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 (Meer) |
지구의 생명은 바다에서 생겨났다. "바다는 언제나 생명이 될 수 있는 살아 있는 과정이다. 바다는 생명의 모든 계기를 포함하기... |
* 바르트 (Barth, Karl) |
1886~1968. 스위스 신학자이며 변증법 신학의 가장 유력한 대표자이다. 제1차 대전 후 신학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친 Der Römebrief(1... |
* 바슐라르 (Bachelard, Gaston) |
1884~1962. 프랑스의 철학자로서 과학론과 과학사 연구에서 일련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한편으로 과학적 인식에 장애가 되는 시적... |
* 바실레이데스 (Basileides) |
130년경 알렉산드리아에서 설교했던 기독교의 그노시스파의 철학자로서 유출(流出)에 의해 천계(天界)로부터 수백 개의 계층이 ... |
* 바알 (Wahl, Jean) |
1888~1974. 프랑스 철학자이다. 제2차 대전 중에는 나치에 반대하다가 비시정부에 의해 면직되어 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철학서적 ... |
* 바우어 (Bauer, Bruno) |
1809~1882. 독일의 급진적인 성서 비판가이며 헤겔좌파의 지도자로 동생 에드가르(Ed. gar Bauer : 1820~1886)와 함께 그리스도의 신성(神... |
* 바움가르텐 (Baumgarten, Alexander Gottlieb) |
1714~1762. 독일의 철학자로서 라이프니츠-볼프학파에 속하며 감성적 인식을 처음으로 독자적인 인식으로 삼아 미(美)의 이론을 ... |
* 바이겔 (Weigel, Valentin) |
1533~1588. 독일 르네상스시대의 신비주의자이다. 루터의 영향을 받아 종교 내면의 흐름 속에서 종교나 교회, 학문적인 신학을 멀... |
* 바이닝거 (Weininger, Otto) |
1880~1903. 오스트리아의 사상가. 쇼펜하우어와 칸트의 영향을 받아 '성(性)의 형이상학'을 주장하였고 여성 멸시의 사상을 가지고... |
* 바쿠닌 (Bakunin, Mikhail Aleksandrovich) |
1814~1876. 러시아의 무정부주의자. 헤겔의 영향을 받았으며 독일로 여행(1840)하여 헤겔 좌파 사람들과 교우하였고 파리에서 푸르... |
* 박규수 (朴珪壽) |
1807~1876. 조선말기의 정치가ㆍ개화사상가. 자는 환경(瓛卿), 호는 환재(瓛齋)로 박지원(朴趾源)의 손자. 1862년의 진주 민란... |
* 박세당 (朴世堂) |
1629~1703. 조선 숙종(肅宗) 때의 반주자(反朱子) 유학자. 자는 계긍(季肯), 호는 서계(西溪), 시호는 문정(文貞). 현종 1년에 급제하... |
* 박세채 (朴世采) |
1632~1695.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자는 화숙(和叔). 호는 현석(玄石). 1659년 예송(禮訟)이 벌어졌을 때 송시열과 의견을 같이 하였다... |
* 박애 ([博愛, 영 philanthropy]) |
인간애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hilanthröpia에서 유래된 말이다. 독일어에서는 Menschenliebe라는 말도 사용된다. 시대와 국가의 차... |
* 박은식 (朴殷植) |
1859~1926. 사학자. 언론인. 호는 백암(白巖)ㆍ겸곡(謙谷). 장지연(張志淵)ㆍ남궁억(南宮檍)ㆍ신채호 등과『황성신문』을 창간하였... |
* 박제가 (朴齊家.) |
1750~1815. 조선 실학에서 북학파(北學派)의 대표자 중 한 사람으로 호는 초정(楚亭). 사신으로 여러 번 중국에 가서 청(淸)의 새로... |
* 박지원 (朴趾源) |
1739~1805. 조선 후기 북학파 실학자ㆍ작가, 자는 중미(仲美), 호는 연암(燕巖), 영조 4년 진하사(進賀使) 박명원(朴明源)을 따라 청(... |
* 반대 ([反對]) |
서로 배척을 뜻하는 용어. 반대(contrary)는 예를 들면 백(白)과 흑(黑)과 같은 관계 즉 모순(contradictory)과 구별되지만(→반대개념, ... |
* 반대 개념 ([反對槪念, 영 contrary concept]) |
어떤 유개념 중에서 그 내포의 차이가 가장 큰 개념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색이라는 유개념에 속한 갖가지 색의 개념 중에서 백과... |
* 반대의 일치 ([反對의 一致, 라 coin cidentia oppsitorum]) |
니콜라우스 쿠사누스의 용어로 삼각형의 한 변을 무한히 크게 하면 다른 두 변도 이것과 합치하는 직선으로 되는 것처럼, 무한... |
* 반복가능성 (Wiederholbarkeit) |
"사유의 절대적인 가능성은 우리가 전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의 하나의 것을 여러 것에서 무한히 반복 가능하다는 것에 존립한... |
* 반성 ([反省, 영 reflection]) |
어원으로 보면 굴곡되어 되돌아오는 것을 말하고 빛에 관해서 보면 반사의 뜻을 가진다. 일반적으로는 어떠한 활동에서 되돌아... |
* 반성2 (Reflexion) |
Ⅰ. 반성의 어원에 해당하는 'reflexio'는 빛의 반사(반조)를 의미했다. 한 점에서 나온 광선이 거울 표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 |
* 반성철학 ([反省哲學, 도 Reflexions philosophie]) |
헤겔은 반성이라는 말을 외적인 연관을 나타내는 의미로도 사용하였는데, 이와 같이 '반성에 의한 통일을 최고의 것으로 하는' ... |
* 반성철학2 (Reflexionsphilosophie ) |
헤겔은 『신앙과 지식』(1802)에서 칸트, 야코비, 피히테 철학을 일괄하여 '주관성의 반성철학'이라는 말로 부르고... |
* 반영론 ([反映論, 영 reflection theory]) |
우리의 인식(감각, 관념, 개념)을 객관적인 존재의 반영(모사, 영상)이라고 생각하는 유물론 학설을 말한다. 관념론은 일반적으... |
* 반정립 ([反定立, 도 Antithese]) |
