에 시인이... |
* 헤스 ( Hess, Moss) |
1812~1875. 독일의 사회주의자이며 시오니즘 사상가이다.『라인신문』창간자 중 한 사람. 1840년대에는 소위 ‘진장한 사회주의’... |
* 헤시오도스 ( Hesiodos) |
BC 700년경 그리스 보이오티아의 농민 시인이었다. 종래의 신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신들의 계보에 따라 정리하여『신통기(神統記... |
* 헤어 (Hare, Richard Mervyn) |
1919~. 현대 영국의 철학자이다. 도덕에 관한 언어를 논리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윤리학상 하나의 입장에 섬과 동시에 일상 언어학... |
* 헤켈 (Haeckel, Ernst Heinrich) |
1834~1919. 독일의 생물학자이며 예나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일찍부터 다윈의 진화론을 열렬히 지지하였다. 정신과 물질을 근원... |
* 헬레니즘 (Hellenism) |
이 용어는 19세기 독일의 역사가 드로이젠(J. G. Droysen)이 알렉산드로스(Alexandros)의 동방 정복 이후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 |
* 헬름홀츠 ( Helmholtz, Hermann von) |
1821~1894. 독일의 물리학자이며 생리학자이다. 논문『힘의 보존에 관해서』Über die Erhaltung der Kraft(1847)에서 에너지 보존 법칙을... |
* 혁명 ([革命, 영 revolution]) |
일반적으로 큰 변혁을 의미하지만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사회·경제적 혁명의 의미로 사용된다. 혁명은 사회의 발전 과정에 있어... |
* 혁명(동양) 革命 (Revolution) |
1. 아시아의 민족주의 운동과 혁명‘혁명’이라는 한자 용어는 고대 중국의 유가(儒家) 경전에서 유래되었다. ‘천명(天命)을 바... |
* 혁명적 로멘티시즘 ([revolutionary romanticism]) |
마르크스주의 예술론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현실의 괴로움에서 눈을 돌려 유토피아의 세계로 도피해 버리는 공상적 로멘티시... |
* 현상 ( [現象, 그 Phainomenon, 영 Phenomenpn, 도 PhanomenㆍErscheinung]) |
눈 앞에 나타나 있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무엇인가 나타난 모습(appearance), 단순한 나타남(→가상)의 뜻이며, 철학용어로는 다음... |
* 현상론 ( [現象論, 영 Phenomenalism, 프 Phenomenalism]) |
1) 현상의 배후에 물자체나 본체가 있음을 부인하지는 않지만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단지 그 현상뿐이라고 하는 설을 가리... |
* 현상학 ([現象學, 도 Phanomenologie]) |
본질과 구별된 현상에 관한 학이라고 하는 뜻으로 18세기 이래 가끔 사용되어 왔지만 헤겔과 후설에 의해서 특별한 의미가 주어... |
* 현실ㆍ현실성 ([現實ㆍ現實性, 영 actuality, 도 Wirklichkeit]) |
현재적인 사실로 주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며 현실성은 현실이 갖는 존재 성격을 가리킨다. 존재의 한 가지 양태(Modalitat)를 나타... |
* 현실태   |
→ 디나미스
|
* 현존재 ([現存在 , 도 Dasein]) |
하이데거 입장에서 실존철학의 기본 용어로 사용되는 경우와, 헤겔의 입장에서 현재 여기에(Da) 그 무엇이 존재함(Sein)을 나타내... |
* 현학 ([玄學]) |
현(玄)은『노자의 ‘현지우현, 종묘지문(玄之又玄, 宗妙之門)'』에 의거하여 사물의 근원을 물어보는 말이다. 3~4세기에 한(漢) ... |
* 형상 ([形相, 그 eidos, 영 form])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중요한 개념이다. 예컨대 집은 소재[질료]와 이것을 조립하여 만든 구조의 모습으로 가능한 바, 바로 여... |
