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니교 ([영 Manichaeism]) |
바빌로니아 출생의 페르시아인 마니(Mani)또는 Manes(라Manichaeus, 216년경~276년경)가 계시를 받고 창시한 종교. 기독교(특히 그노시스... |
* 마르셀 (Marcel, Gabriel) |
1889~1973. 프랑스의 철학자이며 기독교적 실존주의자. 사르트르에 반대하여 합리적 분석보다도 실존적 체험의 유연(柔軟)한 기술(... |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Marcus Aurelius Antoninus) |
121~180. 후기 스토아학파의 철학자이며 로마 황제. 그의 진중(陣中) 작품인『고백록』을 통해서 그의 스토아철학적인 세계관과 ... |
* 마르쿠제 ([Marcuse, Herbert ]) |
1892~1979.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망명한 철학자. 하이데거의 영향 아래 헤겔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초기 마르크스 이론과 프로... |
* 마르크스 (Marx, Karl) |
1818~1883. 과학적 사회주의 창시자. 독일 라인 주(州)의 트리에르에서 태어나 본, 베를린 양 대학에서 법률학, 역사학, 철학을 공부... |
* 마르크스 - 레닌주의 ([영 Marxism-Leninism]) |
레닌이 제국주의와 프롤레타리아혁명 시대에 드러나는 새로운 여러 문제들을 해명한 것이야말로 마르크스 이론의 올바른 계승... |
*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   |
Ⅰ.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 5. 5-83. 3. 14]. 마르크스가 헤겔 철학을 연구하게 된 것은 B. 바우어를 중심으로... |
* 마르크스주의 ([영 Marxism]) |
마르크스의 이론 체계 전체를 말한다. 그 주된 내용을 보면, 자연과 사회 및 인식의 가장 일반적 법칙들에 관한 과학, 따라서 사... |
* 마리탱 (Maritain, Jacques) |
1882~1973. 프랑스 가톨릭 계통의 철학자. 네오토미즘의 대표자 중 한 사람. 미국의 프린스턴대학 교수.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을... |
* 마술 (Magie ) |
헤겔은 악마란 악의 관념이 실체화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실재를 인정하지 않는다[『역사철학』 12.506-8]. 따라서 ... |
* 마음 (Gemüt , Gemütlichkeit) |
경험능력의 하나의 독특한 형식으로 정신 일반, 정신의 깊이, 내면성(에크하르트, 뵈메), 사유능력, 감정과 의지의 통일(라이... |
* 마이농 (Meinong, Alexius) |
1853~1920. 오스트리아 철학자. 브렌타노의 제자. 표상ㆍ사유ㆍ감정ㆍ욕구들과 같은 정신 작용의 대상의 본질을 그것의 존재와 비... |
* 마이모니데스 (Maimonides, Moses 유태명 Moses ben Maimun) |
1135~1204. 유태의 철학자, 스페인에서 태어나 카이로에서 죽음. 그의 저서 Dux neutrorum sive dubiorum은 철학, 과학을 연구하면서 이것과... |
* 마이몬 (Maimon, Salomon) |
1753/54~1800. 리투아니아 태생의 유태인. 독일에서 칸트철학을 연구하였으며 선험철학에 있어서 그는 의식과 그 표상 이외에는 아... |
* 마인렌더 (Mailander, Philipp) |
본명 Philipp Batz 1841~76.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이론을 계승하여 세계는 몰락과 파멸로 향하는 과정에 있다고 하는 염세관... |
* 마카랭코 (Makarenko., Anton Semyonovich) |
1888~1939. 소련의 교육자이며 고리키와 친교를 맺었다. 혁명 후 소년 범죄자나 유랑아들의 수용 시설에서 이들의 재교육에 노력... |
* 마키아벨리 ( Machiaveli, Niccolo di Bernardo) |
1469~1527. 르네상스시대의 이탈리아 정치학자이며 역사가. 피렌체 공화국의 정치가로서 활약하였고 『로마사론』Discorsi sopra la pr... |
* 마하 (Mach, Fernst) |
1838~1916. 오스트리아 물리학자이며 철학자. 물질이나 정신을 실체로 보는 견해에 반대하여 참으로 실재적인 것은 직접 경험하는... |