정립에 반대되는 뜻이다. 일정한 긍정적 주장에 대응하여 부정적 주장을 내세우는 경우처럼, 정립에서 주장된 것이 반정립에서... |
* 반종교 개혁 ([反宗敎改革, 영 counter Reformation, 도 Gegenreformation) |
종교개혁으로 인해서 많이 버렸던 세력을 회복하려고 하는 가톨릭 교회 내의 운동을 말한다. 1545년 돌렌트의 공식 회의로 시작... |
* 발견적 원리 ([영 hejristic principle]) |
사실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원리라는 뜻으로, 사실을 탐구하여 가는 경우에 그 진위를 충분히 음미하지 않은 채 지... |
* 발라 (Valla, Laurentius. 이 Valle, Lorenzo della) |
1407~1457.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인본주의자로서 인본주의적인 이상에 블타 스콜라적이며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논리학을 통... |
* 발렌티누스 (Valentinus) |
135년까지 알렉산드리아에서, 160년까지는 로마에서 설교했던 기독교적 그노시스파의 철학자이다. 사물의 근원에는 측정할 수 없... |
* 발전 ([發展, 영 development, 도 Entwicklung]) |
보다 높은 단계로 전화(轉化)하는 과정을 가리키는데, 이때 하나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의 전화는 그 이전의 단계와 무관한 것... |
* 발전2 (Entwicklung ) |
"무기적 자연에 '발전'은 없다. 생명체에서는 '발전'의 맹아형태가 보이지만, 본래의 의미에서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 |
* 발효 (Gärung) |
식물 속에 흐르는 '불'의 성분이 식물의 죽음에 의한 〈자기〉 상실에 수반하여 열이 되고 알코올이 되어 거품이 인다. 그것은 ... |
* 밤 (Nacht) |
'밤'은 '깊이(Tiefe)' 및 '심연(Abgrund)'과 함께 헤겔의 부정성 개념에 관련되는 메타포 군(중복되어 사용되는 것도 드물지 않다)에 ... |
* 방다 (Benda, Julien) |
1867~1956. 프랑스 사상가. 철저한 이성(理性)주의자로 생(生)을 가치 있게 하는 것은 확고한 이상이나 사유에 있는 것임을 주장하... |
* 방법 ([方法, 영 method]) |
방법이란 넓은 의미로는 일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길이며 대개 맹목적이 아닌 행동이나 창작, 탐구는 모두 이런 방법을 취... |
* 방법2 (Methode ) |
헤겔에서 '방법'의 개념은 논리학의 전체 내용을 총괄하는 부분인 '절대이념' 장에서 비로소 주제화된다. 절대이념은 "이론적 이... |
* 방법론 (方法論, 영 methodology) |
진리에 도달하는 정신의 합리적인 절차에 관한 고찰을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속에서 존재의 범주에 관한 논술... |
* 배교 ([背敎, 그ㆍ라 apostasia, 영 apostasy, 도 Apostasie]) |
일반적으로 어떤 신자가 그의 종교를 자발적으로 버리는 것을 말한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살인, 간음과 함께 허락될 수 없는 삼... |
* 배리법 ([背理法, 라 reductio ad absurdum(impossible 도 apagogischer Beweis]) |
귀류법이라고도 한다. 1) 간접 환원법(indirect reduction)이라고도 한다. 간접적인 논증의 방법으로 어떤 명제를 부정하고 그 모순 대... |
* 배중 원리 ([排中原理, 영 principle of excluded middle, 도 Prinzip des ausgeschlo ]) |
배중률이라고도 한다. 사고 법칙 중의 하나이다. 보통 "A는 A도 아니고 비(非)A도 아닌 어떤 것일 수는 없다."는 형식으로 표현된... |
* 배중률 ([排中律]) |
→ 배중 원리 |
* 배중률2 (Satz vom ausgeschlossenen Dritten ) |
p∨~p는 언제나 참이라고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배중률'에 관해서도 헤겔은 독특한 견해를 피력한다. 왜냐하면 여기에서의 두 명... |
* 백과전서파 ([百科全書派, 프 Ency clopedistes]) |
프랑스 계몽사상의 기념비적인『백과사전』Encyclopédie ou Dictionnaire raisonné des Sciences, des arts et des métiers, 본문 17권,... |
* 백수한 (白壽翰) |
?~1135. 고려 때 일관(日官). 묘청을 스승으로 삼고 정지상 등과 서경 천도를 주장하다 실패하였다. 인종 9년에 올린『천지인삼정... |
* 버클 (Buckle, Henry Thomas) |
1821~1862. 영국의 실증주의적 역사가로서 일반화나 비교에 의한 현상 법칙의 정립을 꾀하였다. 그의 문명사 연구는 지리나 풍토... |
* 버클리 ( Berkely, George) |
1685~1753. 아일랜드 출신의 성직자이며 주관적 관념론의 전형적인 대표자이다. 당시의 자연과학의 발전과 결합한 유물론적이며 ... |
* 버틀러 ( Butler, Joseph) |
1692~1752. 영국의 도덕 철학자이며 영국 국교회의 감독을 역임하였다. 인간에게는 자애(自愛)와 자비심(benevolence)이라는 성정(性情... |
* 범신론 ([汎神論, 영 pantheism]) |
모든 것이 신이며 신과 세계가 일치한다고 하는 이론이다. 범신론에는 똑같이 신과 세계의 일치를 주장하면서도 ⓐ신에게 역점... |
* 범신론2 (Pantheismus ) |
범신론은 일반적으로 신과 세계 사이에 질적인 대립을 인정하지 않고 세계의 모든 것을 신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이며, 신을 초월... |
* 범심론 ([汎心論, 영 panpsychism]) |
만물에는 인간의 마음과 유사한 심적인 성질이 깃들어 있다고 하는 주장을 말한다.