* 형상. ( [形象, 영 image, 도 Bild]) |
넓은 의미로는 감각상(像) [심상(心象), 지각상(知覺像) 등 의식된 감각상과 그것이 표현된 것]을 말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표현... |
* 형상인 ( [形相因]) |
→원인
|
* 형식ㆍ내용 ([形式ㆍ內容, 영 formㆍcontent, 도 formㆍInhalt]) |
물체의 공간적인 형태와 그 본질(本質)과 대립이 형식과 내용의 대립이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이지만, 이 대립은 그것과 유... |
* 형식논리학 ([形式論理學, 영 formal logic]) |
"모든 M은 P이다. 모든 S는 M이다. 고로 모든 S는 P이다. “는 S, P, M이 어떤 내용을 가진 개념이라도 성립하는 추리의 형식인데(→... |
* 형식적 합리성   |
→합리적
|
* 형이상학 ([形而上學, 영 metaphysics, 도 Metaphysik]) |
이 말은 아리스토텔레스 사후에 그의 저작이 편집될 때 그가 제일 철학이라고 불렀던 것이 자연학에 관한 저작의 뒤에 놓여져 ... |
* 형이상학적 사고방법 ([形而上學的 思考方法, 도 metaphysische Denkweise]) |
마르크스주의 용어로 비변증법적인 사고방법을 일컬어 이렇게 부른다. 이러한 사고 방법에서는 사물과 그 묘사된 개념은 고정... |
* 형이상학적 유물론 ([形而上學的 唯物論, 도 metaphysischer Materialismus]) |
형이상학적인 사고 방법을 취하는 비변증법적인 유물론을 말한다. 기계적 유물론이나 속류 유물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
* 혜근 (慧勤) |
1320~1376. 고려말 공민왕 때 중. 속성은 아(牙). 이름은 원혜(元慧). 호는 나옹(懶翁). 선각왕사(禪覺王師). 20세에 출가하여 묘적암(... |
* 혜초 (蕙超) |
704~. 신라 고승. 젊을 때 당(唐)에 가서 불교를 공부하고 남양(南洋)을 거쳐 인도의 불교 성지를 순례하는 등 10여 년 동안 천축(天... |
* 호락논쟁 ([胡洛論爭]) |
18세기 초 조선 성리학에서 인간의 본성(本性)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관하여 벌어진 인물성동이논쟁(人物性同異論爭... |
* 호르크하이머 (Horkheimer, Max) |
1859~1973. 서독의 철학자로 프랑크푸르트대학의 사회철학 교수가 되고(1930) ‘사회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으나 나치의 공격을 받... |
* 혼합주의 ([混合主義, 영 Synceretism]) |
1) 서로 다른 원리 위에 서 있는 사상을 무비판적으로 혼합하는 것을 뜻한다. 2) 역사적으로는 헬레니즘 시대에 발생한 여러 가지... |
* 홉즈 (Hobbes, Thomas) |
1588~1679. 영국의 철학자이며 정치학자이다. 철학을 인과 관계의 추론이라고 생각하고 이러한 견해를 물질계 뿐만 아니라 심적 ... |
* 홍ㆍ전 ([紅ㆍ專]) |
지난 20년간 중국 공산당 안에서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서로 대립ㆍ갈등 관계에 있던 두 노선을 말한다. 그 하나는 이념적 정... |
* 홍대용 ( 洪大容) |
1731~1783. 조선시대 북학파(北學派)의 대표적 학자. 자는 덕보(德保), 호는 담헌(湛軒)ㆍ홍지(洪之). 일찍이 영조 41년 서장관(書狀... |
* 홍수전 (洪秀全) |
1814~1864. 광동성의 화현 출신으로 1850년에 태평천국의 운동을 일으켜 자신을 천왕(天王)이라 칭하고 북상하여 남경에 도읍지를 ... |
* 화랑도 ([花郞道]) |
신라 시대 젊은이들이 국가의 안전과 수호를 위하여 대의(大義)에 몸과 마음을 바친 무사도(武士道). 이는 신라 고유의 전통적 ... |
* 화백 ([和白]) |
신라 초기 육촌(六村) 부족의 사람들이 모여 나라 일을 하던 원시부족회의(原始部族會議). 화백은 함[咸]으로도 표현되는데, 그 ... |
* 화이트헤드 (Whitehead, Alfred North) |
1861~1947. 런던 대학의 응용수학 교수로 활동하였으며 후에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교수가 되었다. 수학적 논리학을 정립한 ... |