* 만드빌 (Mandeville, Bernard) |
1670~1733. 네덜란드에서 출생, 영국으로 이주한 의사이며 사회 사상가. 그의 저서 『별의 우화』The fable of the base, or private vices, pub... |
* 만유재신론 ([萬有在神論, 도 Panen thimus]) |
독일 철학자인 크라우체(K. ch. F. Krause, 1781~1832)의 용어. 범신론과 같이 신과 세계가 동일한 것이 아니라, 만물이 신(神) 속에 내재... |
* 만하임 ( Mannheim, Karl) |
1893~1947.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나치 정권에 프랑크푸르트(암 마인)대학 사회학 부장의 직위에서 쫓겨나 런던대학으로 옮겼다. ... |
* 말브랑슈 (Malebranche, Nicolas) |
1638~1715. 기회 원인론(機會原因論)자에 속하는 프랑스 철학자. 오라트리오회(會 )의 신부. 인식이란 '물(物)을 신(神)속에서 파악'... |
* 망각 (Vergessenheit ) |
그리스 어 레테(Λήθη)의 번역어로서 비극적 인륜의 귀결인 두 개의 인륜적 확신, 예를 들면 '신들의 계명'과 '인간의 계명'이라... |
* 매개 (Vermittlung) |
'매개'는 '직접성(Unmittelbarkeit)'과 맞짝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매개란 첫 번째 것으로부터 나와 두 번째 것으로 옮아가고 있는 ... |
* 매개 ([媒介, 도 Vermittlung]) |
직접성과 무매개성에 반대되는 개념. 보통은 중립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특히 헤겔의 용어로는, 사물은 모두 직접 존재... |
* 매개념 ([媒介念,〕) |
중개념이라고도 한다. ⇒ 대개념, 삼단논법
|
* 맹자 ( 孟子) |
BC 372~289. 제자백가의 최성기 유교사상가. 오륜(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의 도덕인 인의예지(仁義禮智... |
* 먹다 (essen ) |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을 대신해 생각할 수 없지만 그것은 다른 사람을 대신해 먹거나 마실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엔치클... |
* 메느드 바랑 (Maine de Barin,) |
본명 F. P. G de Biran 1766~1824.프랑스의 주의(主意)주의적인 철학자. 카바니스나 데스위 드 트라시의 관념론에서 출발하여 수동성과 ... |
* 메를로 퐁티 (Merleau-ponty, Manrice) |
1908~1961. 프랑스 철학자. 콜레쥬 드 프랑스의 교수. 사르트르와 함께 무신론적 실존주의의 운동에서 지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그... |
* 메링 (Merhring, Franz) |
1846~1919. 독일의 마르크스주의자. 사회 민주당의 기관지「신시대」를 편집하였고 대전 후에는 독일 공산당의 창립에 참가하였다... |
* 메시지 ([영 message]) |
계획적 또는 사회 관습적으로 성립된 체계, 즉 코드(예를 들면 전신 부호나 언어)에 기초하여 전달되는 정보, 특히 그 형식을 말... |
* 메이에르송 (Meyerson, Emile) |
1859~1933. 프랑스 과학 비평가. 철학 본래의 임무를 이성의 한계 내에서의 과학 비평에 한정하고 이것을 넘어선 비합리적인 세계... |
* 메타언어 ([영 Metalanguage]) |
어떤 언어는 다른 언어에 속하는 문장, 어구 등을 말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전자를 메타 언어, 후자를 대상 언어(object langu... |
* 메타윤리학 ([영 meta-ethics]) |
도덕상의 규범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윤리학의 중심 문제라고 한다면, 이와 같은 규범적 윤리학(normative ethics)에 대하여, 도덕적 ... |
* 메타포 (metaphora , Metapher ) |
메타포는 "이질적인 명사의 전용(νόματος λλοτρίου πιφορά)"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 이래[De ar... |
* 멘델레프 (Mendeleev, Dmitrii Ivanovich) |