|
* 범우주론 ([汎宇宙論, 영 pancosmism]) |
범신론의 일종. 존재하는 것은 모두가 세계이며 초월적인 신을 인정하지 않고, 신을 세계 안에 해소하는 태도를 가리킨다. ⇒ ... |
* 범죄 (Verbrechen) |
헤겔에 따르면 '범죄'란 "법 그 자체를 훼손하는 것"이다[『법철학』 95절]. 즉 단지 물건을 빼앗는 것과 사람들의 행동을 구속하... |
* 범주 ([範疇]) |
→카테고리 |
* 범주2 ( Kategorie ) |
아리스토텔레스처럼 범주를 대상의 객관적인 규정성으로 간주하거나 역으로 칸트처럼 범주를 주관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것... |
* 법 ([法, 범 dharma]) |
불교의 중심적인 관념 중 하나. 어원 의미는 지키는 것, 규범을 뜻한다. 여기에서 질서, 진리, 가르침, 경전, 더 나아가 사물 등의... |
* 법2 ( Recht) |
(1) 『법철학』의 구성은 제1부 '추상법', 제2부 '도덕성', 제3부 '인륜'으로 이루어진다. (2) 독일어의 Recht는 법 · 권리 ... |
* 법가 ([法家]) |
제자백가의 하나. 전국시대에 모든 제후들이 대치하는 가운데 형성된 군권(君權)치하의 부국강병을 목표로 하는 법치주의로 유... |
* 법계 ([法界, 범 dharma-dhatu]) |
1) 내적 인식을 취급하는 '의식'의 대상이 되는 모든 존재를 가리킨다. →식(識) 2) 절대적 진리의 세계를 뜻하는 진여(眞如)와 같... |
* 법률 (Gesetz) |
시민사회에서는 욕구나 그것을 채우기 위한 노동은 상호의존적이며, 그리하여 '상관적인 질서', 요컨대 일정한 룰이 성립하... |
* 법적 상태 (Rechtszustand) |
원래 법적 상태는 자연상태에 대립하는 것이며, 그런 한에서 사회상태와 같다. 그러나 법적 상태에서 평등하게 인정되고 있는 ... |
* 법칙 ([法則, 영 law, 도 Gesetz, 프 loi]) |
인간에게 명령적 의미를 갖는 일반적인 규정, 그리고 사물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성립되는 필연적 관계,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 |
* 법칙2 (Gesetz ) |
자연법칙을 의미하는 〈법칙〉에 관해 헤겔은 『정신현상학』과 『논리의 학』에서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이것은 말할 필요... |
* 베네케 (Beneke, Friedrich Eduard) |
1798~1852. 독일 철학자로서 스스로를 칸트의 후계자라고 생각하였으나, 프리스와 같이 심리학을 철학적인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 |
* 베다 ([범 Veda]) |
고대 인도의 브라만교의 기본이 되는 성전이다. 산스크리트어로 쓰였고 인도 최고(最古)의 문헌으로, 대략 BC1200년~BC500년 사이에... |
* 베르그송 (Bergson, Henri) |
1859~1941. 금세기에 있어서 프랑스 대표적 철학자로서 콜레쥬ㆍ드ㆍ프랑스의 교수이며 생의 철학과 직관주의로 알려져 있다. 추... |
* 베르나르 (Bernard, Claude) |
1813~1878. 프랑스 생리학자. 19세기 생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광범위한 분야에 실험적 연구를 하여 생리학 전체의 기초가 되는 ... |
* 베버 (Weber, Max) |
1864~1920. 독일의 사회과학자. 그의 연구 영역은 경제사, 사회학, 정치학, 종교사 등 매우 넓으며, 철학적으로는 리케르트의 영향... |
* 베스트팔렌 조약 (Westfälischer Friede) |
30년 전쟁을 종결시킨 화의. 1648년 10월 24일 체결. 신성로마제국의 영방제후와 제국도시들에게 외국과의 조약체결권을 인정하고,... |
* 베이유 (Weil, Simone) |
1909~1943. 프랑스 여류 사상가. 철학교사로 시작하여 여공 생활을 하였으며 스페인 내란에는 인민전선의 의용군에 투신하였다. ... |
* 베이컨 (Bacon, Francis) |
1561~1626. 영국 유물론의 시조. 데카르트와 함께 근대철학의 개척자로 알려져 있다. 정치가로도 활동하여 대법관의 직위에 올랐... |
* 베이컨. (Bacon, Roger) |
1210/14년경~1292년 이후 사망. 영국 스콜라철학자. 연역적 논증의 불모(不毛)를 지적하고, 확실한 인식은 경험, 실험에 의해서 주... |
* 베일 (Weyl, Herman) |
1885~1955. 독일 수학자. 1933년 이후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의 교수. 수학과 수학 기초론(직관주의 입장). 그리고 수학을 물리학에의... |
* 벤담 (Bentham, Jeremy) |
1748~1832. 영국의 윤리학자. 정치 사상가이며 법률학자. 공리주의를 확립한 인물이다. 공리(功利)의 원리에 의하여 자연법사상이... |
* 벨린스키 (Belinski, Vissarion Grigorievich) |
1811~1848. 러시아 혁명적 민주주의자. 처음에는 독일 관념론의 영향을 받았으나 농노제와 차리즘과 투쟁하는 과정에서 1840년대 ... |
* 벽위사상 ([闢衛思想]) |
