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각 ([自覺, 영 self-consciousness, 도 Selbstbewußtsein]) |
자기의식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자기 자신에 관한 의식으로, 외계나 타인과는 구별된 자아로서 자기를 의식하는 것을 말한... |
* 자기(성)自己(性) (Selbst , Selbstheit) |
보통 '자기 자신을/에서(sich selbst)'라는 식으로 sich를 강조하여 사용되는 부사의 selbst를 헤겔은 대문자화하여 ① 변화... |
* 자기 내 존재 (Insichsein ) |
"무게는 무규정적인 외면성에서의 자기 내 존재이다"[『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334절 「보론」 9. 332]라고 말해... |
* 자기 동일성 ([自己同一性, 영 self-identity]) |
일반적으로 어떤 것이 시간이나 장소 등 여러 변화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것 속에 무엇인가 변하지 않고 존재하고 있을 때에 이 ... |
* 자기 소외 ([自己疏外]) |
→ 소외
|
* 자기 외 존재 (Außersichsein ) |
'자기 내 존재'의 맞짝개념. 원래 뜻은 '나를 잊고 있는 것'. 한편으로 어떤 것의 본질 · 개념이 현상 · 감성적 존재 등으로서... |
* 자기 운동 ( [自己運動, 도 Selbstbewegung]) |
운동의 원천(源泉)을 자기 자신 내부에 두는 내적 필연적인 운동을 말한다. 변증법적 유물론은 헤겔의 사상을 계승하여 자연 및 ... |
* 자기 원인 ([自己原因, 라 causa sui]) |
자기 자신이 자기 존재의 원인인 것. 스콜라학파에서는 신(神)을 자기 원인이라고 생각하였지만, 근대에 있어서도 스피노자는 ... |
* 자기 의식 ( [自己意識, 영 self-consciousness]) |
헤겔은 인간의 인식 주관을 감성적 대상의식과 자기 의식으로 나누고 전자의 자기 운동에서 후자를 필연적으로 이끌어 내었다. ... |
* 자기磁氣 (Magnetismus ) |
사변적 사유의 주요 이념의 하나는 쿠자누스(Nicolaus Cusanus 1401-64) 이래의 '대립의 통일'의 원리이다. 자기에 대한 실험적 ... |
* 자기감정 (Selbstgefühl ) |
심정이 "자기 자신에게로 귀환"하여 "그것만으로 존재하는 현실적인 것"으로서 "만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정신현상학... |
* 자기관계 (Beziehung auf sich , Verhältnis zu sich selbst) |
사태와 범주의 존재방식을 논리적으로 규정하며 그 변증법적 운동을 추진하고 이끄는 개념장치의 하나.-자기관계에는 상반되면... |
* 자기유지(자기보존) (conservatio sui , Selbsterhaltung) |
홉스, 라이프니츠 등에 의해서 제시된 근대의 개체성의 원리. 예나 시기 이후의 저작에서는 예를 들면 "이미 현존하고 있... |
* 자기의식 (Selbstbewußtsein ) |
헤겔은 '자기의식'을 '의식'의 〈진리〉로서 파악한다[『정신현상학』 3. 135]. '의식'에 있어 참된 것은 어디까지나 자기... |
* 자립성 (Selbständigkeit ) |
일반적으로는 타자존재를 부정하고 "자기 자신에서 실체적인 것"과 "주관적인 특질의 강함을 지니고서 자기에 기초하는 개체성"... |
* 자발성 ([自發性, 영 spontaneity]) |
그것 자신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추진력에 의해서 활동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칸트나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자발성은 사고의 특... |
* 자본 ( Kapital) |
『법철학』에 따르면 시민사회의 '보편적 자산'의 배분에 관여할 가능성은 '자본'과 '기능(Geschicklichkeit)'에 의해 제약되... |
* 자본론 ([資本論, 도 Das Kapital]) |
마르크스의 주저로 전 3권으로 되어있다. 1867~1894년에 간행된 것으로 소위 자본제 생산양식의 생성ㆍ발전ㆍ몰락의 법칙을 밝히... |
* 자산 (Vermögen ) |
헤겔은 가족을 구성하는 세 가지 계기 가운데 하나로서 "가족의 소유와 재산 및 그에 대한 배려"[『법철학』 160절]를 들고 있... |
* 자살 (Selbstmord ) |
헤겔은 생애에 걸쳐서 여러 차례 자살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1) 소(小) 카토의 자살에 관해서는 『기독교의 실정성』 이래로, ... |
* 자아 ([自我, 라 ego, 영 self, 도 Ich, 프 moi]) |
인식, 의욕, 행동의 주체가 자기를 외계(外界)나 타인과 구별하여 이르는 말이다. 자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동일하고 단일... |
* 자아2 ( Ich) |
Ⅰ. 자아와 그의 자기의식은 근대 철학의 가장 근본적인 개념이다. "데카르트와 더불어 근대의 교양과 사유가 시작된다"고 ... |
* 자아 실현 ( [自我實現, 영 self-realization]) |
자아의 실현이 궁극의 목적이고, 거기에 따르는 행위가 올바른 행위라고 주장하는 그린과 브래들리의 윤리설(倫理說)이다. 이 ... |
* 자애 ( [自愛, 영 self-love, 도 Selbst liebe ]) |
자기 보존의 본능이며, 인간에게 갖추어진 것으로, 자기의 행복과 이익을 추구하는 성향을 말한다. 이것은 타인의 복리를 자신... |
* 자연 ([自然, 그 physis, 라 natura, 영,불 nature, 도 Natur]) |
physis와 natura는 '생기다' '이루어지다'라는 의미의 동사에서 유래된 말로 외부로부터 힘의 작용 없이 그 자체에 내재하는 힘으로... |
* 자연 도태 ([自然淘汰]) |
→도태
|
* 자연 발생설 ([自然發生說, 영 theory of spontaneous generation]) |
생물이 자신의 어버이가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 생각을 말한다. 예로부터 내려온 신앙과 같은 것으로 생명의 맹아가 우... |
* 자연 법칙 ( [自然法則, 영 law of nature, 도 Naturgesetz]) |
자연에 존재하는 사상(事象)들 사이에서 일반적이고 반복 가능한, 어떤 조건 하에서는 항상 나타나는 일정한 객관적인 관계를 ... |
* 자연 변증법 ([自然辨證法, 도 Dialektik der Natur]) |
자연물의 운동과 발전에 관한 일반적인 법칙으로서의 변증법, 또는 이런 의미의 변증법에 인식활동을 의식적으로 적용시켜 이... |
* 자연 본능 ([自然本能, 라 instinctus naturalis]) |
이 말은 고대부터 있었고, 한편으로는 직각(直覺)적인 평가, 통찰의 능력을 뜻하였으며 근대에서도 이러한 용법(헤르베르트)이... |
* 자연 상태 ([自然狀態, 영 state of nature, 도 Naturzustand]) |
근대 사회계약설에서 국가 성립을 설명할 때 전제가 되는 상태, 요컨대 정치사회가 형성되기 이전의 상태를 가리킨다. 홉즈를 ... |
* 자연 성장성ㆍ목적 의식성 ([自然成長性ㆍ目的意識性, 영 spontaneityㆍconsciousness]) |
레닌이 명백히 밝힌 마르크스주의 근본 사상의 하나이다. 19세기의 90년대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경제주의자'라 불리던 개량... |
* 자연과학 ([自然科學, 영 natural sciences, 도 Naturwissenschaften]) |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 1) 여기에서 말하는 자연이란 물질의 운동 형태이며 그 중에 미소한 것으로서는 소립자, 원자, 분자... |
* 자연과학적 유물론 ([自然科學的 唯物論, 도 naturwissenschaftlicher Mate rialismus]) |
