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디예프 (Chaadaev, Pyotr Yakov levich) |
1794~1856. 러시아의 급진적인 사상가. 그의 주저 『철학서간』(1836)에서 농노제와 그리스정교를 공격하여, 데카브리스트 반란이 ... |
* 착각 ( Täuschung) |
『정신현상학』의 '지각 또는 사물과 착각' 장에서 헤겔은 지각하는 의식이 빠지는 착각의 경험을 서술하고 있다. 소금... |
* 참사회 (Magistrat ) |
중세 이후 발달한 도시의 시정 운영 기관. 본래 선거제와 임기제에 기초하는 시민 자치를 위한 합의기관이었지만, 당시의 독일... |
* 참위설 ([讖緯說]) |
진한 말에서 후한에 유행한 천하의 치란(治亂)과 왕조 교체에 관한 미신적 예언[참(讖)]으로 위사경전(僞似經典)의「위편(韋編)... |
* 창작 방법 ([創作方法, 도 Schaffens methode]) |
예술 창작에 있어서 작가가 형상을 구성할 때의 기본적인 방법. 특히 문예, 연극, 미술 등의 구상적(具象的)인 장르에서는 형상... |
* 창조 ([創造, 영 creation, 도 Schopfung]) |
1)세계의 소재나 질서가 모두 신에 의해서 직접 창조되었다고 하는 것으로 기독교의 중요한 개념이다. 오로지 신의 의지에만 그... |
* 창조2 (Schöpfung , Erschaffen ) |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창조 이야기는 구약의 창세기에 묘사되어 있지만, 헤겔은 그것을 사변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자기 철학... |
* 창조적 마르크스주의 ([영 creative marxism]) |
마르크스주의의 모든 이론을 실천으로부터 분리하여 고정시키고 절대화하는 교조주의에 반대하여, 실천과 함께 과학으로서 끊... |
* 창조적 진화 ([創造的進化, 프 evolution creatrice]) |
베르그송의 생의 철학을 대표하는 중요한 개념이며 또한 그의 저서명이기도 하다. 순수이질성으로서의‘지속’은 세계에 있어... |
* 채원배 (蔡元培) |
1868~1940. 철학가이며 교육자이다. 1907년 독일에서 칸트철학을 공부하였으며 미적 정신의 육성에 의한 인격의 형성을 부르짖었다... |
* 책임 ( [責任, 영 responsibility, 도 Verantwortlichkeit]) |
1) 도덕적 책임: 사람이 스스로의 행위에 관하여 자타의 평가를 받고, 이것에 의거하여 자책이든지, 남의 비난이든지, 여러 가지... |
* 책임2 (Schuld) |
Schuld는 sollen과 같은 어원의 말로서 도덕적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인간이 짊어지고 있는 책임과 동시에 죄를 의미하며, 죄책... |
* 책임윤리 ([責任倫理, 도 VerantWortungsethik]) |
베버가 심정(心情)윤리(→동기설)에 대치하여 사용한 개념으로, 그 자신의 윤리적 입장을 나타낸 것이다. 심정 윤리에서는 행위... |
* 천 ([天]) |
중국에서는 만물의 생육자이며 주재자이고 주술(呪術)의 근원으로 여겨진다. 또한 인간 존재의 본질이기도 하다. 1) 유교에서... |
* 천년기설 ([千年期說, 영 chiliasmㆍmillenarianism, 도 Chiliasmus]) |
그리스어 chiliaetē,라틴어 milenium은 천년의 뜻이다. 지구 종말에 예수 그리스도가 지상에 재림하여, 천년에 걸쳐 메시아 왕국... |
* 천리인욕 ([天理人欲]) |
원래 도가의 “천은 진리이고 인(人)은 거짓이다.”라고 하는 설을 유교의 도덕주의로 전환하여『예기(禮記)』에서 사용한 말... |
* 천변지이설 ([天變地異說, 영 catastrophe theory]) |
격변설(激變說)이라고도 말한다. 라마르크의 진화론에 대하여 퀴비어가 성서의 견해를 옹호하기 위해 세웠던 이론이다. 지구상... |
* 천인합일 ( [天人合一]) |