1834~1907. 러시아의 화학자. 원소 주기율의 발견자. 철학적인 측면에서는 유물론적이다. 그 자신은 자기를 리얼리스트라고 하였... |
* 멘델리즘 ([Mendelism]) |
오스트리아의 식물학자인 멘델(G. J. Mendel, 1822~1884)이 발견한 유전 법칙을 기초로 하는 유전학의 체계 혹은 이것을 중심으로 하... |
* 멘델스존 ( Mendelssohn, Moses) |
1729~1786. 독일 계몽기의 철학자. 유태인으로 독학하였으며 마이모니데스,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로크emf을 연구하였다. 철학의 ... |
* 멘셰비키적 관념론   |
러시아 원어로는 '멘셰비키화하여 가는 관념론'의 뜻. 1920년대 말부터 30년대 초에 소련의 철학 논쟁에서 소련 철학계에 나타난 ... |
* 멜란히톤 (Melanchton, philipp) |
1497~1560. 독일의 종교 개혁가. 루터의 협력자이며 프로테스탄트 조직을 취한 신학으로서의 최초의 저작『신학요강』Loci communes(15... |
* 멜리소스 (Melissos) |
BC 5 세기경 엘레아학파의 철학자. 파르메니데스가 '존재'를 구(球)형과 같이 유한하다고 생각한 것에 반해 엘레아학파의 고찰을 ... |
* 멜리에 (Meslier, Jean) |
1664~1729. 프랑스 유물론자이며 무신론자. 성직자이면서 기성 종교, 승려, 귀족의 지배에 반대하여 사유재산 제도를 부정하고 공... |
* 명가 ([名家]) |
제자백가 중의 일파. 명(名 ; 말이나 개념)과 실(實 : 사물)의 관계를 검토하는 명실론(名實論) 가운데에서, 명을 실에 의해서 검... |
* 명계 (Unterirdisches) |
그리스 비극에서 노래하는 인륜적 세계는 그 공동체에서 살아가는 각 구성원이 공동체의 공통된 기반으로서 확신하는 정의 ... |
* 명령 ([命令〕) |
논리학적인 면에 관해서는 '정언적 명령'을 참조 |
* 명사 ([名辭, 라 terminus, 영 term, 도 Name]) |
개념을 언어로 표현한 것. 이것은 개념의 기호로, 개념 그 자체와는 다르지만, 개념은 언어로 표현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 |
* 명석ㆍ판명 ([明晳ㆍ判明, 영 clearㆍdistinct, 도 Klarㆍdeutlich]) |
형식 논리학에서는 개념의 정확함을 표현하는 말. 내포가 일일이 확실하지 않아도 그 대상을 다른 것으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 |
* 명예 (Ehre) |
몽테스키외는 『법의 정신』에서 덕을 민주제의, 절도를 귀족제의, 명예를 군주제의 원리로 삼고 있는데, 이 군주제는 봉건군주... |
* 명제 ([命題,영ㆍ프 proposition, 도 Satz〕) |
두 개나 혹은 그 이상의 표상 또는 개념이 서로 다른 것과 결합하여 이 결합된 결과에 의해서 그 표상이나, 개념이 규정되도록 ... |
* 명제 논리학 ([영 propositional logic]) |
기호 논리학의 기초적인 부분, 임의의 명제를 표시하는 문자 기호와 논리적 결합어 및 이러한 것들을 결합하여, 새로 명제를 만... |
* 명제 함수 ([命題函數, 영 propositional function]) |
러셀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x'는 사람이다.' 'x는 y보다 크다.'와 같이 변항의 값이 결정되면 함수 값이 명제가 되는 함수를 말한... |
* 명증 ([明證, 영 evidence]) |
어떤 판단에 관해서 그 의미를 이해하고, 그 지위를 문제로 하는 모든 사람들이 절대로 그 판단의 진리성을 의심할 수 없는 경... |
* 모간 (Morgan, Lewis henry) |
1818~1881. 미국의 인류학자. 뉴욕 주의 원주민 일로코이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오랫동안 이 미국 인디언의 사회 조직에 관한 연구... |
* 모간 (Morgan, Conwy Lloyd) |
1852~1936. 영국의 동물심리학자. 철학자. 비교 심리학을 정립한 사람 중의 한 사람이며, 알렉산더와 함께 창발적 진화를 제창하였... |
* 모델 ([영 mode]) |
라틴어의 modus에서 유래된 말로 처음에는 건축의 뜻으로 사용되었으며 나중에는 제작하고자 하는 것의 견본의 뜻으로 널리 사용... |
* 모랄리스트 ([프 moralistes]) |
넓은 의미로는 도덕적인 인간을 뜻하고 도덕에 관해서 말하거나 쓰거나 하는 사람들을 일컬어 이렇게 부른다. 그러나 보통 모랄... |
* 모럴 ([프 morale]) |
