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드놀이 (Kartenspiel ) |
헤겔은 아이들과 때때로 트럼프하길 좋아하였으며, 특히 호이스트라는 게임을 좋아했다(사행은 아니다!). 그는 1798년 프랑크푸... |
* 카르납 (Carnap, Rudolf) |
1891~1970. 오스트리아 태생의 철학자로서 빈, 프라하 대학에서 강의하였으며 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시카고 대학 교수가 되었다(... |
* 카르네아데스 ( Karneades) |
BC 214년경~129년경. 중기 아카데미에 속하는 (신아카데미의 창시자라고 하는 설도 있다.) 회의론자로서 진리의 기준을 인정하지 ... |
* 카르다노 (Cardano, Girolamo) |
1501~1576.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 자연철학자이다. 수학상의 업적(3,4차 방정식을 해결)이나 의학상의 기여 이외에 자연철학에... |
* 카를스바트 결의 (Karlsbader Beschlüsse) |
오스트리아 재상 메테르니히의 주도로 1819년 8월 6일부터 31일에 걸쳐 카를스바트에서 열린 독일 연방 대신회의(오스트리아와 프... |
* 카리스마 ([그ㆍ도 charisma]) |
베버의 용어로서 원어는 신의 은총 혹은 신으로부터 부여된 능력을 의미한다. 베버에 의하면 카리스마의 자질을 가진 자는 정... |
* 카리타스 ( [라 caritas, 영 charity]) |
아가페의 라틴어 역어로서, chris(은혜)가 아니라 cãrus[고가(高價)의]에서 유래하였으며 일반적으로 기독교에 있어서 신의 ... |
* 카바니스 ( Cabanis, Pierre Jean Georges) |
1757~1808. 프랑스 대혁명 시대의 유물론자이며 의사로서 미라보의 친구이며 지롱드파에 속하였다. 그의『인간의 육체와 정신과... |
* 카발라 ( [히 Kabbala, 영 Cabala]) |
유대의 가장 오래된 시기로부터 선택된 사람들에게만 전해져 왔던 비밀의 가르침을 기록하였다고 일컬어지는 일련의 서책을 ... |
* 카시러 ( Cassirer, Ernst) |
1874~1945. 신칸트학파의 ‘마르부르크파’에 속하며 인식론과 인식론사(史) 연구에서 출발하여 언어, 신화적 사고, 과학적 인식의... |
* 카오스 ( [그 Khaos]) |
원래는 ‘하품’을 뜻하는 말로서 헤시오도스의『신통기(神統記)』에서는 만물의 근원으로서 생각되는 ‘빠끔히 입을 열고 ... |
* 카우츠키 ( Kautsky, Karl) |
1854~1938. 독일 사회민주당과 제2인터네셔널의 이론적 지도자로서 당기관지 New Zeit를 창간, 편집하였다(1883~1917). 90년대에는 베른... |
* 카타르시스 ([그 katharsis, 영 catharsis]) |
정화(정화)를 뜻한다. 1)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의 목적이 정서의 정화에 있다고 주장하였지만, 이것은 윤리적 의미로 이해하는... |
* 카테고리 ([ 영 category, 도 Kategorie]) |
범주라고 번역된다. 일상어로는 동류(同類)에 속하는 부분, 범위를 지칭하지만 철학상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술어로 ... |
* 카톨리시즘 ([영 Chtholicism, 도 Katholizismus]) |
로마 가톨릭 교회에 있어서 기독교의 형식 일체를 가리키는 광범위한 표현이지만 가톨릭 교회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경우도 많... |
* 칸트 ( Kant, Immanuel) |
1724~1804. 독일 계몽기의 비판정신을 대표하고, 동시에 헤겔을 정점으로 하는 독일 고전철학의 기점을 이루는 철학자이다. 출생... |
* 칸트-라폴라스설 ([영 Kant·Laplace hypothesis]) |
처음 칸트(1755), 후에 라폴라스(P.S. de Laplace)(1796)에 의해서 제시된 태양계 발생에 관한 가설을 말한다. 이것에 의하면 태양계는 ... |
* 칸트주의 ([도 Kantianismus]) |
칸트와 그 신봉자들의 철학적 입장을 말한다. 그 주요한 특색은 독단적 형이상학의 부정, 사고의 자발성의 강조, 직관형식(시... |
* 칸트학파 ([도 Kantianer]) |
칸트주의를 신봉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칸트 생전에 이미 라니홀트와 같은 인물들이 있었으나 이들은 피히테 이후의 독일관념... |
* 칼라닌 ( Kalinin, Mikhail Ivanovich) |
1875~1946. 소련 최고회의 간부회의 의장을 역임하였고 소비에트인의 교육에 관한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논집 『공산주... |
* 칼라일 ( Carlyle, Thomas) |
1795~1881. 영국의 사상가이며 역사가이다. 독일 관념론 특히 칸트, 피히테의 영향을 받아 계몽 사상과 공리주의에 반대하고 일종... |