* 화쟁사상 ([和諍思想]) |
→원효
|
* 확실성 ([確實性, 영 certainty, 도 Gewißheit]) |
일반적으로 지식 또는 신념의 내용이 의심할 바 없이 확실한 경우를 말한다. 단순한 확신이나 종교적인 신앙의 경우처럼 오로... |
* 환경 ([環境, 영 environment]) |
현재의 환경 문제 가운데 노골적으로 드러난 인간 대 환경의 문제에 관한 철학적인 파악은 의식이 사물 또는 대상을 규정하는 ... |
* 환위법 ([換位法, 영 conversion, 도 Umkehrung]) |
직접 추리의 일종으로서 어떤 판단에서 그 판단의 주어를 술어로 바꾸어 새로운 판단을 도출하는 추리를 말한다. 그 일례로 “... |
* 황사영백서 ([黃嗣永帛書]) |
1801(순조1년)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천주교도 박해의 전말과 그 대책을 논의하여 북경에 알리려 했던 밀서. 황사영은 사옥이 일... |
* 황현 ( 黃玹) |
1855~1910. 학자ㆍ항일우국지사, 호는 매천(梅泉). 시문에 능하였으나, 시국을 개탄하여 고향에 은거하였다. 한일합방 이래 음독 자... |
* 회광반조 ( [廻光反照]) |
→지눌
|
* 회교   |
→이슬람
|
* 회의 ([懷疑, 영 doubt, 도 Zweifel]) |
어떤 명제의 진위를 문제로 하고 있으면서도 진위를 결정할 충분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그 대답을 단념하거나 유보하고 있는 ... |
* 회의론 ([영 scepticism, 도 Skeptizismus]) |
그리스어 skepsis(검사, 탐구)에서 유래된 말이다. 1) 넓은 의미로 보편적인 진리를 확실히 파악하는 것은 인간에 있어서 불가능하... |
* 횔링크스 (Geulincx, Arnold) |
1624~1669 기회 원인론자에 속한다. 모든 사건을 신의 작용으로 돌리고, 인간은 단순히 신의 작용에 의한 방관자로서 신의 명령에 ... |
* 효 ( [孝]) |
중국 고대의 유교사상 가운데 가부장적 가족 제도를 모태로 하여 아버지에 대한 자식의 일방적인 봉사를 주장한 효의 가르침이... |
* 후설 ( Husserl, Edmond) |
1859~1908. 독일의 철학자. 브렌타노의 영향을 받아서, 최초로 심리주의를 비판하여 논리학적 연구를 행했으며, 그리고 철학을 엄... |
* 후천적 ([後天的]) |
→ 아 프리오리ㆍ아 포스테리오리
|
* 후천적 논증 ([後天的論證, 영 regressive probation]) |
분석적 논증이라고도 하며 이것은 결론에서부터 그 이유가 되는 전제로 거슬러 올라가는 논증의 진행 방식을 말한다.
|
* 훔볼트 ( Humbolt, Karl Wihelmvon) |
1757~1835. 독일 휴머니즘의 사상가로 개인에 의해 보편적인 인간성이 완성될 수 있다고 보고 이러한 견지에서 계몽적인 전제주의... |
* 휠더린 (Holderlin, Johann Christian Friedrich) |
1770~1843. 독일의 시인이며 헤겔, 셸링, 실러 등과 친하였다. 가정교사 등으로 생활하였으며 자기가 가르친 제자의 모친과 사랑에 ... |
* 휴머니즘 ([영 Humanism, 도 Humanismus]) |
1) 인간존중과 인간 해방을 기조로 하는 태도나 사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태도나 사상은 예부터 있었지만 이러한 명칭에서 발생... |
* 휴정 ( 休靜) |
1520~1604. 조선 선조 때의 중,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ㆍ서산(西山). 아명은 여신(汝信). 묘향산(妙香山)에 있었던 까닭에 ... |
* 흄 (Hume. David) |
1711~1776. 영국의 철학자이자 역사가이며 평론가이다. 로크의 영향을 받아 ‘인성(人性)’의 경험적 분석에서부터 모든 학문의 ... |
* 히포크라테스 (Hippokrates) |
BC 460년경에 출생하였다. 그리스의 의학자로 미신이나 사변적인 의학에 반대하여 관찰이나 경험에 기초한 실증과학으로서 의학... |
* 힌두교 ([영 Hinduism]) |
인도에서 가장 유력한 종교로 인도에서 발생하여 주로 인도에서 신봉되고 있다. 인도교라고도 말하며 특정한 개조(開祖)를 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