도덕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원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덕과는 다른 뉘앙스를 갖는다. 도덕 법칙이나 덕목... |
* 모리스 (Morris, Charles William) |
1901~ 현대 미국 철학자. 미드의 제자. 기호론, 의미론의 연구로 유명. 논리 실증주의자에 속하며 미국에서 통일과학 운동의 대표... |
* 모방 (Nachahmung ) |
모방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회화와 문예를 고찰하고 평가할 때의 원리로서 받아들인 미메시스의 근대어 번역이... |
* 모상 (εδωλον , είκών) |
원상(Urbild), 범형(Vorbild)의 모사상, 환영 내지 모조를 의미한다. 플라톤에 의하면 변전하는 현실세계 및 그 대상들은 영원한 ... |
* 모순 ([矛盾, 영ㆍ프 contradiction, 도 Widerspruch]) |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같은 속성, 술어가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사정 아래서 같은 기체(基體)나 주어에 속하기도 하고, 또 속... |
* 모순2 (Widerspruch) |
Ⅰ. '진리의 규칙'으로서의 '모순'. '모순'은 헤겔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헤겔은 '모순' 또는 '모순... |
* 모순 개념 ([矛盾槪念, 영 contradictory concept]) |
서로 부정하고 있으면서 그 중간에 제3자를 인정하지 않는 개념. 예를 들면 흰색과 흰색이 아닌 것. 인간과 비인간 등이 그것이... |
* 모순 원리 ([矛盾原理, 영Principle of contradiction, 도 Prinzip des Widerspruchs]) |
모순율이라고도 한다. 사고 법칙 중 일반적으로는 라이프니츠에 의해서 정식화된 "A는 비(非)A가 아니다." 라는 형식으로 표시된... |
* 모순론 ([矛盾論]) |
『실천론』과 더불어 중국 공산당의 모든 정책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던 모택동(毛澤東)의 저서(1937). 사물의 운동ㆍ발전 법칙을 ... |
* 모순율 ([矛盾律]) |
→ 모순 원리
|
* 모어 (More, Thomas) |
1478~1535. 영국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의 친구. 그의 저서『유토피아』Utopia (1516)에서 본원적 축적의 시기에 있는 당시 영국 자... |
* 모택동 (毛澤東) |
1893~1976.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로서 중국의 인민민주주의 혁명을 승리(1949)로 이끌고 중화 인민 공화국 주석이 된(1959년까지) 혁... |
* 모티브 (〔도 Motive〕) |
원어는 동기를 뜻함. 모티브라고 하는 경우에는 예술에 있어서 창작의 동기를 말한다. 어떠한 외적 사물(풍경, 신문 기사 등)이 ... |
* 목소리 ( Stimme ) |
목소리는 [유기체로서의] 동물의 고차적인 특권"[『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351절 「보론」]이며, 동물이 유기적 자기(주... |
* 목적 ([目的, 영 end-purpose, 도 Zweck, 프 fin〕) |
인간이 실현하고자 하는 것을 행동의 목표로 설정하는 것을 말함. 따라서 이것은 적어도 주관적으로는 실현 가능하다고 생각되... |
* 목적 의식성 ([目的意識性]) |
→ 자연성장성과 목적 의식성 |
* 목적 합리성 ([目的 合理性, 도 Zweckrationalitat]) |
베버는 사회적인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 목적 합리적, 가치 합리적, 정서적, 전통적이라는 네 개의 이념형을 제시하였다. 목적 합... |
* 목적론 ([目的論, 영 teleology, 도 Teleologie]) |
사물의 생성 변화나 질서를 목적의 견지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고찰 방식을 말한다. 인간의 행동에 관해서는 당연히 목적론적인 ... |
* 목적론2 (Teleologie) |
Ⅰ. 목적론에 관한 정식화의 고전적인 예는 아리스토텔레스가 4원인의 하나로 목적인(causa finalis)을 들고, 작용인(causa ... |
* 목적론적 증명   |
→ 신 존재의 증명
|
* 목적의 왕국 ([도 Reich der Zwecke]) |