* 캄파넬라 ( Campaneila, Tommaso) |
1568~1639. 르네상스 시대의 이탈리아의 혁신적인 사상가이다. 틸리지오의 학설을 이어받아 감각을 인식의 원천이라고 하였지만 ... |
* 캘비니즘   |
→캘빈주의
|
* 캘빈 ( Calvin, Jean) |
1509~1564. 프랑스 종교개혁가로서 1533년에 신의 말씀을 경험하고 파리를 떠나 베르셀에서 활동하였으며, 그곳에서 프로테스탄티... |
* 캘빈주의 ( [영 Calvinism]) |
종교개혁가 캘빈에서 나와 개혁과 교회의 조직으로 발전한 신학 사상을 말한다. 성서를 권위로 사는 복음주의이지만 특히 예정(... |
* 케드로프 ( Kedrov, Bonifatii Mikhailovich) |
1903~ 현대 소련의 철학자이며 과학사가이다. 소련 과학아카데미 회원이며 여러 가지 요직을 거쳐 과학아카데미 철학연구소 소장... |
* 케어드 (Caird, Edward) |
1835~1908. 영국의 신헤겔주의 철학자로서 칸트에 관한 상세한 연구에 의해 헤겔의 절대적 관념론에 도달하였으며, 그의 명석하고... |
* 케플러 (Kepler, Johannes) |
1571~1630. 독일의 천문학자.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박해를 피해 프라하로 가서 덴마크의 천문학자 브라에(Tycho Brahe)의 조수가 되었... |
* 코기토 에르고 줌 ([라 cogito, ergosum]) |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는 데카르트가 그의 방법적인 회의를 거쳐 도달한 근본 원리이다. 일체의 의식 내용은 의... |
* 코르도모이 (Cordomoy, Gerand de) |
1684년에 사망. 데카르트학파의 프랑스 철학자로 데카르트의 물심이원론의 극복에 노력하고 기회 원인론에 가까운 견해를 보이... |
* 코르지브스키 (Korzybski, Alfred) |
1879~1950. 폴란드 태생의 논리학자로서 제1차 대전 중에 미국으로 귀화하였다. 의미론을 제창하고 일반의미론 연구소(Institute of g... |
* 코메니우스 (라 Comenius, Johannes Amos, 체코 Jan Amos Komensky) |
1592~1670. 체코슬로바키아의 사상가로 근대 교육의 아버지라고도 부른다. 보헤미아 동포 교단의 목사이다. 30년 전쟁 시 망명 중 ... |
* 코스모폴리티즘 ([영 cosmopolitismㆍcosmopolitanism]) |
세계주의, 세계시민주의라고도 말하는데 인간은 모두 세계의 시민(그 Kosmopolitēs)이라고 하는 견해를 말한다. 고대에 이 견해... |
* 코올리지 (Coleridge, Samuel Taylor) |
1772~1834. 영국의 낭만파 시인이며 비평가이다. 사상을 이론적으로 표명하고자 하였으며 당시에 우세하였던 벤담의 공리주의에 ... |
* 코이나이 에노이아이 ([그 koinal ennoiai, 라 notiones communes]) |
공통관념의 뜻으로, 스토아학파는 자연적으로 만인에게 부여된 공통적인 관념[그 emphytoi prolēpseis; 자연적인 선취(先取)관념]... |
* 코키토 에르고 줌 ( [라 cogito, ergosum]) |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는 데카르트가 그의 방법적인 회의를 거쳐 도달한 근본 원리이다. 일체의 의식 내용은 의... |
* 코페르니쿠스 (Copernicus, Nicolaus) |
1473~1543. 지동설의 제창자이다. 모국 폴란드의 크라카우대학과 이탈리아의 여러 대학에서 신학, 천문학을 공부하였다. 죽기 직... |
*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도 Koperni kanische Wendun]) |
칸트의 입장을 특징으로 나타내는 그의 용어이다. 종래의 주관이 객관에 따른다고 생각되었던 것에 대하여 그는 여기에서는 인... |
* 코헨 ( Cohen, Hermann) |
1842~1918. 신칸트파의 철학자로 특히 수학과 수학적 물리학을 중요시하는 ‘마르부르크학파’의 창립자이다. 유태계 독일인으로 ... |
* 코헨. (Cohen. Morris Raphael) |
1880~1947. 러시아 태생 미국 철학자로서 최초의 퍼어스 논문집의 편자로서 퍼어스 부활에 기여한 인물이다. 자연주의에 기초하여... |
* 콘스탄티노브 ( Konstantinov, Fyodor vasillevich) |
1901~ 현대 소련의 철학자이며 소련과학아카데미의 회원이다. 동 아카데미 부속 철학연구소 소장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철... |
* 콘포드 (Cornforth, Maurice) |
1909~ 현대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다. 실용주의나 논리 실증주의, 그리고 분석철학 및 포퍼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다.