조선 후기 정통 유학자들이 주축을 이룬 천주교(天主敎ㆍ西學) 배척사상. 벽위(闢衛)는 벽사위정(闢邪衛政)으로서, 사학(邪學)을... |
* 변신론 ([辯神論, 영 theodicy]) |
세계에 존재하는 악(惡)에 대해서는 세계의 창조자인 전능한 신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하는 주장에 대해 그것이 신의 선성(善性)... |
* 변신론2 ( Theodizee) |
헤겔의 사유 전체를 꿰뚫는 신학적 경향의 하나는 역사에 주목하는 것이다. 만약 신이 자연 속에서 신의 지혜를 나타내보였다고... |
* 변양 ([變樣, 영 modification]) |
1) 실체가 일시적이며 우연적인 형태를 위하는 것을 말한다. 실체와 양태의 관계를 표현하는 말이지만 양태 그 자체와 같은 의미... |
* 변증론 ([辨證論, 영 apologetics]) |
기독교 신학의 일부로 일반적으로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비난ㆍ공격에 대하여 기독교적인 진리의 변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
* 변증법 ([辨證法, 영 dialectic, 도 Dialektik, 프 dialectique]) |
그리스어 dialektikē technē에서 유래된 말로 원래는 대화, 문답을 위한 기술(技術)을 뜻하였다. 엘레아의 제논이 문답술의 시... |
* 변증법2 (διαλεκτική , Dialektik) |
Ⅰ. 변증법의 기원. "변증법적인 것의 올바른 이해와 인식은 가장 중요하다. 그것은 원래 현실 세계의 모든 운동, 생명, 활동의 ... |
* 변증법 신학 ([辨證法 神學, 도 dialektische Theologie]) |
제1차 대전 후에 이상주의와 자유주의 신학이 위기에 처하자 독일과 스위스에서 바르트, 브루노, 고가르덴, 투르네이젠(E. Thurneys... |
* 변증법적 유물론 ([辨證法的 唯物論, 도 dialektischer Materialismus]) |
마르크스 철학이론.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수립한 공산주의의 세계관으로 마르크스에 의해 최초로 형성된 시기는 1840년대 중반... |
* 변화 (Veränderung) |
헤겔은 변화를 어떤 질에서 다른 질로의, 어떤 현존재에서 비현존재로의, 어떤 것에서 다른 것으로의 이행이라고 정의하고 ... |
* 병행론 ([竝行論, 영 parallelism]) |
정신 물리적 병행론(psycho-physical parallelism)이라고도 한다. 물적 현상과 심적 현상 사이에 상호 작용을 인정하지 않고 소위 원문과... |
* 보그다노프 (Bogdanov, Aleksandr Aleksandrovich) |
1873~1928. 러시아의 철학자. 의학자. 마르크스주의를 마하주의에 의해 해석함으로써 레닌의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에 비판받... |
* 보나벤투라 (Bonaventura, 본명 Giovanni di Fidanza) |
1221~1274. 영국 스콜라철학자이며 프란체스코수도회의 수도승. 신비주의적인 사상가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주로 받았으... |
* 보댕 (Bodin, Jean) |
1520/30~1596. 프랑스 르네상스 시대의 정치가이며 법철학자. 주권을 국가 체계의 절대적인 요소로 생각하고 지배자는 그 행사에 ... |
* 보봐르 (Beauvoir, Simone de) |
1908~ . 현대 프랑스 여류 철학자이며 작가. 사르트르의 철학에 동참하고 그와 항상 협력하면서 프랑스에서 무신론적 실존주의의... |
* 보브나르그 (Vauvenargues, Luc de Clapiers) |
1715~1747. 프랑스 모럴리스트. 볼테르의 친구로서 군인생활을 한 후에 천연두로 인해 실명하여 고독한 생을 보냈다. 그의 『성찰... |
* 보우 (普愚) |
1301~1382. 고려 말 공민왕 때의 중. 법호는 태고(太古)ㆍ보허(普虛), 속성은 홍(洪), 시호는 원증(圓證). 13세에 출가하여 회암사(檜... |
* 보우 . (普雨) |
1515~1565. 조선 명종 때의 중, 호는 허응(虛應)ㆍ나암(懶庵) 중종25년 금강산에 입산. 설악산 백담사(百譚寺)에 있을 때 문정왕후(... |
* 보편 ([普遍, 영ㆍ도 universal, all germein ]) |
형용사나 명사로서 사용된다(보편적, 보편자, 보편성) 1)우주와 세계 전체에 대해서 쓰일 수 있는 말이다. 2) 일반적이라고도 한... |
* 보편2 (Allgemeinheit ) |
대상적 사물과 상태와 사건 등에서 '참다운 것, 본질적인 것, 내면적인 것'은 사유에 의해서만 파악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다. ... |
* 보편논쟁 ([普遍論爭, 도 Universal ienastreit]) |
보편(라 Universalia)이 실재하는가 실재하지 않는가에 관한 중세 스콜라철학의 논쟁을 말한다. 스콜라철학의 초기에는 보편은 '개... |
* 보편적 개체 (allgemeines Individuum) |
"보편성이 [보편성인 채로] 외적인 현실성을 지니는"[『정신현상학』 3. 223] 것을 의미하지만, 이 경우 이러한 개체는 부... |