의식에 의해서 반영된 외계가 객관적으로 실재한다고 하는 대다수의 자연과학자들이 갖고 있는 무의식적인 확신을 말한다. 즉 ... |
* 자연법 ( [自然法, 라 jus naturale, 영 natural law, 도 Naturrecht]) |
인간의 자연(본성)에 근거를 둔 법으로서 주로 역사적인 실정법에 반대하여 고찰되었다. 다만 자연법칙이 오직 존재에 관한 법... |
* 자연법2 (Naturrecht) |
헤겔에 따르면 역사적으로 보아 근대 국가가 구상되는 17세기 이후 자연법은 서로 대립하는 두 개의 학문적 취급방식을 완성시... |
* 자연사 ([自然史, 영 natural history, 도 Naturgeschichte,]) |
원어에는 박물학의 의미가 있지만 오늘날에는 쓰이지 않고 있다. 관념론에서는 인간을 자연의 목적으로 보아 인간과의 관계에... |
* 자연성장적 유물론 ([自然成長的 唯物論, 도 naturwuchsiger Materialismus]) |
고대 초기 그리스의 자연 철학자들(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등)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아직 관념론과의 명백한 ... |
* 자연의 균일성 ([自然의 均一性, 영 uniformities of nature]) |
귀납적 추리는 특수한 사례에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때문에 논리의 비약을 내포하는데, 그러한 비약을 가능하게 하는 조... |
* 자연의 빛 ( [라 lumen naturale]) |
은총의 빛, 즉 초자연적인 계시에 대하여 인간 이성의 통상적인 인식 능력을 가리킨다. 스콜라철학의 용어이지만, 데카르트 등... |
* 자연종교 ([自然宗敎, 영 natural religion]) |
1) 인간 본성으로서의 이성에 기초한 종교로서 계시종교에 반대된다. 이신론(理神論)과 동일하다. 2) [영 nature religion, 도 Natur-reli... |
* 자연종교2 (natürliche Religion , Naturreligion) |
자연종교란 인간이 직접적 상태에 있을 때의 종교의식이다. "신은 자연적인 것으로서 정립되며, 의식은 자연적 규정성에 사로잡... |
* 자연주의 ([自然主義, 영 naturalism]) |
1) 자연 이외의 실재를 인정하지 않고 이것을 일체의 존재와 가치의 원리로 보는 여러 가지 입장의 총칭이다. 이 입장에서 자연... |
* 자연주의적 허위 ([自然主義的 虛僞, 영 naturalistic fallacy]) |
G.E 무어의 용어이다. 그는 '선하다(good)'라고 하는 성질은 직관에 의해서만 파악되는 것으로 이것을 '기쁘다(pleasant)'나 '바라고 ... |
* 자연철학 ([自然哲學, 영 philosophy of nature, 도 Naturphilosophie]) |
근대 과학이 일어자기 전에는 널리 자연의 사물이나 발생에 관한 고찰 및 지식을 총칭하는 것이었고, 이 경우에는 '자연학'이라... |
* 자연철학2 (Naturphilosophie ) |
Ⅰ. 역사 속의 자연철학. 자연철학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서 시작되는 긴 역... |
* 자연학 ( [自然學, 희 physike, 라 physica, 영 physics]) |
그리스 철학에서 자연을 취급하는 부문을 가리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 수학과 나란히 이론학의 한 부문으로 나누었... |
* 자유 (Freiheit , frei) |
헤겔 철학은 근본적으로 자유의 철학이다. 자유로운 정신인 이성이 이 현실의 세계에 〈자유〉라는 이념이 실현되는 것... |
* 자유 ([自由, freedomㆍliberty, 도 Freiheit, 프 liberte]) |
자유는 많은 뜻을 가지고 있는 개념이지만 일반적으로 무엇인가를 하는 데 장애, 구속, 강제 등의 방해 조건이 없는 것을 말한다... |
* 자유 사상가 ([自由思想家, 영 free thinker]) |
18세기 영국의 계몽사상가들 중에 로크의 합리적 신학의 입장을 철저히 하여 기독교에서 반이성적, 초이성적인 것을 배제하고 ... |
* 자유 의지   |
→ 의지의 자유
|
* 자유운동 (freie Bewegung) |
자유운동은 헤겔에 따르면 물체의 개념에 의해서 정립된 물체에 내재적인 운동이다. 낙하가 물체의 개념을 양 규정에서밖에... |
* 자유주의 ([自由主義, 영 liberalism, 도 Liberalismus]) |
근대 자본주의 융성과 더불어 출현, 발전하여 온 산업 부르주아의 가장 기본적인 이데올로기이다. 그 주요한 특징은 인간을 무... |
* 자율 ( [自律, 영 autonomy]) |
타율(heteronomy)에 반대되는 말이다. 정치학에서는 자치를 의미하지만, 1) 칸트윤리학에서는 의지가 의지의 본질인 이성의 명령(... |
* 자의 (Willkür , arbitrium ) |
원래는 의지의 '선택능력', '선택의 자유'를 의미했다. 칸트에 따르면 "인간의 자의는 확실히 감성적이긴 하지만 동물... |
* 자이나교 ([영 Jainism, 도 Jainismus]) |
인도 종교의 하나로서 마하비라(Mahāvira, BC 444sus~372경)를 시조로 하여 불교와 함께 발전하였다. 정통 브라만교와 대립하는 ... |
* 자장 (慈藏) |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때의 고승. 속성은 김(金). 속명은 선종(善宗). 진골(眞骨) 무림(茂林)의 아들로서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
* 작품(일) (Work) |
의식이 행위를 통해 스스로의 본질과 목적을 대상으로서 현실화한 것. "작품은 의식이 자신에게 부여하는 실재성이다. 요컨... |
* 잠재 · 현재 (Dynamis · Energie(Entelechie) |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이전의 철학자들의 원인에 관한 학설을 자세히 검토하고 그들에 의해서 언급된 사물의 네 가지 원인(질료... |
* 장병린 ( 章炳麟) |
1869~1936. 청조 말기 중화민국 초의 혁명사상가로서 혁명 후에는 '국학대사라 칭하여졌다. 고증학에서 강유위 등의 개혁주의로 전... |
* 장소[자연철학] (Ort) |
'장소'는 공간과 시간의 통일태, 공간-시간점이며, 단순한 시간점, 단순한 공간점이라는 추상적인 점과 달리 자연적 세계... |
* 장소[종교철학] (Ort) |
자연철학과는 다른 맥락에서, 말하자면 종교철학적인 의미에서 헤겔이 사용하는 '장소'가 있다. 그것은 고유성 내지 본질이 성... |
* 장유 (張維) |
1587~1638. 조선 인조 때의 문신. 양명학자. 자는 지국(持國). 호는 계곡(溪谷).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가... |
* 장자 ( 壯子) |
전국시대의 BC 4세기 후반 인물로서 이름은 주(周)이고 송(宋)의 작은 마을 관리였다고 전해진다. 『장자』는 그의 유파의 논집... |
* 장지연 ( 張志淵) |
1864~1921. 조선말의 학자. 언론인. 자는 순소(舜韶). 호는 위암(韋庵). 항일 우국지사로서 을사보호조약에 대해 11월 20일자 황성신... |
* 장횡거 (張橫渠) |
1020~1077. 북송의 유교 철학자로서 이름은 재(載)이고 협서성 출신이다. 그에 의하면 천지만물은 일기(一氣)의 집산(集散)으로, 집... |
* 재산공동체 (Gütergemeinschaft) |
헤겔은 재산공동체의 존립 가능성에 관하여 기회 있을 때마다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기조는 시종일관 부정적이었다.청년기... |
* 쟝세니즘 ([프 jansenisme, 영 jansenism]) |
종교 개혁에 대항하여 일어난 카톨릭 교회의 개혁 세력의 일파이다. 동일한 카톨릭 교회 개혁의 내부에서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 |