칸트의 도덕론으로부터 유래된 개념. 칸트가 왕국(Reich)이라는 말로 표현한 것은 일반적으로 공통적인 법에 따르는 인간들의 조... |
* 몰가치성 ([沒價値性, 도 Wertfreiheit]) |
자연과학의 연구는 그 대상에 관하여 가치 판단을 하지 않는 몰가치한 연구이다.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경우에도 그... |
* 몰락 (Untergang , Zugrundegehen) |
몰락은 그저 생성의 부정이 아니라 생성에 불가결한 것으로서의 부정성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예를 들면 헤겔은그리스 비극에... |
* 몰레스호트 (Moleschott, Jacob) |
1822~1893. 네덜란드 출생. 자신의 무신론으로 인해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추방되어(1854) 스위스나 이탈리아의 여러 대학에서 생리... |
* 몸짓 (Gebärde) |
몸짓은 목소리와 더불어 마음 내지 정신이라는 자기의 내실(Inneres)을 타자에게 제시하고 나타내는 매체[『엔치클로페디(제3판) ... |
* 몽테뉴 (Montaigne, Michel de) |
1533~1592. 르네상스기의 프랑스 모럴리스트이며 회의적 사상가. 근대 초기의 과학이나 철학 등의 신사상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 |
* 몽테스키외 (Montesqueieu, Charles Louis de Secondat) |
1689~1755. 계몽기의 프랑스 정치학자. 영국사상 특히 로크의 영향을 받았으며『페르시아인의 편지』에서 자국의 절대왕정을 극도... |
* 묘청 (妙淸) |
?~1135. 고려 인종 때의 승려. 본명은 정심(淨心). 서경 출신. 정지상(鄭知常)의 추천으로 왕의 고문이 되어 서경 천도론 , 청제 건... |
* 무 ([無, 영 nothingness, 도 Nichits, 프 neant]) |
1) 무는 보통 존재 또는 유(有)의 부정과 결핍으로서, 혹은 완전히 무규정적 상태로 간주된다. 이와 같이 단지 존재에 대립된 것... |
* 무2 (Nichts ) |
Ⅰ. 청년 헤겔은 "스위스 시대의 끝 무렵 이미" "중세 독일 신비주의자들"의 심원한 말의 "발췌"를 만들었다[『로젠크란츠』 102]. ... |
* 무갈등 이론 ([無葛藤理論]) |
소련에서는 1930년대 말부터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이름을 빌어, 소련의 부정적인 측면을 묘사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 |
* 무게 (Schwere) |
'무게' 또는 '중력'은 '물질(Materie)'의 본질을 의미한다. 헤겔 자연철학에서 '물질'은 '상호외재'하는 존재자로서 이 '상호외재'라... |
* 무관심성 ([無關心性, 도 Interesselosigkeit]) |
칸트는 어떠한 대상을 대했을 때 이것에 쾌감을 갖고 이것을 원하는 그러한 기분을 관심이라고 불렀지만, 그에 따르면 이와 같... |
* 무니에 (Mounier, Emmanuel) |
1905~1950. 프랑스 철학자이며 가톨릭 계통의 사상가. 1930년대부터 인격주의를 제창하였으며 제2차 대전 후『에스프리』지(誌)를 ... |
* 무덤 (Grab) |
헤겔에서의 '무덤' 관념은 대부분의 경우 정신의 소생이라는 문제와 모종의 연관을 지니고 있다. 무덤이 죽은 자가 잠들어 있는 ... |
* 무도덕주의 ([無道德主義, 도 Amoralismus]) |
형용사로는 영amoral, 도 amoralisch가 있고 도덕과 무관계한 것에 관한 말인데 이것에 대하여 영 immoral, 도 immoralischㆍunmorali sch 는 부... |
* 무력화(마비) (paralysieren) |
뇌의 실질의 축소를 초래하고 판단기능의 쇠약을 수반하는 뇌의 질환이다. 헤겔은 이 말을 자연철학의 처음에서공간으로부... |
* 무신론 ([無神論, 영 atheism]) |
신의 존재와 작용을 부정하는 경우. 부정되는 신에 따라 역사상 그 내용이 다르다. 그리스ㆍ로마에서는 국가가 공인하는 특정의... |
* 무신론2 (Atheismus) |
헤겔은 인간의 이성이 신과 무한한 것의 인식에서 배제되어 오로지 유한한 것, 즉 주관적 감정에 불과한 것에 한정되어 있는 시... |
* 무아 ([無我, 범 anatmanㆍnairatmya]) |
불교의 근원적인 주장의 하나, 에고이즘[아집(我執)]이 없는 상태. 일반적으로 인도 사상에서는 영원히 존속하는 독립자존의 능... |