인간의 완성은 초인간적인 천(天)과의 일치에 있으며, 이 일치를 위한 길은 천을 채득한 성인이 교시한다고 하는 교설(敎說)을 ... |
* 천재 (Genie) |
보통 개인의 비범한 재능을 의미하지만, 헤겔에서는 "개체적 정신이 생래적으로 획득하는 일정한 방향"[『엔치클로페디(제3판) ... |
* 천체 (Himmelischer Körper) |
'천체'란 헤겔에서 '지상의 물체(Irdischer Körper)' 즉 지구의 대기권 안의 물질계와 구별된 태양과 그 인력권 안을 운동하는 물... |
* 철학 ([哲學, 영 philosophy]) |
처음 고대 그리스에서는 philein(사랑)과 sopia[지(智)]가 결합된 말로서, 널리 지식에 대한 사랑 또는 학문 일반을 의미하였다. 그러... |
* 철학哲學 (Philosophie ) |
Ⅰ. 철학의 근원.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은 세계에 대한 경이로부터 시작한다고 말하며, 근대 철학의 기초를 개척한 데... |
* 철학사 ([哲學史, 영 history of philosophy]) |
철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 대한 서술을 말하는데, 19세기에 오면서 역사과학의 한 특수 분과로 등장하게 됐다. 다소 체계화된 ... |
* 철학사2 (Geschichte der Philosophie ) |
(1) 철학사 전체는 하나의 그 자체 필연적인 수미일관된 진행 과정이며, 그것을 이끄는 것은 여러 가지 형태의 내적 변증법이... |
* 철학적 인간학 ([哲學的 人間學, 도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
'인간학‘이라는 말은 16세기경부터 사용되어 왔는데 이 경우에는 인간의 신체나 영혼에 관한 학문을 의미하였고, 이어서 인간... |
* 청년 헤겔파   |
→헤겔학파
|
* 청초의 학 ([淸初의 學]) |
명이 붕괴하고 그 뒤를 이어 만주족이 한민족을 지배하여 청이라 칭하였다(1644). 청 초기의 학술사상은 1) 이민족 지배를 거부... |
* 청춘 (Jüngling ) |
청춘의 특징은 이상주의적 반항이다. "청춘이란 대립이 발달하고, 이상, 상상, 당위, 희망과 같은 그것 자체로서는 아직 주관적... |
* 체계 ([體系, 영ㆍ도 System]) |
1) 객관적으로 이것은 서로 구별되는 여러 부분들의 단순한 집합이 아니라, 전체적 연관을 맺고 있는 것이 된다. 예컨대 태양계... |
* 체계2 (System) |
Ⅰ. 〈체계〉의 구조. 헤겔은 체계철학자라고 말해진다. 『엔치클로페디』의 마지막에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서... |
* 체르니세프스키 ( Chernyshevskil, Nikolal Gavrilovich) |
1828~ 1889. 러시아의 혁명적 민주주의자이고, 공상적 사회주의자이며 유물론자이다. 농노제에 반대하여 사회주의를 부르짖었으며... |
* 체험 ([體驗, 도 Erlebnis]) |
직접적, 직관적인 의식의 내용으로 얻어지는 것을 말한다. 의식에 있어서는 감각, 표상, 감정, 충동, 의지 등이 서로 불가분의 ... |
* 초감성적 세계 (übersinnliche Welt) |
칸트에서 초감성적인 것은 감성적인 것 ·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이며, 그것은 사유되지만 지각되지 않는 것으로 주장되었... |
* 초개인적 의식   |
→ 의식일반
|
* 초월ㆍ초월적 ([超越ㆍ超越的, 도 TranszendenzㆍTranszendent]) |
내재와 내재적이라는 말에 반대된다. 1) 일반적으로 어떤 영역을 초월하거나 또는 그 위에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신을 세계의 ... |
* 초월론 ( [超越論, 영 transcendentallism]) |
19세기 전반(前半)에 뉴잉글랜드의 유니테리안파에서 시작된 미국의 낭만주의적인 철학과 종교적인 운동을 말한다. 에머슨은 그... |