* 보편타당성 ([普遍妥當性〕) |
→ 타당
|
* 보편화 ([普遍化]) |
→개괄 |
* 복수 ( Rache ) |
범죄는 복수와 결부되어 있다. 헤겔에게 있어 범죄는 직접적으로는 개별적인 인간에게 가해지는 부정의(不正義)인 동시에 인륜... |
* 복원관 ([福源觀〕) |
고려 예종 때 궁성 안에 세운 도교 사원(寺院). 왕은 송(宋)의 휘종(徽宗)이 보낸 도사를 맞아 왕성 북쪽에 복원관을 세워 삼청상(... |
* 복음 ([福音, 영 gospel, 도 Evangelien, 프 Evangile]) |
그리스어 euangelion은 '반가운 소식'이라는 뜻. 신약성서에서는 그리스도에 의한 구원의 메시지이므로 그리스도 자신의 말씀, 설... |
* 복음주의적 (〔福音主義的, 도 evangelish]) |
전통, 법률, 전례(典禮) 등과 같은 외적인 권위를 존중하는 '교회적'이라는 말과 반대되는 뜻으로 특히 그리스도에 의한 구원의 ... |
* 본능 (〔本能, 영 instinct〕) |
인간과 동물의 본능에 대한 정의에 관해서는 19세기부터 종(種) 고유의 행동이며 유전적인 것, 단순한 주성(走性)이나 반사가 아... |
* 본능2 (Instinkt) |
내면으로부터 규정되어 있는 생물의 가장 원초적인 특질[『엔치클로페디(제3판) 정신철학』 381절 「보론」]. 많은 능력을 지니... |
* 본질 (〔本質, 그 usiaㆍto ti en einai, 라 essentia, 영ㆍ프 essence, 도 Wesen]) |
1) 일반적으로 어떤 사물을 '무엇인가'로 규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의 사물의 특질을 말한다. 예컨대 동물을 동물로서 성립시키는... |
* 본질2 (Wesen ) |
헤겔이 말하는 본질이란 변화하는 유한한 사물을 통해서 자기와 관계하는 존재이며, 최종적으로는 절대자의 부정적인 운동... |
* 본질성 (Wesenheit) |
이 말은 복수형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사물의 형이상학적인 본질을 가리키며, 라틴 어의 essentia의 번역어이기도 하... |
* 본질적 속성 ([本質的屬性, 영 essential arttribute]) |
어떤 사물이나 개념에 필수불가결한 속성을 말한다. 예컨대 세 개의 변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속성은 삼각형의 본질적인 속성이... |
* 본체 (〔本體, 그ㆍ영 noumenon]) |
플라톤에서 비롯된 용어. 감성적 인식 대상인 현상에 대해 이성(→누스)에 의해서 파악되는 초감성적인 대상(→이데아)을 본체... |
* 본체론 (〔本體論〕) |
→존재론 |
* 본체론적 증명 (〔本體論的證明〕) |
→신 존재의 증명
|
* 볼차노 (Bolzano, Bernhard) |
1781~1848. 논리학자이며 수학자. 영국인을 아버지로 프라하에서 출생하여 성직자로서 프라하대학 교수가 되었으나 후에 면직되... |
* 볼테르 (Voltaire, 본명 Francois Marie Arouet) |
1694~1778. 프랑스 계몽기의 지도적인 자유사상가이며 문학가. 섭정 오를레앙 공에 대한 풍자와 어느 귀족과의 충돌로 인해 바스... |
* 볼프 (Wolff, Christian) |
1679~1754. 독일 계몽기의 대표적인 철학자로 할례대학 교수였다. 라틴어의 이해를 기반으로 독일어의 철학용어를 결정하였으며 ... |
* 봉건제 (Lehensverfassung) |
게르만 세계의 제2기에 등장한 세 종류의 반동 가운데 법률적인 힘과 국가권력에 대한 개인들의 반동은 개인의 고립무원을 초래... |
* 부류 (〔部類, 영 class, 독 klasse〕) |
통상적인 용어로는 어떤 성질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것들의 집합을 가리키지만 기호 논리학의 용어로는 어떤 명제 함수를 만... |
* 부버 ( Buner, Martin) |
1878~1965. 이스라엘의 종교철학자. 문화적이며 정신적인 시오니즘의 유력한 대표자. 빈에서 출생.1924년에는 프랑크푸르트대학에... |
* 부분 (〔部分〕) |
→전체 |
* 부울 (Boole George) |
1815~1864. 영국의 수학자이며 논리학자. 『논리의 수학적 해석』(1847)과 『사유법칙의 탐구』(1854)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본격적... |
* 부정 (Negation) |
부정 또는 부정성(Negativität)에 관한 독특한 해석을 빼놓고서 헤겔 철학 특히 논리학의 특징과 방법을 이해할 수 없다. 그에게 있... |
* 부정 판단 (〔否定判斷, 영 negative Judgement, 도 negatives Urteilㆍverneinendes U]) |
"S는 P가 아니다."와 같은 형식의 판단을 말한다. 이것에 관해서는 오류의 위험이 있을 때에 그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에 불과... |
* 부정의 부정 (〔否定의 否定, 도 Negation der Negation]) |
헤겔의 관념론적인 변증법에서는 사고의 과정은 어떤 사고의 규정이 자기를 부정하여 그 반대의 규정으로 이행하고 이 양자의 ... |