* 적대적 모순 ([敵對的 矛盾, 도 Antagonismus antagonistischer Widerspruch]) |
사회생활에서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투쟁’에 있어서 양자 사이에 근본적인 이해의 대립이 있으므로, 그 모순의 해결이 단지... |
* 적법성   |
→ 도덕성
|
* 적응 ( [適應, 프 adaptation, 도 Anpassung]) |
1)생물이 그의 환경, 또는 가장 일반적으로 그것에 작용하는 것과 조화를 이루는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2) 다양한 동식물의 ... |
* 적자생존 ( [適者生存, 영 survival of the fittest]) |
스펜서가 만든 말로서 최적자 생존이라고도 번역한다. 다윈은 왈라스(A. R. Wallace)의 권유로 『종의 기원』5판(1869)에서 이 말을 ... |
* 전기電氣 (Elektrizität) |
헤겔은 전기를 물리학적 과정과 화학적 과정의 경계에서 성립하는 현상으로서 파악한다. "물체는 그 특수성이라는 점에서는 원... |
* 전도 顚倒 (Verkehrung) |
말의 뜻으로는 어떤 상태와 규정을 역전시키는 것 또는 역전된 상태를 가리킨다. 일찍이 "······ 철학은 지성 나아가 건전한 ... |
* 전봉준 (全琫準) |
1854~1895. 동학혁명의 지도자. 별명은 녹두장군(綠豆將軍). 30세경에 동학에 입도하여 고부접주(古阜接主)가 되었다. 고부 군수 조... |
* 전쟁 (Krieg) |
전쟁은 보통 평화로부터의 일탈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헤겔은 전쟁을 특히 국가의 독립에 있어 중요한 계기라고 간주한다. 헤... |
* 전제 ([前提, 영 premise, 도 Vordersatz]) |
추리를 행하는 경우에 결론의 근거가 되는 이미 알려진 또는 가정된 판단을 말한다. 삼단논법의 경우에는 대전제와 소전제가 구... |
* 전진교 ([全眞敎]) |
왕중양(王重陽, 1113~1170)을 시조로 하여 후세까지 커다란 세력을 떨쳤던 서민 도교(道敎)로서 신도교(新道敎)라고도 불린다. 구(... |
* 전체 (Allheit , Ganzes) |
일반적으로 개별 또는 부분에 대치되어 사용되는 개념이다. 다만 헤겔에게서 그것은 궁극적으로 개별이나 부분과의 대립이나 ... |
* 전체 ([全體, 영 the whole, 도 das Ganze]) |
부분에 반대되는 말이다. 전체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부분은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이지만, 1) 전체가 부분의 단순한 총화로서 ... |
* 전체론 ([全體論, 영 holism]) |
남아프리카 연방의 정치가였던 스무츠(J. C. Smuts, 1870~ 1950)가 만든 말이다. 그에 의하면‘전체’는 부분의 총화라고 설명할 수 ... |
* 전체주의 ([全體主義, 영 totalirarianism]) |
파시즘의 정치 원리로서 전체(민족이나 국가)의 이익은 개인의 이익에 우선한다고 하는 생각을 말한다. 따라서 개인주의, 자유... |
* 전통 ([傳統, 영 . 프 tradition, 도 uberlieferung]) |
넓은 의미의 전통은 습관과 풍속이 시간적 순서를 밟아 전대(前代)에서 후대(後代)로 전승되는 줄기를 의미하며 이것은 공간적... |
* 전통2 (Tradition) |
초기 헤겔에서 전통은 습속으로서의 민중종교에서 문제로 된다. 그것은 실천적인 동시에 공동적인 것이다. 그것을 담지하는... |
* 전통주의 ([傳統主義, 영 traditionalism]) |
1) 널리 전통에 집착하는 태도나 사상을 의미하지만 특히 전통적인 습속(習俗), 정치형태, 종교형태 등을 그러한 것들의 합리성... |
* 전형 ([典型, 영 type]) |
예술은 감성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나타나는 것은 모두 개별적인 사물이며, 개성적이다. 이것이 개성을 상실하지 않... |
* 전환점 ([轉換點, 도 Knotenpunkt]) |
헤겔의 논리학에서 '도량(度量. Maß)'에 속하는 개념이다. 양적 변화가 사물의 질적 변화를 초래하는 과정을 전환선(Knotenlinie)이... |
* 절대 ( [絶對, 영 absolute]) |
형용사나 명사로 사용된다. 1) 어떠한 제한이나 유보도 없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절대적 권력 등의 경우가 그것이다. 2) 다른 어... |
* 절대(적)정신 (absoluter Geist ) |
헤겔의 정신철학에서 주관적 정신-객관적 정신에 이어서 정신이 자기로 귀환하는 최고의 단계를 차지한다. 따라서 그것은 정신... |
* 절대 정신 ( [絶對情神, 도 absoluter Geist]) |
헤겔에 있어서는, 이데아는 외화하여 자연으로 전화하며 인간에 있어서 주관적 정신으로서 출발하여 그 최후의 단계에서 주관... |
* 절대 타자성 ([絶對他者性 , 도 Ganzanderheit]) |
신이 인간과 세계에 대하여 질적으로 무한히 떨어져 있는 초월적인 창조자이며 인간과 세계에 대해 은폐되어 있음을 말한다. ... |
* 절대자 · 절대적인 것 (Absolutes) |
절대자 · 절대적인 것이란 '신'이라는 종교적 표상에 대해서 헤겔이 부여한 철학적 표현이다. 헤겔 철학의 주요 테마의 하나는 ... |
* 절대적 관념론 ([絶對的 觀念論, 도 absoluter Idealismus]) |
헤겔의 용어로 그에 의하면 '우리들이 직접적으로 알고 있는 사물'은 칸트가 고찰한 바와 같이 주관에 의존한다고 하는 의미에... |
* 절대적 진리ㆍ상대적 진리 ([絶對的 眞理ㆍ相對的 眞理, 영 absolute-relative truth]) |
인간의 인식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것이며 어떤 역사적 단계에서의 인식은 역사적 조건들에 의해서 제약되기 때문에 각 단계에 ... |
* 절대지 ([絶對知, 도 absolutes Wissen]) |
셸링이나 헤겔에 있어서 주관과 객관은 대립하는 두 개가 아니라 동일하다는 것과 같은 지식을 말하며, 철학은 그러한 지식이라... |
* 절대지2 (absolutes Wissen ) |
헤겔은 『정신현상학』 서문에서 "학의 토대이자 지반"으로서 절대지를 말하고, 그 존재방식을 "절대적인 타자존재에서의 순수... |
* 절망 ( [絶望, 도 Verzweifelung]) |
키에르케고오르의 종교적인 사색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그에 의하면 관능의 만족만을 추구하게 되면 항상 변화를 좇아가... |
* 절망2 (Verzweiflung ) |
헤겔에게 있어 절망이란 의식이 처음에 진리라고 생각하고 있던 것이 사실은 "무와 같은 것이라고 완전하게 확신하는 것"[『정... |
* 절의 문제 ( [節義問題]) |
조선 전기 5대 문종(文宗)이 죽자 12세의 단종(端宗)이 즉위했을 때, 문종의 동생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를 찬탈한 사건에서 ... |
* 절충주의 ( [折衷主義, 영 eclecticism]) |
다른 사상이나 견해로부터 일치하지 않는 점을 무시하고 서로 타협할 수 있는 것만을 취하여 결합하는 태도를 말한다. 철학사적... |
* 점 (Wahrsagerei ) |
별, 새, 거북의 등딱지, 나뭇가지, 짐승의 내장, 손과 얼굴의 특징, 꿈, 카드, 이름과 생년월일 등, 사용하는 수단은 다양하다. 공... |
* 점성술 (Astrologie ) |
"점성술은 인류 및 개인의 운명을 유성의 현상 및 위치와 결부시킨다"[『엔치클로페디(제3판) 정신철학』 392절 「보론」. 이하 ... |
* 접촉 (Berührung) |
물체나 질량 등의 외적인 표면적 맞닿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외적 접촉은 개별적인 것 자신의 내적 관계를 초래한다. 요컨대 두 ... |
* 정 · 반 · 합(삼지성) (These · Antithese · Synthese(Dreiheit) |