* 초월론적 ( [超越論的]) |
→선험적
|
* 초월론적2 (transzendental) |
보통 하나 · 진 · 선 등, 범주를 넘어선 사물의 가장 일반적인 속성은 초월적(transzendent)이라고 말해지지만, 칸트는 이것을 ... |
* 초인 ([超人, 도 Ubermensch]) |
니체 철학의 두 가지 큰 줄기를 이루는 권력에로의 의지와 영원회귀 사상을 집약한 그의 표현이다. 이것은 인간은 극복되어야 ... |
* 초자아 ([超自我, 도 Uber-ich, 영 superego]) |
이드(id), 자아와 함께 정신을 구성하는 것으로 프로이드가 생각한 정신의 한 측면이며 양심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드로... |
* 초자연적 ( [超自然的, 영 supenatural, ]) |
자연을 초월하였다고 하는 의미로서 자연이라는 의미를 어떻게 취하는가에 따라서, 1) 객관적인 법칙이 지배하는 자연을 초월하... |
* 초제 ( [醮祭]) |
고려 시대 여러 신에게 지내던 제사 의식. 왕이 궁성 안에서 직접 천지ㆍ산천 등의 신들에게 제사를 지냈다. 제사 대상인 신에는... |
* 촘스키 ( Chomsky, Noam) |
1928~ . 현대 미국의 언어학자로서 변형 생성 문법의 창시자이다. 인간은 유한 개의 규칙에 의해서 무한 개의 문장을 만들 수 있으... |
* 총체 및 개무에 관한 원리 ([總體 皆無에 關한 原理, 라 dictumde omni et mullo]) |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 규칙(aristotle's dictum) 이라고도 부른다. 연역 추리의 근본 원칙의 하나. 어떤 개념에 관해 전반적으로 긍... |
* 총체성 (Totalität ) |
총체성은 전체성이라고도 번역된다. "진리는 전체이다"[『정신현상학』 3. 24]라는 말에서도 보이듯이 총체성 또는 전체... |
* 최고선 (Höchstes Gut) |
칸트는 (주로) 덕에 행복이 내속한다고 생각하는 스토아학파를 비판하면서 덕('도덕성'), 엄밀하게 말하자면 완전한 덕('최상선')... |
* 최눌 (崔訥) |
1717~1780. 조선 중기의 불가(佛家). 성은 박(朴). 호는 묵암(黙庵). 음양오행(陰陽五行)으로 조수(潮水)를 설명하였으며, 신을 ... |
* 최대 대수의 최대 행복   |
→공리주의
|
* 최명길 (崔鳴吉) |
1586~1647. 조선 인조 때의 정치가. 양명학자. 자는 자경(子謙). 호는 지천(遲川). 이항복(李恒福), 신흠(申欽)의 문인. 가평(加平)에... |
* 최승로 (崔承老) |
927~980. 고려의 개국공신. 태조에서 성종까지 6대에 걸친 공신. 시호는 문정(文貞). 성종 원년(982) 역대 임금들의 선악득실을 논한... |
* 최익현 (崔益鉉) |
1833~1906. 조선 고종 때의 성리학자. 척사론자(斥邪論者). 의병장(義兵將). 자는 찬겸(贊謙). 호는 연암(勉庵). 화서(華西) 이항로(... |
* 최제우 (崔濟愚) |
1824~1864. 동학(東學)의 개조(開祖). 천도교(天道敎) 제1세 교주. 호는 수운(水雲). 경주 몰락 양반. 16세에 부친을 여의고 유랑하다... |
* 최충   |
984~1068. 고려 성종 때의 유학자. 교육가. 자는 호연(浩然), 호는 성재(惺齋)ㆍ월포(月圃). 시호는 문헌(文獻). 1005년 문과에 장원급... |
* 최치원 ( 崔致遠) |
857~ ? 신라 말 한학자. 유학자. 경주사람으로 자는 고운(孤雲). 또는 해운(海雲). 12세에 당에 유학하여 17세에 과거에 급제, 876년... |
* 최한기 ( 崔漢綺) |
1803~1879. 조선 후기 실학자. 자는 운노(芸老). 호는 혜강(惠崗). 실사구시학파(實事求是學派)의 실증 정신을 이어받았으며, 조선 ... |
* 추계학 ([推計學, 영 stochastics]) |
추측 통계학이라고도 한다. 통계학은 본질적으로는 기술학(記術學)이며, 그것에 속하는 모든 개별적 구성원의 일정한 특징을 ... |
* 추론 ([推論]) |