* 부정적 개념 (〔否定的槪念, 영 negative concept]) |
소극적 개념이라고도 하며 긍정적 개념에 반대되는 말로서 어떤 성질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무능(無能), 불행(... |
* 부조리 ([不條理, 프 I'absurde]) |
말의 뜻으로 보통 불합리, 배리(背理) 등을 가리키며 때로는 모순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데, 그러나 최근의 실존주의적인 용어로... |
* 부하린 (Bukhalin, Nikolai lvanovich) |
1888~1938. 소련의 정치가이며 철학자. 열역학적이고 기계적인 견지에서 변증법에 있어서의 대립물의 통일을 외적으로 대립하는 ... |
* 부활 (Auferstehung) |
Ⅰ. 신앙으로서의 부활. "그리스도의 부활과 승천은 신앙에서만 존재한다"[『뉘른베르크 저작집』 4. 68; 17. 291 참... |
* 북학파 (〔北學派〕) |
→ 이용후생학파 |
* 분류 (〔分類, 영 classification]) |
여러 사물을 공통적인 성질의 유무에 따라 종류별로 모아 체계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공통적인 성질이라 하여도, 흑판, ... |
* 분류 · 구분 ( Einteilung) |
분류는 종합적 인식 속의 두 번째 계기인 〈보편에 대한 특수화〉로서 위치지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인식할 때에 단순... |
* 분석 (〔分析, 영 analysis]) |
종합에 반대되는 말. 대상, 표상, 개념 등을 그것의 부분이나 요소로 분해하는 것을 말함. 대상은 처음에는 막연한 전체로서 주... |
* 분석2 (Analysis) |
분석은 인식작용의 첫 번째(지성적) 단계이다. 이것은 외적으로 전제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표상적으로 기지의 것 또는 ... |
* 분석 판단 (〔分析判斷, 도 analytisches Urteil]) |
"모든 물체는 연장(延長)을 가진다."라는 판단에서는 연장은 물체라는 개념에 이미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 판단은 주어 개념의... |
* 분석철학 (〔分析哲學, 영 analytic philosophy]) |
분석철학이라고 하는 명칭은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영어권 가운데 하나의 철학적 경향에 대한 극히 포괄적인 (이런 뜻에... |
* 분업 (Teil der Arbeit , Arbeitsteilung) |
시민사회의 기저를 이루는 〈욕구와 노동의 체계〉 내부에서는 욕구 내지 그 충족수단이 다양화되고 특수화된다. 그와 함께 노... |
* 분열 (Zerrissenheit , Diremtion ) |
헤겔은 근대와 고대를 구별하는 것으로서 근대에 개별성의 원리가 등장하여 이미 고대의 역사단계에서처럼 보편과 개별, 사유... |
* 분자 (〔分子, 영 molecule]) |
화학적으로 동일한 물질은 동일한 성질의 입자로 구성된다고 생각하여 그 최소 단위가 되는 입자를 분자라고 한다. 또 분자는 ... |
* 분자 명제 (〔分子命題〕) |
→ 원자 명제 |
* 분자 생물학 (〔分子生物學, 영 molecular biology]) |
생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분자 구조 및 기능에 의거하여 생명현상을 해명하는 과학을 이른바 분자 생물학이라 한다. 현대 생물학... |
* 분트 ( Wundt, Wilhelm) |
1832~1920. 실험심리학을 확립하였다. 라이프치히대학교수.『생리심리학 요강』Grundzüge der physiologischen Psychologie 2권(1873); 6판 3... |
* 불 (Feuer) |
불은 물리학적 원소의 하나이며, 같은 원소의 하나인 물과 함께 대립의 계기를 나타낸다. "대립의 원소는 첫째로 대자존재, ···... |
* 불가지론 (〔不可知論, 영 agnosticism]) |
헉슬리에서 비롯된 용어. 의식에 주어지는 감각적인 경험을 초월한, 그 후에 존재하는 객관적인 실재를 인식할 수 없다고 하는 ... |
* 불교 (〔佛敎, 영 Buddhism]) |
BC 6세기 또는 5세기에 석가모니가 북인도의 갠지스강 중류 지역에서 창시한 종교. BC 3세기에 아쇼카왕의 보호 장려로 인도 전역... |
* 불꽃 (Funken) |
불은 모든 관계하는 것을 태워버려 개별적인 것을 무화시킨다. 자기도 포함하여 태워버리는 〈불〉에 대해 헤겔은 예를 들면 "... |
* 불법 (Unrecht) |
즉자적인 올바름 내지 법은 역시 공통된 의지이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특수의지(자의)의 공통성에 불과하며 여전히 특수의지에 ... |
* 불씨잡변 (〔佛氏雜辨]) |
정도전의 저술. 주자학 입장에서 불교의 교리를 비판한 것이다. 불씨윤회지변(佛氏輪廻之辨), 불씨인과지변(佛氏因果之辨), 불... |
* 불안 (〔不安, 영 anxiety, 도 Angst, 프 angoisse]) |