... |
* 콤플렉스 ([도 Komplex, 영 complex]) |
복합이라는 의미를 가진 말이지만 정신분석학의 용어로서는 억압되어 무의식에 깔려있는, 감정으로 각색되어 나타나는 표상의... |
* 콩도르세 (Condorcet, Jean Antonie) |
1743~1794. 프랑스 계몽기의 사상가로 혁명기의 입법외원에서 교육 조직안을 기초하였지만 자코벵 파로 사형을 신고 받고 자살하... |
* 콩디약 (Condillac, Etienne Bonnot de) |
1715~1780. 프랑스 계몽기의 감각론자. 로크의 감각과 반성과의 이원론을 비판하여 모든 정신활동을 ‘변형된 감각’으로 귀착시... |
* 콩트 ( Conte, Auguste) |
1798~1857. 프랑스 실증주의자이며 사회학의 정초자로 청년 시대에는 생시몽의 비서가 되었지만 곧 헤어져『실증철학 강의』Cours d... |
* 쾌락 ( Lust) |
『정신현상학』의 '행위하는 이성'의 제1단계 '쾌락과 필연성'에 Lust의 특징적인 용례가 있다. 여기서 그것은 단적으로 애욕... |
* 쾌락주의 ([快樂主義, 영 hedonism]) |
쾌락(그 hēdonē)이 유일한 선, 인생의 목적이라며, 쾌락을 구하고 고통을 피하는 것을 도덕 원리로 하는 윤리설을 말한다. ... |
* 쾌락주의적 역설   |
→퀴레네학파 |
* 쿠쟁 ( Cousin, Victor) |
1792~1867. 프랑스 철학자로 메느 드 비랑, 셸링, 헤겔, 스코틀렌드의 상식철학의 영향을 받아 절충적인 유심론을 주장하였다. 또한... |
* 쿰버란드 (Cumberand, Richard) |
1632~1719. 영국의 도덕철학자로서 홉즈의 이기주의적인 윤리설에 반대하고, 인간에게 있는 ‘만인의 복리(라 commune bonum),를 추구... |
* 퀴닉학파   |
→견유학파 |
* 퀴레네학파 ( [영 Cyrenaics, 도 Kyrenaiker]) |
그리스 철학 유파로서 아리스티포스에 의해서 그의 출생지인 북아프리카의 퀴레네에 창립되었다. 그의 가르침은 인생의 목적... |
* 퀴비에 (Cuvier, Georges) |
1769~1832. 프랑스 동물학자이자 고대 생물학자이다. 그의 ‘천변지이설(天變地異說)’에 의하면 지구상에 여러 차례 일어난 이변... |
* 크로체 ( Croce, Benedetto) |
1866~1952. 이탈리아 신헤겔주의자로서 사적 유물론에 반대하여 역사를 정신의 발전으로 보았으며 잡지 『비평』(1903~1937)을 발표... |
* 크로포트킨 ( Kropotkin, Pytr Alekseevich) |
1842~1921. 러시아의 무정부주의자이고 지리학자로서 활동하였으며 그 후 혁명운동에 가담하여 투옥되었으며 후에 탈옥하여 망명... |
* 크리스트교 ([영 Christianity, 도 Christentum]) |
예수 그리스도를 시조로 하는 신앙 형식의 총칭이다. 1세기 중반 경에 팔레스티나에서 일어났으며 예수도 그 제자들도 종말론적... |
* 크리시포스 (Chrysippos) |
BC 280~207. 스토아파의 철학자로서 그리스에서 태어나 아테네에서 스토아학파의 제2대 수장인 클레안데스(Kleanthês)에게서 배... |
* 크세노파네스 (Xenophanes) |
BC 565년경 출생. 그리스 철학자이며 시인이다. 소아시아의 콜로혼 사람으로 어려서 고향을 떠나 100세가 되도록 그리스 각지를 ... |
* 크세노폰 (Xenophon) |
BC 430년경 출생. 그리스의 군인이며 저술가이다. 소크라테스의 제자로서 그가 스승에 관하여 쓴『소크라테스 사상의 출현』,『... |
* 클라우베르크 ( Clauberg, Johannes) |
1622~1665. 독일에서 태어나 네덜란드에서 데카르트 사상의 영향을 받아 그의 물심 이원론의 난점에 맞부딪쳤으나 충분히 성공하... |
* 클라크 (Clarke, Samuel) |
1675~1729. 영국의 도덕철학자이다. 사물에는 각각 영원불변의 성질이 있어 이것에 합치하도록 하는 행위(예컨대 동물을 동물답게... |
* 클레멘스 (Clemens Alexandrinus) |
159년경~215년경.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 교사 양성 학교에서 강의하였다. 유스티누스와 같이 그리스철학을 기독교의 준비 단계... |
* 키에르케고오르 ( Kierkegaard, Soren Aabye) |
1813~1855. 덴마크의 종교 사상가로서 코펜하겐에서 태어나 깊은 죄의식과 종교적 체험에 의거하여 사색하였다. 그는 정열적인 신... |
* 키케로 (Cicero, Marcus Tullius) |
BC 106~43. 로마의 정치가, 웅변가, 절충주의의 철학자였다. 많은 윤리학적 저작 외에 변론 수사(辯論修辭)에 관한 저작이 있다. 그... |
* 킨디 (al-Kindi, Abu Yusuf) |
800년경~870년경. 이슬람의 철학자로 바그다드에서 활약하였으며 이슬람에 있어서 그리스적인 철학자들의 계보에서 최상부의 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