* 무어 (Moore, George Edward) |
1873~1958. 영국의 철학자이며 분석철학을 처음으로 시작한 학자. 케임브리지대학 교수. 헤겔적인 관념론을 배척하고 지각의 대상... |
* 무우주론 ([無宇宙論, 영 acosmism]) |
헤겔이 스피노자의 범신론을 가리켜 이렇게 불렀다. 무세계론이라고도 한다. 그가 이렇게 부른 까닭은 스피노자의 체계에서는 ... |
* 무의식 ([無意識, 영 unconscious, 도 unbewußt]) |
개인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식되지 않는 과정을 말한다. 신체의 생리 과정은 심적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
* 무의식2 (unbewußt ) |
헤겔이 무의식적이라는 형용사 내지 부사를 체계상의 술어로서 사용하는 것은 『미학』에서 '무의식적 상징예술'[『미학』 ... |
* 무의식철학 ([無意識哲學〕) |
→ E. v. 하르트만
|
* 무저항주의 ([無抵抗主義, 영 nonvio lent resistance]) |
폭력을 절대악(絶對樂)으로 보고 악이나 폭력에 대해서 폭력을 가지고 저항하는 것을 부정하는 주의(主義)를 말한다. 비폭력적 ... |
* 무제약자 ([無制約者, 독 das unbedingte]) |
자기 이외에는 아무건 조건도 없이 존재하거나 또는 작용하는 것을 뜻한다. 종교, 신학 그리고 다수의 관념론적 철학에 있어서 ... |
* 무지의 지 ([無知의 知]) |
우리의 참된 지(知)는 무지를 자각하는 것에 있다고 하는 뜻. 하지만 그 경우는 여러 가지이다. 1) 소크라테스는 문답법에서 상대... |
* 무차별 ( Indifferenz) |
1801년에 출판된 『나의 철학 체계의 서술』에서 셸링은 동일철학을 주장하게 되지만, '무차별'은 그 속에서 주관과 ... |
* 무한 (Unendliches) |
헤겔은 무한을 진무한과 악무한으로 나눈다.악무한(das Schlecht-Unendliche)이란 "유한의 피안"[『논리의 학』 5. 152], "무규... |
* 무한판단 (das unendliche Urteil ) |
헤겔이 무한판단을 논하는 것은 대체로 『예나 체계 Ⅱ』가 최초이다. 거기서 무한판단은 부정판단을 한층 더 철저화한 부정의 ... |
* 무화 (Vernichten , Vernichtung ) |
원래 뜻은 〈무로 만들기〉. 특히 예나 초기에 사용된 개념이 중요. 유한성에 사로잡힌 지성 내지 반성에게는 문자 그대로&nb... |
* 묵자 (墨子) |
BC 470년경~390년경. 제자백가중의 하나인 묵가의 시조. 예(禮)에 기반을 둔 종족주의를 부정하고 이기적인 침략을 비난했으며〔... |
* 묵호자 (墨胡子) |
신라에 처음 불교를 전했다는 고구려의 중. 눌지왕(訥祗王)때 신라 일선군(一善郡; 지금의 善山)에 들어가 모례(毛禮)의 집안에 ... |
* 문답법 ([問答法, 그 dialekrike) |
소크라테스의 진리 탐구의 방법. 그는 상대방에게 질문을 던져 그의 답 속에 포함된 모순을 지적하면서 상대방의 무지를 자각하... |
* 문명 ([文明, 영 civilization]) |
문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19세기 이후 특히 독일에서는 거의 문화와 구별하여 사용된다. 협의의 문화가 인간 ... |
* 문명 비평 ([文明批評]) |
문화, 교육, 정치, 경제 등의 모든 문제를 현대적인 관점으로 총체적인 연관성 아래 취급하고, 그 존재 방식이나 본질을 논평하... |
* 문예학 ([文藝學, 도 Literaturwissenschft]) |
넓은 의미로는 문예의 과학적 연구를 총칭하는 것이다. 문예 이론, 문학사, 문학사 방법론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아리스토텔레... |
* 문제 ([問題, 영 problem]) |
혼란스럽거나 애매하거나 또는 모순을 포함하고 있는 불명확한 상황에 대처하지 않으면 안 될 경우에 우리는 문제에 직면하게 ... |
* 문학 (Literatur ) |
헤겔에게 문학이란 가장 정신적인 예술로서의 포에지이며, (1) 조형미술과 같이 객관적인 서사시(Epos)와 (2) 음악과 같이 내면적... |
* 문화 ([文化, 도 Kultur]) |
인간이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 머물지 않고 노동에 의해 자연을 변화시키고 스스로도 자연 상태로부터 벗어나면서 형성되어 온 ... |
* 문화 가치 ([文化價値, 도 Kulturwerte]) |