정 · 반 · 합은 〈정립-반정립-종합〉의 약칭이며, 헤겔 변증법의 특징으로서 널리 유포되어왔지만, 헤겔 자신은 이 표현을 ... |
* 정ㆍ반ㆍ합 ([正ㆍ反ㆍ合, 도 TheseㆍAntitheseㆍSynthese]) |
헤겔의 변증법적인 진행형식의 삼단계로서 정립ㆍ반정립ㆍ종합의 생략된 말이다. 즉자ㆍ대자ㆍ즉자대자, 긍정ㆍ부정ㆍ부정의... |
* 정감록 ([鄭鑑錄]) |
조선 중기 이후 인간에 성행한 국가 운명과 생민존망(生民存望)에 대한 예언서. 조선조의 선조인 이담(李湛)이 정씨의 조상 정... |
* 정념 ((情念)) |
→ 감정
|
* 정도전 ( 鄭道傳) |
? ~1398.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峰). 목은 이색의 문인으로 , 이성계를 도와 조선 개국공신이 ... |
* 정립 ( [定立, 도 These]) |
반정립과 대립되는 것으로 긍정적인 주장을 말한다. 칸트에게 있어서 이율배반의 정립과 반정립은 해결될 수 없는 모순이었다.... |
* 정립2 (Setzen ) |
일반적으로 어떤 사항을 내용에 의해서 규정하는 것(Bestimmen), 또한 그것을 명제(Satz)에 의해서 표현하는 것(Position)을 말한다. 그... |
* 정몽주 (鄭夢周) |
1337~1392. 고려 말 성리학자. 초명은 몽란(夢蘭). 몽룡(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여말 삼은의 한 사람. 젊어서부터 ... |
* 정밀 과학 ( [精密科學, 영 exact science]) |
'정확(precise)'에 대해서 '정밀(exact)'이란 특히 양적 규정에 관하여 철저히 연구된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수학, 물리학, 화학 등... |
* 정보 ( [情報, 영ㆍ프 information, 도 Information]) |
'어떤 사태에 관한 지식' 이라는 막연한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인간 사회에서는 이... |
* 정서 ([情緖]) |
→감정
|
* 정신 ([情神, 그 nus, 영 mindㆍspirit, 도 Geist, 프 esprit]) |
1) 물질이나 육체에 대립되는 것으로 마음이나 영혼과 같은 의미로도 시용되지만, 정신이라고 하는 경우에도 대부분은 고차원... |
* 정신(의)현상학 (Phänomenologie des Geistes) |
생전에 『정신(의)현상학』이라는 제명의 저작을 헤겔은 한 책도 쓰지 않는다. (1) 1807년에 출판된 『학의 체계』를 헤겔의 개정 ... |
* 정신2 (Geist) |
Ⅰ. 체계 시기에서의 정신 개념. 헤겔 철학의 중심 개념. 정신이 자기로 귀환한 것인 좁은 의미의 정신만이 아니라, 논리-자연-정... |
* 정신 물리적 병행론 ( [精神物理的竝行論]) |
→병행론 |
* 정신 물리적 병행론 ([精神物理的竝行論]) |
→병행론
|
* 정신 물리학 ([精神物理學, 도 Psychophysik, 영 psychophysics ]) |
페흐너가 만든 말로서, 그가 제창한 정신과 신체의 대응 관계에 관한 실험적 수량적 연구를 말한다. 이 연구는 정신과 신체의 병... |
* 정신과학 ([精神科學, 도 Geisteswissenschaften]) |
자연과학에 반대되는 것으로서 분트는 정신과정의 학(심리학) 등과 정신적 소산에 관한 학(법률학, 경제학 등 특수과학), 그리... |
* 정신분석 ( [精神分析, 영 psychoanalysis ]) |
프로이트가 시작한 신경증의 정신요법과 이것에 사용된 정신의 심층을 연구하는 방법, 그리고 여기에서 발전된 그의 심리학 이... |
* 정신사 ([精神史, 도 Geistesgeschichte]) |
관념론적 역사관을 가진 하나의 입장이다. 역사에 있어서는 개개의 사실의 인과 관계를 넘어 정신적인 힘 즉 이념(예컨대 자유 ... |
* 정신장애 (Verrücktheit ) |
헤겔의 우리말 번역 문헌에서 Verrücktheit는 '정신착란'이라고 번역되는 것이 많으며 '미침', '의식의 미침', '광란'이라... |
* 정신적인 동물의 나라 (das geistige Tierreich ) |
'이성'이 전개되는 가운데 대상적 현실이라고 말해지는 것은 개별적인 사람들의 활동의 총체에 다름 아니라는 것이 분명해진다.... |
* 정신착란 ( Verrücktheit) |
정신착란은 영혼(Seele)의 발전과정에서의 필연적인 한 단계, 형식이다. 즉 영혼은 자연적 영혼(natürliche Seele)으로부터 감... |
* 정약용 (丁若鏞) |
1762~1836. 조선 실학의 집대성자. 자는 미용(美 鏞)ㆍ송보(頌甫), 호는 다산(茶山)ㆍ삼미(三眉)ㆍ여유당(與猶堂)ㆍ자하도인(紫霞道... |
* 정언적 명령 ([定言的命令, 도 Kategorischer Imperativ]) |
칸트에는 도덕법칙의 형식이다. Imperativ는 명령(도 Gebot)의 방식이며 이 명령은 일반적으로 의지를 강제하는 의미를 갖는 법칙인... |
* 정언적 삼단 논법 ([定言的三段論法, 영 categorical judgment, 도 Kategrisches Urteil ]) |
S는 P이다.", "S는 P가 아니다." 라는 형식의 판단으로 아무런 조건없이 주어에 관해 술어를 긍정 또는 부정하는 것을 말한다. 가언... |
* 정열 (Leidenschaft) |
인륜적인 것이 주체에 내재적이고 후자가 전자를 움직이는 것일 때 주체가 부분적으로가 아니라 전면적으로 자기를 활동하도록... |
* 정유 ([定有]) |
→현존재 |
* 정의 ([定義, 영 definition]) |
개념의 내포를 결정하는 것으로 사전에서 볼 수 있는 개념에 대한 설명도 정의이지만 이것은 개념을 다른 말로 바꾼 것에 불과... |
* 정의定義 (Definition) |
일반적으로 정의는 전통적인 관점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인간'의 정의인 '이성적 동물'에서 보이듯이, 정의되는 개념(인간)에 대... |
* 정의正義 (Gerechtigkeit) |
일반적으로는 사태의 필연적인 전개에 합당한 것. 특수에 대한 보편의 우위를 유지하고, 특수가 보편을 위협하는 경우에는 그것... |
* 정적주의 ( [靜寂主義, 프 quietisme]) |
1)명상에 의해서 합일하여 영혼의 완전한 평안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그 외 도덕이나 종교행위를 쓸모없다고 하는 신비주... |
* 정제두 (鄭齊斗) |
1649~1736. 조선 인조ㆍ영조 때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 처음에 주자학을 공부했으나, 주자학에 ... |
* 정체政體 (Verfassung) |
Ⅰ. 정체관의 변천. 정체는 국가의 조직형태지만, 청년기의 헤겔은 "공화국에서 사람들이 그것을 위해 살아가는 것은 이념이... |
* 정풍운동 ([整風運動]) |
삼풍정돈(三風整頓)이라고도 하며 여기서 삼풍이란 '학풍(學風)', '당풍(黨風)', '문풍(文風)'을 의미한다. 모택동은 1942년에 중국... |
* 제관 ( 諦觀) |
?~970 고려 광종 때의 천태학습(天台學習), 중국 천태종과 의적(義寂)의 법을 이어받아 귀국하였다. 960년 오월(吳越)의 왕 전숙(錢... |
* 제논 (Zenon,) |
BC 490년경~430년경. 엘레아학파의 철학자로서 파르메니데스의 제자이다. 파르메니데스가 주장한 유일 부동(不動)의 ‘존재’에 ... |
* 제논. (Zēnōn,) |
BC 335~263. 스토아학파의 창시자로서 아테네에 이주하여 플라톤 학도 등에게 배웠고 퀴닉학파로 옮겨갔으며 나중에는 아테네시의... |
* 제논의 역설 ([영 Zeno's paradoxes]) |
제논이 엘레아학파의 유일한 존재를 변호하기 위해 다수성(多數性)과 운동을 상정하면 모순에 빠진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 먼... |
* 제도 (Einrichtung ) |
제도는 인륜론 가운데서 두드러진 것은 없지만, 인륜의 이념을 구체적으로 분절화하여 전개하는 데서 불가결한 개념이다. 인륜... |
* 제도 ([制度, 영 institution]) |
일정한 목적을 위해 사람들의 행동을 규율하는 수단의 체계를 말한다. 예컨대 가족제도, 종교제도, 정치제도, 법률제도 등이 그... |