→추리 |
* 추론(추리) (Schluß) |
"모든 이성적인 것은 추리이다"[『논리의 학』 6. 352]. 헤겔에게서 추리란 이성이 행하는 논리조작이 아니다. 오히려 이성... |
* 추론 규칙 ([推論規則, 영 rule of inference]) |
추론식 또는 분리규칙이라고도 한다. 어떤 명제나 논리식으로부터 다른 명제나 논리식을 끌어내는 규칙이다. 일반적으로 형식... |
* 추리 ( [推理, 영 reasoningㆍinference, 도 Schluß, 프 raisonnementㆍinference]) |
하나 이상의 참된 판단, 또는 참이라고 가정된 판단(→결론)이 참임을 명확히 밝히는 사고 작용을 말한다. 여기에는 연역적 추... |
* 추상 (Abstraktion , Abstraktes) |
구체에 대립하여 말하는 개념이지만, 헤겔에서는 통상적인 것과 의미가 역전되어 있다. 전체적 통일인 구체적개념에 반해 ... |
* 추상 ([抽象]) |
→사상(捨象) |
* 추상적 ([抽象的, 영 abstract, 도 abstrakt]) |
'구체적'이라는 말에 상대된다. 1) 개념적, 일반적이라는 뜻이다. 2) 사물의 일면만을, 또는 다른 측면이나 다른 사물과의 관계를... |
* 추상적 개념 ([抽象的槪念, 영 abstract concept]) |
개념이란 모두가 어느 정도 추상적이어서 모든 개념은 이런 의미로 추상적 개념이지만 논리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의미... |
* 추한 것, 추하다 (Häßliches , häßlich ) |
자연의 유기체(생물)에 관하여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에는 그러해야만 하는 일정한 내적 연관 내지 모습이 있다고 우... |
* 축회전 (Achsendrehung) |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운동으로 예를 들면 지구의 자전과 같은 운동이다. 헤겔에 따르면 지구를 비롯한 행성들은 지축을... |
* 출판의 자유 (Preßfreiheit ) |
의견 공표의 충동을 충족시키는 〈언론의 자유〉의 하나[『법철학』 319절]. 여론에 직접 관계하는 출판의 자유는[『법철학 강의... |
* 충 ([忠]) |
중국 고대의 유교에서는 녹(祿)을 받고 군주에게 봉사하는 신하인 관료의 군주에 대한 도덕을 '충'이라고 불렀다. 일본에서는 ... |
* 충돌 (Kollision) |
충돌이란 어떤 '상황(Situation)' 속에서 인간이 장애에 부딪쳐 상극한다든지 갈등하는 사태가 생기는 것이다. 헤겔은 『미학』에... |
* 충동 (Trieb) |
무언가가 결핍되어 있다고 느껴질 때 이 무언가를 구하여 결핍감을 채우고자 하는 주체의 활동을 일으키는 것. 예를 들면 자... |
* 충족 이유의 원리 ([充足 理由의 原理, 영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도 Prinzip des zurei) |
충족률이라고도 한다. 사고 법칙의 하나. 참인 판단은 충분한 논리적 근거를 지녀야 한다는, 올바른 사고가 지켜야 할 요건을 나... |
* 충효 ([忠孝]) |
봉건 사회는 가부장적 가족 제도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전제 권력을 유지한 조직이다. 따라서 임금과 아버지에 요구하는 충효... |
* 치른하우젠 ( Tschirnhausen, Walthervon) |
1651~1708. 독일 철학자로서 스피노자의 영향을 받아 기하학에서 보이는 연역법적 논증을 중시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경험적인... |
* 친화성 (Affinität , Verwandtschaft) |
친화성이란 화학적 과정에서의 어떤 성분과 다른 성분이 서로 끌어당기는 특수한 성질에 다름 아니다. 예를 들면 공기가 산화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