리케르트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학파(→신칸트학파)에서는 문화 가치를 생활 가치와 달리 선험적으로 보편타당한 것으로 생각하... |
* 문화 혁명 ([文化革命, 영 cultural revolution]) |
모든 혁명은 그 속에 문화의 혁명을 내포하지만, 이 말은 특히 사회주의 혁명, 혹은 노동자 계급이 지도적 역할을 하는 부르주아... |
* 문화과학 ([文化科學, 도 Kulturwissenchaft]) |
리케르트의 용어. 자연과학과 반대이다. 그에 의하면 자연과학이란 대상의 법칙성을 연구하는 과학이고, 문화과학은 대상의 개... |
* 문화유산 ([文化遺産, 영 cultural legacy]) |
각 역사 단계에 있어서 장래의 문화 발전을 위해 남겨진 과거 문화, 현대의 사적 유물론에 있어서는 인류적인 단일의 사회주의 ... |
* 물 (Wasser ) |
헤겔의 변증법에 경의를 품고 있는 사람도 『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286절에 대한 「보론」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발견... |
* 물 자체 ([物自體, 도 Ding an sich]) |
칸트 용어. 경험을 초월하는 대상을 말하며 본체라고도 한다. 이것은 경험으로부터 얻어지는 감각의 원천으로 상정되었으나, 인... |
* 물리신학적 증명   |
→ 신 존재의 증명 |
* 물리학 (Physik) |
헤겔은 물리학이란 말을 자연철학의 개념으로서 사용한다. 그런 이유로 근대 자연과학의 한 부문으로서의 물리학은 경험적 ... |
* 물리학적 관념론 ([物理學的 觀念論, 영 physical idealism]) |
레닌에서 비롯된 용어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쳐 일어난 물리학의 진보(전자, 방사선의 발견 등)로부터, 일부 물리학자들... |
* 물상화 (Verdinglichung ) |
물상화라는 개념은 헤겔 자신에 의해서 사용되지 않지만, 주체의 활동 · 작용이 사물(Ding)이라는 대상적 형식을 취하는 것이... |
* 물신(주물) (Fetisch) |
물신, 주물을 의미하는 Fetisch는 포르투갈 어 feitiço(주술, 마술의 뜻, 라틴 어 facticius[인조의, 모조의]에서 유래)로... |
* 물신성 ([物神性, 도 Fetischcharakter]) |
사물에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고 생각하여 이것을 숭배하는 미개인에게서 나타나는 종교 형태를 물신숭배(도 Fetischismus)라고 하... |
* 물질 ([物質, 영 matter, 도 Materie, ]) |
우리의 의식으로부터 독립된 객관적 실재(實在)로서 감각의 객관적인 원천이며 감각을 통해 모사되고 인식되는 것이다. 물질은 ... |
* 물질2 (Materie) |
예로부터 사람들은 감각적으로 그 존재를 알 수 있는 실질적인 것을 막연히 물질이라고 불러왔다. 헤겔도 처음에는 만물에 삼투... |
* 물질대사 ([物質代謝, 영 metabolism, eh Stoffwechsel]) |
생물체와 외계 사이에, 또한 생물체의 일부와 다른 부위와의 사이에 일어나는 끊임없는 물질의 교환 작용을 말한다. 섭취한 물... |
* 물체 (Körperlichkeit) |
『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263절 이하]에 따르면 물체는 무게를 술어로 하는 물질이 정량으로 특수화되어 하나의 전... |
* 물화 ([物化, 도 Verdiinglichung, 영 reification]) |
마르크스의 용어. 그는 대상화(Verge genständlichung)라는 말로도 사용했는데, 대상화란 인간의 노동과 정신 활동이 객관적인 대... |
* 물활론 ([物活論, 영 hylozoism]) |
물질 그 자체에 생명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론. 본원적 물질의 자기 운동을 인정한 그리스 초기의 철학자들(탈레스, 아낙시만드... |
* 미 ([美 , 영 beauty, 도 Schonheit ]) |
미가 쾌락이나 선이나 진과 엄밀하게 구별되는 것은 칸트 이후이다. 미는(비유적으로 말하는 경우에는 다르지만)감정적인 대상... |
* 미2 (Schönes , Schönheit ) |
바움가르텐(Alexander Gottlieb Baumgarten 1714-62)이 미를 '감각적 인식의 완전성'으로 규정한 이래 근대 철학은 미를 주관적... |
* 미네르바의 부엉이 (Eule der Minerva ) |
"세계의 사상으로서의 철학은 현실이 그 형성과정을 완료하여 스스로를 마무리한 다음에라야 비로소 시간 속에서 출현한다.... |