* 제사(의례) (Kultus) |
헤겔의 종교사상의 근저에 제사로서의 종교의 재건이라는 동기가 놓여 있다. 튀빙겐 시대의 그리스 축제에 대한 소박한 공명은 ... |
* 제사(축제) (Fest ) |
청년 시대의 헤겔은 그리스 인의 제사를 종교의 이상으로 삼아 왔다. 계몽의 풍조는 종교를 이성적 교의로 환원하고. 희생제물... |
* 제약 ([制約]) |
→ 조건 |
* 제약 · 무제약 ( Bedingung · das Unbedingte) |
헤겔은 『정신현상학』의 '지각' 및 '힘과 지성' 절에서 '사물(Ding)'을 구성하는 보편적인 계기들을 '제약된' 보편성이라고 부르... |
* 제왕운기 ([帝王韻紀]) |
고려 시대의 문인 이승휴(李承休)가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사에 운(韻)을 붙여 적은 책으로 상ㆍ하 2권인데 상권은 중국의 역사를... |
* 제이 성질   |
→ 제일 성질 |
* 제이 신호계 ([第二信號系, 영 second signal system]) |
파블로프 학설의 용어이다. 이 학설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행동이 조건 반사로 조립되어 있다고 이해하고 하나의 조건 반... |
* 제일 성질 ([第一性質, 영 primary quality]) |
로크의 용어로서, 그에 의하면, 제일 성질이란 ‘물체가 어떠한 상태에 있거나 물체와 분리될 수 없는’ 모든 성질이며 이러한 ... |
* 제일 철학 ([第一哲學, 그 prote philosophia, 라 prima philosophia]) |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형이상학』에서 논술한 ‘존재론’을 이렇게 불렀으며 데카르트는 그의 주저를‘신의 존재 및 인간... |
* 제임스 ( James, William) |
1842~1910. 미국 철학자이며 심리학자. 생리학자이다. 경험을 ‘의식의 흐름’이라고 하는 태도에서 '순수 경험 의 연속, 변화, 유... |
* 제자백가 ([諸子百家]) |
중국 철학사상 주(周)의 ‘봉건적’ 씨족사회가 무너지고 진한(秦漢)이 성립되어 유교가 국학으로 지정된 기원적 136년까지의 주... |
* 제천의식 ( [祭天儀式]) |
자연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고대 의식. 이집트(Egypt), 멕시코(Mexico), 중국 등 고대 시대의 제사의식에서도 이 같은 것을 찾아 볼 수... |
* 젠틸레 (Gentile, Giovanni) |
1875~1944. 이탈리아 신헤겔주의자로 서로마 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크로체와 함께 잡지 『비평』Critica 을 창간하였지만 후에 그... |
* 젠틸리 (Gentili, Aberico, 라 Gentilis, Albericus) |
1552~ 1608. 이탈리아의 법학자로서 프로테스탄트로 전향했다는 이유로 국외로 망명하였으며 후에 옥스퍼드 대학에서 강의하였... |
* 조각 (Skulptur , Plastik ) |
조각은 헤겔 미학에서 고전적 예술을 근본유형으로 지니는 예술이다. 이 예술양식은 "미의 왕국의 완성"이며, "보다 아름다운 것... |
* 조건 ([條件, 영ㆍ프 condition, 도 Bedingung]) |
제약이라고도 한다. 1)명제 a가 참이면 b도 참이라고 하는 논리적 관계, 또는 사태 a가 일어나면 b도 일어난다고 하는 실재적 관... |
* 조건 명제 ([條件命題, 영 conditional proposition]) |
임의의 명제 ‘p', 'q'에 대하여 ’p이면 q'의 형태의 명제를 일반조건 명제라고 부르지만, 논리학에서는 이 ‘……이면’은 진리... |
* 조건 반사 ([條件反射, 영 conditioned reflex]) |
인간을 포함한 고등동물이 선천적으로 갖고 있지 않은, 살아가는 동안에 획득되는 반사, 다시 말하면 일정한 조건 하에서 형성... |
* 조계종 ([曹溪宗]) |
고려 시대에 신가 때부터 계승되어 온 구산선문(九山禪門)을 합친 불교 종파로서 의천(義天)의 천태종(天台宗)에 대응하는 명칭.... |
* 조광조 (趙光祖) |
1482~1519. 조선 중종 때의 성리학자ㆍ정치가.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庵). 14세에 한훤당(한훤당) 김굉필(김굉필) 문하에서 ... |
* 조로아스터교 ([Zoroastrianism]) |
BC 7세기경에 이란의 예언자로 알려진 조로아스터(영 Zoroaster, 페르시아 명 Zarathushtra)가 창시한 종교이다. 그 경전『아베스타』Av... |
* 조명설 ([照明說, 도 Illuminationstheorie]) |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을 예지적인 빛에 비유하여 우리가 태양의 빛에 의해서 여러 가지의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처럼 신적인 빛... |
* 조식 (曺植) |
1501~1572. 조선 명종 때의 성리학자. 자는 건중(建仲). 호는 남명(南溟). 평생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처사(處士)로 지냈다. 젊어서 ... |
* 조여적 (趙汝籍) |
조선 명종 때의 도사. 호는 용잠거사(龍岑居士) 또는 청학산인(靑鶴山人). 위한조(魏漢祚)의 도통을 이어받았다. 그가 지은『청... |
* 조작주의 ([操作主義, 영 operationalismㆍoperationism]) |
과학적 개념의 의미는 일군의 조작(operation)에 의해서 주어진다고 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견해는 물리학자 브리지만(Bridgman)에 의... |
* 조정 ([措定, 영 posit, 도 setzen]) |
1) 일반적으로 'A가 있다', 'S는 P이다'라고 하는 것처럼 어떤 사물이 존재하는 것을 긍정하든지 어떤 내용을 이러저러한 것으로... |
* 조화 (Harmonie) |
Ⅰ. 모순과 그 지양이라는 이를테면 투쟁적인 성격을 띤 동적인 것에 의해서 관철된 헤겔의 철학체계에서 조화는 제한된 역할밖... |
* 존엄 ([尊嚴, 도 Wurde, 영 dignity]) |
품위라고도 한다. 칸트는 이성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은 목적 자체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취급해서... |
* 존재 ([存在, 영 being, 도 Sein, 프 etre]) |
유(有)라고도 한다. 존재란 '있다' 또는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 '있다'는 가장 보편적이면서 단순한 개념이기 때문에 보편적인 ... |
* 존재(유) ( 存在(有) , Sein ) |
헤겔에서 존재란 "무규정적 직접성(unbestimmte Unmittelbarkeit)"을 의미한다[『논리의 학』 5. 82]. 프랑크푸르트 시대의 "주... |
* 존재 명제 ( [存在命題, 영 existential proposition]) |
일반적으로 'x가 존재한다', 'x가 있다'라고 하는 구조를 가진 명제를 존재 명제라고 한다. 근대 논리학에서는 어떤 것의 존재는 ... |
* 존재론 ([存在論, 영 ontology]) |
자연이나 정신과 같은 특수한 존재자가 아니라 모든 존재자가 존재자로서, 갖고 있는 공통적인 것, 존재자가 존재자로서 갖는 ... |
* 존재론2 (Ontologie) |
존재를 부수적 · 특수적으로가 아니라 자체적 · 보편적으로, 즉 존재를 존재 그 자체로서 탐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제1철... |
* 존재론적 증명   |
→신 존재의 증명
|
* 졸거 (Solger, Karl Wiihelm) |
1780~1819. 독일 낭만주의 미학자로서 플라톤과 셸링의 영향을 받아 미는 초감성적인 이데아의 감성적인 표현이라고 하였지만, 이... |
* 종 ([種]) |
→ 유개념.