19세기 중반 사회의 위기적인 흐름에 대응하여 불안의 개념이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게 되었다. 특히 실존철학에서 기본적... |
* 불안2 (Unruhe) |
산성으로 되자마자 알칼리성으로 되고 또 역전하는 식으로 대립하는 성질 사이에서 언제나 역전되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무한... |
* 불트만 (Bultman, Rudolf) |
1884~1976. 독일 프로테스탄트 신학자. 그는 긴 생애를 통해 신약성서 연구에 많은 공헌을 하였으며, 특히 양식사적(樣式史的)인 ... |
* 불행한 의식 (Unglückliches Bewußtsein ) |
'불행한 의식'이 주제로서 본격적으로 논술되는 장소는 『정신현상학』에서의 '자기의식'의 제2부뿐이지만, 그러나 이 의식형태... |
* 불확정성 원리 (〔不確定性原理, 도 Unbestimmtheitsprinzip]) |
전자(電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빛을 교란시켜 전자에 미친 영향을 정확히 알아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전자의 ... |
* 뷔리당 (Buridan, Jean) |
1300년경~1358이후 사망. 프랑스의 오컴일파의 유명론자. 파리대학에서 강의하였으며 2회에 걸쳐 이 대학의 총장직을 역임하였다. ... |
* 뷔리당의 당나귀 ([영 Buridan's ass]) |
동질 동량의 먹이에 둘러싸인 당나귀는 의지의 자유가 없기 때문에 양측으로부터의 동일한 힘에 이끌려 움직이지도 못하고 굶... |
* 뷔퐁 (Buiffon, George - Louis Leclercde) |
1797~1788. 프랑스 계몽기의 박물학자이며 왕립 식물원장. 대작 『박물지』Histot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44권(... |
* 뷔히너 (Buchner, Ludwig) |
1824~1899. 독일의 유물론자이며 의사 주저『힘과 물질』Kraft und Stoff (1855)에서 힘과 물질을 실재의 양측면이라고 하여 정신활동을 ... |
* 브라만교 ([영 Brahmanism]) |
고대 인도의 종교. 브라만 계급이 주로 신봉하였고 오늘날 인도인이 힌두교의 여러 전통의 원천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며 특... |
* 브라운 이론 (Brownianismus) |
스코틀랜드의 의사 브라운(John Brown 1735-88)이 제기한 '흥분설'. 그는 통풍 체험에 기초하여 '흥분성'이라는 생명원리로... |
* 브래들리 ( Bradley, Francis Herbert) |
1846~1924. 영국의 신 헤겔주의자. 옥스퍼드대학 교수. 감각주의와 공리주의에 반대하여 절대적 관념론을 주장하였다.
【주저... |
* 브렌타노 (Brentano, Franz) |
1838~1917. 오스트리아의 철학자이며 심리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정통하였으며 경험적 방법에 의해 정신현상을 기술하는 ... |
* 브루너 (Brunner, Emil) |
1889~1966. 스위스 신학자. 변증법 신학의 대표자 중의 한 사람으로 바르트와 협동(후에 결별)하였으며 복음주의적 자연법에 기초... |
* 브루노 (Bruno, Giordano) |
1548~1600.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자연철학자. 교회의 박해를 받아 각국으로 떠돌아다녔으며 결국 화형에 처해졌다. 코페르니쿠스... |
* 블랙박스 ([영 black box]) |
예컨대 와트슨(J. B. Watson)의 행동주의에서는 동물의 반응 R을 외적 자극 S의 함수 f(s)로 두고 동물의 내부 상태를 알지 못하는 그... |
* 블로흐 ( Bloch, Ernst) |
1885~1977. 독일 철학자.『유토피아의 정신』Vom Geist der Utopie (1918)에서 마르크스의 자본주의사회 비판에 의거하면서 유태교적인 종... |
* 비결정론 (〔非決定論, 영 indeterminism]) |
결정에 반대되는 말, 인간의 의지가 선행된 원인에 제약되지 않고 그 자신으로부터 인과의 계열이 시작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 ... |
* 비극 (Tragödie)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이래 비극은 유럽 문예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장르. 고대 그리스 이래로 몇 개의 흥륭기를 거쳐 17세... |
* 비너 ( Wiener, Norbert) |
1894~1964. 미국의 수학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수. 다방면에 걸친 지식으로, 제2차 대전 무렵부터 계산 기계, 자동제어, 통신 등 ... |
* 비량적 (〔比量的〕) |
→ 논변적 |
* 비례 ( Proportion) |
뉘른베르크 김나지움에 부임한 직후인 1808/09년 겨울 학기에 헤겔은 전 생애에 걸쳐 단 한 번 수학 수업을 담당한다. 그 상세한 ... |