* 미드 (Mead, George Herbert) |
1863~1931. 미국의 실용주의에 속하는 사회 철학자. 시카고대학 교수. 사회 심리학의 입장에서 자아의 구조를 분석하고 행동주의적... |
* 미래학 ([未來學, 영 futurology]) |
사회와 문명의 미래를 예측하고 구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학문적인 연구영역을 미래학이라 한다. 과학 기술과 산업의 ... |
* 미메시스 ([그 Mimimesis]) |
모방의 뜻. 플라톤은 감성계의 개별적 사물은 참된 실재인 이데아의 모방으로서 이해하였으나 이데아의 영상이라고 하는 감성... |
* 미분 (Differentialkalkül ) |
헤겔은 『논리의 학』에서 상세히 미분론을 전개하고 있지만('정량의 무한성'에 대한 주해), 이것은 헤겔에게 있어 미적분(... |
* 미시적 (〔微視的〕) |
→거시적
|
* 미신 (Aberglaube) |
헤겔에게 있어 미신이란 인간의 이성에 반하는 비합리적이고 혐오하지 않을 수 없는 신앙이다. 헤겔이 말하는 미신은 (1) 무한한... |
* 미의식 ([美意識, 영 aesthetic consciousness]) |
미를 음미할 때, 예술작품을 창작하거나 감상할 때에 (이런 경우 미를 의식하는 점에 있어서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고 생각된다) ... |
* 미적 감정 ([美的感情, 영 aesthetic feeling]) |
미적 태도로 사물을 대할 때, 특히 예술을 감상할 때 느껴지는 감정. 실재 행동에 있어서 나타나는 감정(현실감정)에 비해 일종... |
* 미추린 생물학 ([영 Michurinistic biology]) |
소련의 과수 육종가(果樹育種家)미추린(L. V. Michurin)의 이론이나 실제의 업적을 기초로 하여 발전한 것으로서 리솅코(Lysenko)가 제... |
* 미학 ([美學, 영 aestheics, 도asthetik, 프 esthetique]) |
자연과 예술에서 나타나는 미를 연구하는 학문, 철학의 한 분야로 취급한다. 예술미를 완전한 미라 생각하고 자연미에 있어서도... |
* 미학 · 예술 (Ästhetik · Kunst) |
헤겔 미학은 '아름다운 예술의 철학'을 의미한다[『미학』 13. 13]. (1) 그것은 바움가르텐(Alexander GottliebBaumgarten 1714... |
* 민법 (Zivilrecht ) |
[ 民法 , Zivilrecht ]헤겔의 법의 세계는 자유로운 의지의 직접적, 개별적 존재로서의 인격(Person)과 그 인격이 자신... |
* 민족 ([民族, 영 nation, 도 VolkㆍNation, 프 nation]) |
일반적으로 문화의 공통성과 동일성을 기초로 운명의 공동성을 자각한 사회 집단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이러한 ... |
* 민족정신 ([民族精神, 도 Volksgeist]) |
정신이라는 말의 신비성을 제거하면, 민족정신이란 각 민족의 생활 조건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각 민족의 특유한 심리적 양상이... |
* 민족정신(국민정신) (Volksgeist) |
오늘날 「민족종교(국민종교, 민중종교)와 기독교」라는 제목의 청년 헤겔의 유고 속에서 이미 이 말이 발견된다. 거기서는 민... |
* 민주주의 ([영 democracy, 도 Demokratie, 프 democratie]) |
어원은 그리스어로 민중의 권력, 인민의 지배라는 뜻이다. 보통은 인민의 주권에 기초를 둔 정체와 통치 형태의 뜻으로 사용되... |
* 민중종교 (Volksreligion ) |
청년 헤겔이 스스로의 사상의 초석을 놓기 위해 고투하고 있을 때 그의 최대의 관심사는 독일 민중을 참으로 생동하게 통일하는... |
* 밀 (Mill, James) |
1773~1836. 영국 철학자. 스코틀랜드 출생. 벤담에게서 배운 공리주의 사상가, 연상(蓮想)심리학에 의해서 공리주의의 기초를 닦았... |
* 밀도 (Dichtigkeit) |
밀도란 물질의 비중, 즉 "체적에 대한 질량의 무게의 비"[『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293절]로서 정의되고 있다. 요컨... |
* 밀레토스학파 ([영 Milesians]) |
그리스 최초의 철학 학파로서 BC 6세기에 소아시아에 있는 이오니아족의 상업 도시인 밀레토스에서 활동한 탈레스와 그의 후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