|
* 종개념 ( [種槪念]) |
→ 유개념
|
* 종교 ([宗敎, 영 religion]) |
그 기본적인 특징은 어떠한 의미에서의 초자연적ㆍ초인간적인 것에 대한 신앙이며, 이것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의례[儀禮; 제... |
* 종교2 (Religion) |
Ⅰ. 종교의 개념. 종교란 인간이 절대자(정신)를 의식함과 동시에 그것을 통해 절대자(정신)가 자기를 의식하는 사건이며, 절대... |
* 종교개혁 ([宗敎改革, 도 Reformation]) |
16세기 전반에 유럽의 가톨릭 교회에서 일어난 운동으로 그 결과 로마 교회로부터 프로테스탄티즘의 여러 유파가 분리하게 되... |
* 종교개혁2 ( Reformation) |
세계사에서 정신이라는 태양은 동양에서 떠올라 게르만의 삼림으로 저물게 된다. 그러나 역사를 좀더 잘 살펴보면, 인류는 ... |
* 종교철학 ([宗敎哲學, 영philosophy of religion, 도 Religions philosophie]) |
종교 일반의 본질, 가치, 진리 내용에 관한 철학적인 연구를 말한다. 종교에 관한 철학적인 실증적인 연구(종교학, 종교사, 종교... |
* 종말론 ( [終末論, 영 eschatology]) |
죽음, 최후의 심판, 천국과 지옥, 세계의 종말, 미래 등 대개 종말적인 상황을 논하는 기독교 신학의 일부이지만 종말 사상은 이... |
* 종합 (Synthese) |
헤겔에게 있어 일반적으로 종합이라는 개념에서는 그것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표상'의 입장에 특징적인, 외적으로 따로따로 ... |
* 종합 ([綜合, 영 synthesis]) |
분석에 반대되는 말이다. 몇 개의 요소를 결합하여 하나의 전체로 통일하는 것과 그 결과를 말한다. 종합은 대상과 표상들을 그... |
* 종합 판단 ([綜合判斷, 도 synthetisches Urteil]) |
칸트는 분석 판단과 종합 판단을 구별하였다. 분석 판단은 주어의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아 프리오리(a priori)하게 이루어지지만 ... |
* 종합철학 ([綜合哲學, 영 synthetic philosophy]) |
스펜서가『제일 원리(기본구상)』에서 시작하여『생물학』,『심리학』,『사회학』,『윤리학』에 이르는 전 10권에 이르는 자... |
* 죄 (Sünde , Schuld ) |
종교에서 일반적으로 신의 명령을 위반하는 것이 죄이지만, 기독교적으로는 모든 죄의 기점으로서의 원죄가 모든 인간에게 ... |
* 죄 ([罪, 라 peccatum, 영 sin, 도 Sunde, 프 peche]) |
인간이 율법을 거슬러서 의식적으로 자유의지를 발동하는 것이다. 죄의 관념은 종교 일반에 나타나고 있지만 특히 유대교나 기... |
* 주관ㆍ주관적ㆍ주관성 ([主觀ㆍ主觀的ㆍ主觀性, 영 subjectㆍsujectiveㆍsujectivity]) |
주체와 동일한 뜻으로 쓰이기도 하나, 주체가 존재론적인 용어로서 실천성과 실체성을 표현하는 것에 대하여 주관은 지각, 판... |
* 주관과 객관 (Subjekt und Objekt) |
Ⅰ. 일반적 특징. 헤겔이 Subjekt와 Objekt라는 말을 그대로 대조시켜 사용하는 것은 적으며, 또한 Subjektivität와 Objekti... |
* 주관적 관념론 ([主觀的 觀念論, 영 subjective idealism]) |
세계를 개인의 의식 내용에 귀착시켜 일체의 사물은 개인의 주관적인 관념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관념론을 말한다. 양명... |
* 주관주의 ([主觀主義, 영 subjectivism]) |
1) 일반적으로 우리의 주관(개인이나, 민족 또는 인류의)에 관계되지 않는 객관적 진리를 부정하는 입장을 말한다. 2) 모택동은 ... |
* 주권 (Souveränität ) |
정치적 존재로서의 국가의 권력과 직무는 전체로부터 분리된 독립된 권한을 지니는 것이 아니라 이 전체의 유동적인 지절(Gl... |
* 주기론 ([主氣論]) |
이(理)의 운동능력을 부정하고 기(氣)의 운동 능력만을 인정하여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한 이이(李珥)의 학설... |
* 주리론 ([主理論]) |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에 있어, 이(理)의 운동 능력을 인정하여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주장한 퇴계(退溪)의 학설을 지지한... |
* 주어와 술어 ( Subjekt und Prädikat ) |
일반적으로 판단(또는 명제)은 'S는 P이다'라는 형태로 제시되는 주어 S와 술어 P의 계사(='이다')에 의한 결합의 형식(구문... |
* 주연 ( [周延, 영 distribution, 도 Verteilung]) |
확충(擴充)이라고도 한다. “모든 S는 P이다.”라고 하는 판단에서는 S라고 하는 개념이 그 외연의 전부에 대해서 P일 것이 주장... |
* 주염계 (周濂溪) |
1017~1073. 북송(北宋)의 유교 사상가로 역학(易學)에서 주장하는 태극-음양-오행-만물이라고 하는 우주 전개의 단계를 인간의 측... |
* 주의설 ([主意說, 영 voluntarism]) |
퇴니스(F. Tönnies)에 의해 비롯된 말(1883)로서, 1) 세계의 본질을 의지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관념론적인 형이상학설(쇼펜하... |
* 주인과 노예 (Herrschaft und Knechtschaft ) |
계몽의 시대 사람들은 사회를 형성하는 이전의 인간 상태를 둘러싸고 다양하게 논의했다. 이러한 이른바 자연상태에서 헤겔은 ... |
* 주자학 ( [朱子學]) |
주희가 주염계, 장횡거,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의, 그 중에서도 정이천의 이기설에 의거하여 대성시킨 것이다. 성리학... |
* 주지설 ([主知說, 영 intellectualism]) |
일반적으로 지성적, 이론적인 것을 정의적(情意的), 행동적인 것보다도 우위에 두는 입장을 말한다. 비난의 뜻(생명력의 경시, ... |
* 주체 ( [主體, 영subject]) |
라틴어subjetum은 원래 존재론적으로 ‘근저에 있는 것(그 hypokeimenon)'을 의미하고 기체나 실체와 거의 동일하게 여러 성질, 상태, ... |
* 주희 (朱喜) |
1130~1200. 남송의 유교 사상가로서 처음에는 노장사상과 불교에 흥미를 가졌으나 24세에 이연평(李延平)에게 유교를 배워 그 후 ... |
* 죽음 ( Tod) |
예수의 죽음이 기독교에서의 '가장 중요한 것, 즉 중심'이라는 것은 이미 『민중종교와 기독교』 이래로 헤겔이 반복하여 말... |
* 준칙 ([準則]) |
→ 격률
|
* 준칙2 (Maxime) |
헤겔은 칸트의 '준칙'에 대해 그것은 내용이 주어질 때에는 자기 자신도 폐기해버린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가난한 사람들... |
* 중개념 ( [中槪念]) |
매개념(媒槪念)이라고도 한다. ⇒ 대개념 |
* 중국 (China) |
헤겔에 따르면 중국의 원리는 하늘(天)이며, 그것이 인간에게서 체험적으로 직관된 것이 도(이성)이다. 도는 만물의 생성의 근본... |
* 중보자仲保者 (Mittler) |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보자' 예수[디모데전서 2:5]라는 기독교의 사상을 헤겔은 유한자와 무한자 사이의 중보자라는 형태로 ... |
* 중세 ( Mittelalter) |
중세는 게르만 세계의 제2기, 카를 대제(Karl Ⅰ 742-814)의 치세로부터 카를 5세(Karl Ⅴ 1500-58)까지, 즉 9세기부터 16세기에 걸... |
* 중세 철학 (mittelalterliche Philosophie ) |
철학사는 크게 3기로 나누어진다. (1) 그리스 철학. 탈레스의 시대로부터 신플라톤주의 철학, 나아가 모든 철학의 소멸까지 1,000... |
* 중세철학 ([中世哲學, medieval philosophyㆍof Middle Age]) |
중세(9~15세기 전반) 서양철학의 총칭으로서 대부분이 광의의 스콜라철학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하지만 중세철학 속에는 교회가... |
* 중용 ([中庸]) |