* 비아 (〔非我, 도 Nicht-ich〕) |
→ 피히테 |
* 비약 (〔飛躍, 도 Sprung]) |
점진적인 것에 대립되는 개념. 원래 일반적 의미로는 근본적인 질적 변화를 말한다. 변화를 오로지 점차적인 증감으로만 보는 ... |
* 비유 (〔非有, 그 me on, 영 non-being, 도 Nichtsein]) |
비존재라고도 한다. 특히 그리스철학에서 많이 사용된 개념이다. 비유는 존재의 부정이고, 무이지만 엘레아학파에서는 존재를 ... |
* 비유2 (Gleichnis) |
헤겔에게 있어 상징이란 상징예술의 근본형식이며 무의식적인 것과 의식적인 것의 두 종류로 이루어진다. 후자는 비교(Vergle... |
* 비잔티움 (Byzanz) |
헤겔의 『역사철학』에서 로마제정기의 제3장에 위치하는 시대. 콘스탄티누스대제(Constantinus Ⅰ)가 제2의 거성을 옛 비잔츠... |
* 비적대적 모순   |
→적대적 모순 |
* 비중 (spezifische Schwere) |
비중은 역학적 관계에서의 개체화, 요컨대 공간 규정에서의 개체의 존재방식으로부터 대자존재로서 개체가 그 자신에서 자기동... |
* 비코 ( Vico, Giambattista(Glovanni Battista) |
1688~1744, 나폴리에서 태어나 고난과 역경의 생애를 보낸 이탈리아의 역사철학자. 계몽기에 선구적으로 발전적인 역사관을 제창... |
* 비텔로 ( Witelo) |
1220/30~1278. 독일의 자연철학자. 신플라톤학파의 영향을 받아 주로 수학과 자연과학에 관한 연구를 많이 하였으며 특히 알하젠의... |
* 비트겐슈타인 (Wittgenstein, Ludwig) |
1889~1951.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태어났다. 1908년에 영국으로 건너가 맨체스터 대학에서 공학을 배웠으나 1912년에 케임브리지 대... |
* 비판 ([批判, 영 criticism, 도 Kritik]) |
일반적으로는 인간의 지식이나 행동에 관해서 그 진리성이나 유효성들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비평'이라고도 한다. 이 문제... |
* 비판2 (Kritik ) |
예나에서 1802년 초두부터 1803년 초여름까지 헤겔은 셸링과 함께 『철학비판지』를 편집, 발행하는 가운데 당시의 사상가... |
* 비판과 자기비판 ([批判과 自己批判, critique and self critique]) |
이론상, 실천상의 오류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본적인 방법. 마르크스에 의하면 부르주아혁명이 눈부... |
* 비판적 관념론 (〔批判的 觀念論〕) |
→ 선험적 관념론 |
* 비판적 리얼리즘 (〔critical realism〕) |
시민 사회의 리얼리즘에서 반(反)자본주의적인 성격이 뚜렷한 것을 가리킨다. 서구, 특히 프랑스에서는 대혁명 후부터 1848년의 2... |
* 비판적 방법 (〔批判的 方法〕) |
→선험적 방법
|
* 비판주의 (〔批判主義, 도 Kritizismus]) |
칸트가 말하는 비판에 기초한 철학적인 입장으로 독단론 및 회의론과 반대된다. 이 경우에 비판은 논평이나 평가가 아니라 이성... |
* 비판철학 (〔批判哲學, 도 Kritische Philosophie) |
주로 비판주의 입장에 있는 칸트철학을 말하는데 그 밖에도 이를 폭넓게 받아들인 칸트주의자와 특히 신칸트학파의 철학을 지... |
* 비평 (〔批評〕) |
→비판 |
* 비평주의 ([批評主義〕) |
→비판주의
|
* 비합리주의 ([非合理主義, 영 irrationalism]) |
세계는 이성에 의해서는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주장하는 견해를 말한다. 합리주의에 대립되는 것으로 합리주의가 전개하는 여러... |
* 비형식적 논리학 ([非形式的 論理學, 영 informal logic〕) |
영국의 철학자인 라일이 1954년 제창한 논리학을 말한다. 종래의 형식 논리학은 철학의 기초적인 학문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지... |
* 빈곤 (Armut) |
빈곤 문제는 부, 사치, 욕구, 이기심, 소유 및 그것의 불평등과 같은 문제 연관 속에서 헤겔의 사상적 작업의 출발점부터 계속해... |
* 빈델반트 (Windelband, Wilhelm) |
1848~1915. 신칸트학파에 속하며 '독일 서남학파(바델파)'를 만들었다. 칸트의 비판주의적인 방법에 따르면서도 오히려 역사학(→... |
* 빈센트 (Vincent de Beauvais) |
1264년 사망. 토마스 아퀴나스를 신봉하였다.『대경(大鏡)』Speculum majus 또는『세계의 경(鏡)』Speculum mundi라 불리는, 당시의 지식... |
* 빈학파   |
→ 통일과학, 논리 실증주의
|
* 빛 (Light) |
빛은 '비물질적 물질'로서 다른 모든 물질을 드러나게 한다. 다만 물질이 윤곽을 얻는 것은 빛만의 활동이 아니라 물질에 내재하... |
* 빛의 형이상학 (〔도 Lichtmetaphysik]) |
선을 근원적인 빛이라 생각하여 이 광선에서 쏟아져 나오는 광선의 양태(樣態)에 의해서 여러 가지 유한적인 존재를 설명하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