과부족(過不足)이 없을 정도로 알맞은 중간을 취한다는 것은 예부터 행동상의 지혜로 되어 있지만, 이 생각을 윤리학에서 주장... |
* 중항(매사)中項(媒辭) (Mitte , Mittel) |
중항 또는 매사는 형식논리학의 삼단논법적 추론에서 소전제와 대전제를 결합 · 매개하여 결론을 도출할 뿐 아니라 격식의 구... |
* 중화中和 (Neutralisation) |
중화란 오늘날 일반적으로는 산과 염기(알칼리)가 혼합되면 산에서 수소 이온이 염기로 건네져 산의 성질과 염기의 성질 모두가... |
* 즈다노프 (Zhdanov, Andrei Aleksandrovich) |
1896~1948. 소련 공산당의 활동가. 1915년에 입당, 30년에 중앙위원, 39년에 정치국원이 되었다. 제 2차 대전에는 레닌그라드 방위를 ... |
* 즉자 ( [卽自, 도 an sich]) |
‘대자적(對自的ㆍfür sich)','즉자 대자적(an und für sich)'과 함께 헤겔변증법의 근본 개념이다. 대자적이라는 술어를 가끔 ... |
* 즉자2 (Ansich ) |
'즉자'는 '다른 것'과의 관계없이 오로지 그 자신에서(ansich) 주제로 되는 일이나 그렇게 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대자'와 맞짝... |
* 즉자대자 (An-und-Fürsich ) |
'즉자대자'는 발전하는 존재와 인식에서 그때마다의 최고의 단계이며, 대립의 배제나 은폐가 아니라 대립을 '계기'로서 보존... |
* 증명 ([證明]) |
→논증
|
* 증명2 (Beweis) |
헤겔 철학에서 증명은 주관에 기초하는 유한한 인식의 최종성과로 위치를 부여받지만, 여전히 주관성을 벗어나지 못한 인식의 ... |
* 증명론 ( [證明論, 영 proof theory, 도 Beweistheorie]) |
'러셀의 역설(Russel's Paradox)'에서 시작된 일련의 집합론에 있어서 패러독스를 피하기 위해서 수학자 힐베르트(D. Hilbert)가 제기한... |
* 지 ( [知]) |
1) 지식(知識), 지성(知性) 2)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지적 능력(知的能力)의 뜻. 맹자는 지(知)를 인간이 본... |
* 지知 (Wissen ) |
Ⅰ. 헤겔 철학에서 일관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지〉란 진리로서 무한한 것, 절대적인 것을 파악할 수 있는 것, 또는 파악한 것... |
* 지각 ([知覺, 영ㆍ불 perception, 도 Wathrnehmung]) |
고대철학에서는 지각과 감각은 거의 구별되지 않았다. 그러나 단순한감각과 지각 사이에는 뇌수(腦髓)의 제1차 시각 주위가 침... |
* 지각知覺 (Wahrnehmung) |
진술의 주어와 술어를 결합하는 계사의 객관적 근거가 지각에서 구해질 때 지각은 철학적 주제로 된다. 이 주제는 『정신현... |
* 지구 (Erde) |
지구는 천체의 계기의 대립으로부터 자기 귀환한 통일이다. 이러한 자기 귀환한 통일인 구체적인 총체성에 도달한 물체를 ... |
* 지눌 (知訥) |
1158~1210. 고려 신종(神宗) 때의 중. 속성은 정(鄭)씨. 호는 목우자(牧牛子). 시호는 불일 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 1182년 선과(禪... |
* 지닌다 (haben) |
헤겔의 모든 텍스트 속에서 동사 '이다(ist)'가 사용되는 회수는 '지닌다(haben)'보다 훨씬 많다. 헤겔 자신이 어느 정도 마음 쓴 『... |
* 지레 (Hebel) |
지렛대라고도 한다. 활차 등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단일기계라고 말해지며, 고대부터 이용되고 있었다. 단일기계란 긴 거리에 걸... |
* 지리적 유물론 ( [地理的 唯物論, 도 geographischer Materialismus]) |
지리적 환경[기후, 지세(地勢), 풍토, 그 밖 동식물계]이 인간 생활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고 인간의 심리, 사고방식, ... |
* 지배 (Herrschaft , Beherrschung ) |
청년 헤겔은 유대교의 정신의 근저에 지배라는 형식에 관계된 형태가 있다는 것을 찾아낸다. 자연과의 분열 상태에 빠진 인간은... |
* 지성 ([知性, 라 intellectus, 영 intellect]) |
넓은 의미로는 감정, 의지 등에 대하여 아는 능력을 뜻한다. 이 경우에 대상과의 직접적인 접촉에서 생기는 감각은, 지성의 가... |
* 지성知性 ( Intelligenz) |
이론적 정신을 의미. 지성은 "자기를 자기 안에서 규정하는 정신"[『엔치클로페디(제3판) 정신철학』 387절]이며, 마음과 의식의 ... |
* 지성知性2 (Verstand ) |
사물은 다른 것과 구별되어 분별됨으로써 우리에게 '이해하기 쉬운(verständlich)' 것으로 된다. 이러한 분별의 능력이 지성이다. ... |
* 지성종교 (Verstandesreligion) |
지성도 그것의 초감각적인 것에서 종교를 지니지만, 그것은 아직 전개되지 않은 보편에 불과하다[『정신현상학』3. 495f.].&nbs... |
* 지속 ([持續, 영 duration, 프 duree, 도 Dauer]) |
1) 어떤 과정이 계속되는 시간상의 길이. 2) 시간상 여러 가지 변화가 계기(繼起ㆍSuccession)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
* 지식 ( [知識, 영 knowledge, 프 connaissance, 도 Wissen]) |
넓은 의미는 사물을 명료한 의식을 갖는 것을 뜻하며 엄밀하게 말하면 사물의 성질, 다른 것과의 관계 등에 관한 참된 판단을 갖... |
* 지식 사회학 ([知識 社會學, 도 Wissenssoziologie]) |
셸러(Scheler), 만하임(Mannheim) 등에 의하여 대표되는 지식의 사회학적 연구. 셸러는 지식 형태와 사회 형태와의 관련(예컨대 종교... |
* 지식과 신앙   |
→ 신앙
|
* 지식인 ([知識人]) |
→ 인텔리겐치아 |
* 지식철학 ([知識哲學]) |
→인식론
|
* 지식학 ([知識學, 도 Wissenschaftslehre]) |
넓은 의미는 지식의 근본 원리, 방법, 전제 등을 밝히는 학을 말하며, 인식론(認識論) 및 논리학을 포함하지만, 이 말을 최초로 ... |
* 지양 ([止揚, 도 aufheben]) |
헤겔 변증법의 용어. 원어(原語)는 '부정(否定)하다', '높이다' 또는 '보존(保存)하다'의 뜻을 지닌 말이다. 변증법적 발전에 있... |
* 지양止揚 (Aufheben) |
'지양(Aufheben)'이란 '폐기함'과 동시에 '보존하는' 것이다. 그것은 헤겔 철학에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의 하나이며, 단적으로 곳... |
* 지적 직관 (intellektuelle Anschauung ) |
예지적 직관, 초월론적 직관이라고 불린다. 전통적으로는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의 '지적 직관(visiointellectualis)'에서 보이듯이 유... |
* 지적 직관 ([知的直觀, 도 intellektuelle Anschauung]) |
감성적인 직관도 아니고 논증적인 인식도 아닌, 초감성적인 것의 직접적인 파악을 말한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도, 이성... |
* 지조(마음가짐) (Gesinnung) |
지조는 단순한 '심정'과는 구별된다. "지조는 에테르적인 존재이다"[『기독교의 실정성』 1. 182]라든가 또한 "지조, 즉... |
* 지질학 ( Geologie ) |
헤겔은 자연철학의 제3편 '유기적 자연학'에서 유기체를 지질학적 유기체와 식물적 유기체, 동물적 유기체의 셋으로 구... |
* 지치주의 ([至治主義]) |
조선 중종 때 조광조(趙光組) 등 사림파(士林波) 유학자들이 표방한 유학 정치사상이며, 유교의 사상과 이념을 국가의 모든 분... |
* 지행합일 ([知行合一]) |
→격물치지(格物致知)
|
* 지향성 ( [志向性, 도 Intentionalitat]) |
의식은 항상 무엇인가에 대한 의식이라는 것이다. 고대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된 스콜라 철학의 용어이다. 이것을 심적(心的)... |
* 직관 ( [直觀, 영ㆍ프 intuition, 도 Anschauung ]) |
일반적으로 대상을 다른 인식방법의 매개 없이 직접 파악하는 일. 그러나 거기에서 파악되는 것이 무엇으로 간주되느냐에 따... |
* 직관2 (Anschauen , Anschauung) |
감성적 직관은 대상의 내용을 그 계기들로 분리한다든지 개념적으로 결합한다든지 하는 것이 아니라 계기들을 착종된 채로의 ... |
* 직관 형식 ([直觀 形式, 도 Anschauungsform]) |
칸트의 용어이다. 칸트에 있어서 시간과 공간이란, 감성적임과 동시에 아 프리오리(라 a priori) 한 직관이고(순수 직관), 감성적 ... |
* 직업 · 신분 (Beruf · Stände ) |
Ⅰ. 직업의 의미. (1) 욕구충족의 수단. 인간은 생존을 유지하기 위하여 의 · 식 · 주에 관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야만 한다. ... |
* 직업단체 (Korporation) |
직업단체는 특수 이해의 충돌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시민사회에서 내발적인 동시에 자기 부정적으로 형성되어 현존하기에 ... |
* 직접 ([直接, 영 immediate, 도 unmittelbar]) |
보통 두 개의 사물이 그 이외의 제3의 것을 매개로 하지 않고 관계하는 것. 예를 들어 추리와 같이 다른 지식의 매개 없이, 무엇... |
* 직접성 (Unmittelbarkeit) |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중간의 매개물(Mittel)을 개입시키지 않은(un) 채로'라는 의미로 '사태가 직접적으로, 있는 그대로 마음에 ... |
* 직접지 (unmittelbares Wissen) |
신앙, 영감(Eingebung), 심정의 계시(Offenbarung des Herzens), 자연에 의해서 인간에게 심겨진 내용, 양식(gesunder Menschenverstand),... |
* 직접추리 ([直接推理, 영 immediate inference, 도 unmittelbarer Schluß]) |
판단을 전제로 하여, 바로 결론을 내리는 추리. 간접추리에 반대되는 말. 보통 직접 추리는 1) 본래의 판단을 병행하여 새로운 ... |
* 진독수 (陳獨秀) |
1880~1942. 중국 안휘성(安徽省) 사람. 일본과 영국에 유학하였으며, 1915년『청년잡지(靑年雜誌)』를 창간하고, 뒤에『신청년(新... |
* 진리 (Wahrheit , das Wahre ) |
Ⅰ. 헤겔은 철학적 진리를 역사적 · 수학적 진리와 구별한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물음은 일정한 탐구에 기초하여 명확한 대답... |
* 진리 ([眞理, 영 truth, 도 Wahrheit]) |
진리의 반대는 허위 또는 오류이다. 사태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 인식, 판단, 명제가 지닌 특질(特質)이며, 보편타당성 즉 객관... |
* 진리 함수 ([眞理函數, 영 truth-function]) |
논리적 결합어('그리고', '또는' 등)에 의해서 명제나 언표의 진리치는 결합된 명제나 언표의 진리치가 주어지면 결정된다고 생... |
* 진리의 규준 ([眞理의 規準, 영 criterionof truth]) |
지식, 인식, 판단이 진리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척도. 철학적 견지에서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1) 합리주의는 그것을 이... |
* 진리치 ([眞理値, 영 truth-table]) |
주어진 논리적 결합어가 어떠한 진리 함수를 결정하는가를 결합된 명제 변항과 여기서 생겨난 명제 함수 사이의 진리치의 대... |
* 진보 ([進步, 영 progress]) |
철학적인 의미에서 '진보'란, 인간이 한층 더 좋은 미래를 향하여 역사를 전진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운명 관념이나 세계 순환... |
* 진보2 ( Fortschritt , Fortgang) |
진보는 단순한 이행이 아니라 불완전한 것으로부터 완전한 것으로의 진전이다. 칸트의 경우에 그것은 도덕적 당위에로 정향... |
* 진화 ( [進化, 영 evolution]) |
1) 넓은 뜻으로는 발전과 같다. 2)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점차적인 변화를 말한다. 발전을 오직 이러한 의미에서의 진화로 파악하... |
* 진화론 ([進化論]) |
→ 진화
|
* 진화론2 (Evolutionslehre , Evolutionstheorie ) |
헤겔과 진화론의 관계를 논한 논문은 세계적으로 몇 편밖에 없다. 다윈의 『종의 기원』은 헤겔이 죽은 지 18년 후이며, 라마... |
* 진화론적 윤리설 ([進化論的 倫理說, 영 evolutionary ethics]) |
진화의 이론에 의해 윤리학을 세우려는 학설. 진화론에 의하여 인간의 도덕적 감정의 기원을 설명하려고 한 다윈의 시도나, 생... |
* 진화주의 ( [進化主義, 영 evolutionism]) |
1) 우주, 인생을 부동(不動)의 것으로 보지 않고 모든 면에서 진화하며, 발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철학설. →창조적 진화 2) 어... |
* 질 ([質, 영 quality]) |
성질이라고도 함. 양(量)에 반대되는 말. 1) 기본적인 범주의 하나로, '어떠한 '이라는 물음에 대응하는 사물의 존재 양태. 질은 ... |
* 질質 (Qualität) |
붉은 것은 그 질 〈붉음〉을 결여하면 붉은 것이 아니게 된다. 질은 〈어떤 것(Etwas, aliquid)〉을 어떤 것〈임〉(현존재)으로 ... |
* 질료 ([質料, 영 matter, 프 matiere, 도 Materie]) |
넓은 뜻으로는 사물의 단순한 소재(素材)의 뜻이며, 인간의 형성 작용의 재료가 되는 것. 1)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에는 형상(... |
* 질병 (Krankheit ) |
신체의 일부가 전체의 유동적인 과정에서 고립되어 독자적인 활동을 지속하게 되면 질병이 된다. 약은 유기체가 본래는 동... |
* 질소 (Stickstoff ) |
원소기호 N, 원자번호 7의 원소. 일반적으로 다른 원소와는 화합하기 어려운 성질을 지닌다. 헤겔은 질소도 포함하여 이... |
* 질송 (Gilson, Etienne) |
1884~ 현대 프랑스의 네오토미즘의 철학자. 중세 철학사에 있어서의 업적은 세계적으로 인정되고, 프랑스 이외의 대학에서도 명... |
* 질적 변증법 ([質的 辨證法, 도 qualitative Dialektik]) |
키에르케고오르의 변증법을 특히 이렇게 부르고 있는 경우가 있다. 실존 변증법이라 부르기도 한다. 신과 인간, 즉 무한한 것과 ... |
* 짐멜 ( Simmel, Georg) |
1858~1918. 독일의 사회학자. 철학자. 신칸트주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상대주의적인 특색을 갖는 '생(生)의 철학'의 입장에 서 있는 ... |
* 집단(사회) (Gesellschaft) |
사회라는 용어는 술어로서 확립된 것은 아니지만, 헤겔 사색의 동요를 때때로 비추어주는 말이다. 청년기의 초고에서는 작은 집... |
* 집합 ([集合, 영 set, 도 Menge, 프 ensemble]) |
일반적으로 임의의 대상의 모임, 전체, 총체를 말하지만, 집합론에서 논의되는 집합이란, 특히 그 대상[이것을 그 집합의 근본 ... |
* 집합 개념 ([集合 槪念, 영 collective concept]) |
같은 종류의 어떤 집단을 전체로 간주하여 부르는 개념(인류, 군대와 같은 것). 이에 비해 인간이나 서적 등의 일반 개념은 각각... |
* 집합 표상 ([集合 表象, 프 representation collective]) |
집단 표상이라 부를 수도 있다. 프랑스 사회학자 뒤르켐(Durkheim)학파의 중심 개념, 이 학파에 의하면 사회생활의 내용은 개인의... |
* 징표 ( [徵表, 영 noteㆍmark, 도 Merkmal]) |
사물이 어떤 것인가를 나타내고, 다른 사물과 구별되는 성질. 속성이라고도 한다. ⇒본질적 속성
|
* 쯔빙글리 (Zwinglit, Ulrich(Huldreich)) |
1484~1531. 스위스의 종교 개혁자로, 비트하우스에서 출생하였으며, 바젤(Basel), 비인(Wien), 베른(Bern)등에서 인문주의적 교육을 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