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공성 (Porosität ) |
다공성 또는 유공성은 서로 다른 종류의 가스체끼리 혼합되어 상호 확산되면서도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존재하... |
* 다비드 (David de Dinant) |
벨기에 뒤낭 출신의 범신론적 신비주의자. 신을 모든 사물의 가능태로서 제일질료(第一質料)와 동일시하였다. 1210년 그의 저서... |
* 다신교 ([多神敎, 영 Polytheism, 독 Polytheismus]) |
다수의, 적어도 하나 이상 신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러한 것들을 숭배하는 종교. 고대 그리스 로마, 이집트나 인도의 종교는 전... |
* 다신교多神敎 (Polytheismus) |
절대자가 자연의 힘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이성적 정신으로서 파악되는 경우, 우선 숭고한 것으로서 파악되고(숭고의 종교····... |
* 다원론 ([多元論, 영 pluralism〕) |
1) 넓은 의미는 어떤 문제나 사상(事象)의 영역에 대해, 서로 독립된 근본적 원리나 요소를 인정하는 고찰 방식이며, 2) 좁은 의미... |
* 다위니즘 (영 Darwinism) |
다윈의 진화론 또는 그 자체를 하나의 사상적 조류로 보는 경우를 말한다. 다윈은 저작『종의 기원』(1859)에서 자연도태설을 제... |
* 다윈 (Darwin, Chales) |
1809~1882. 영국의 박물학자이며 진화론자. 진화론 선구자의 한 사람이며 에라스무스 다윈의 손자. 에딘버러 대학 의학부에서 케... |
* 다치 논리학 ([多値論理學, 영 many valued logic]) |
형식 논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명제가 참 또는 거짓이라는 두 개의 진리치 중 어느 하나는 가지고 있으나, 그 이외는 지니고 있... |
* 단군신화 (檀君神話) |
우리나라 최초의 건국신화(建國神話). 국조전설(國祖傳說). 원시시대부터 민간에 구비(口碑)로 전승되어 왔으나, 가장 오래된 기... |
* 단독 개념 (單獨槪念, 영 singular conceptㆍindividual concept, 독 Individual begriff) |
개체 개념이라고도 한다. 하나의 대상에만 사용되는 개념이다. 고유명사로 표시되는 것이 있으며, 또한 보통명사로 시간ㆍ공간... |
* 단독자 (〔單獨者, 독 der Einzelne〕) |
개별자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실존철학은 개인의 실존적 체험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단독자가 철학의 중심에 위치한다. 특히 ... |
* 단순한 것 (Einfache ) |
특히 술어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칸트의 두 번째 (우주론적) 이율배반의 "모든 실체는 단순한 부분을 지닌다"와 "세계 안... |
* 단언 ( Versicherung ) |
신 또는 절대자라는 초감각적인 실재에 관한 지는 경험적 자료에 의한 지성적 인식이라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지는 단지 '... |
* 단언적 ([斷言的〕) |
'정언적'과 같은 의미.⇒ 정언적 판단(定言的判斷) |
* 단자론 ([單子論, 프 monadologie〕) |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단자)에 관한 형이상학설을 지칭한다. 그에게 있어서 모나드(프 monade)는 넓이를 갖고 있지도 않고 형(形)도... |
* 단칭 판단 ([單稱判斷, 영 singualr judgment, 독 Einzelurteil〕) |
정언적 판단의 일종으로 주어가 단독개념으로 되는 판단을 말함. 예컨대, "런던은 영국의 수도이다."와 같은 판단. |
* 달 (Mond) |
달은 태양계의 대립의 하나의 계기를 나타내는 "비독립적인 천체"[『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270절 「보론」]이다. ... |
* 달랑베르 (d'Alember, Jean Le Rond) |
1717~1783. 프랑스 계몽시대에 최대의 학자이며 활동가로 수학계와 물리학계를 대표하여 세계에 명성을 날리고, 특히 그의 『역학... |
* 담사동 (譚嗣同) |
1865~1898. 중국 호남성 출신으로 강유위의 변법자강 운동에 동조하고 그것이 실패하자 분격하여 죽음을 택하였다. 서학(서양과학)... |
* 당위 ([當爲, 독 Sollen]) |
'어떤 것' 즉 존재(sein)이나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 '즉 자연 필연성(Müssen)에 대하여, '존재해야만 하는 것' '이루어져야만 하... |
* 당위當爲 (Sollen) |
헤겔은 '당위'의 개념을 칸트의 '너는······ 〈해야 한다(sollen)〉'는 정언명령[『실천이성비판』 원판 36f.]에서 이어받아, ... |
* 당파黨派 (Partei ) |
서로 일면적인 관점에서 비판하고 항쟁하는 집단이 당파이다[『철학적 비판의 본질』 2. 186]. 당파는 보편적 진리를 스스... |
* 대개념 ([大槪念, 영 major concept, 도 Oberbegriff, 프 majeur]) |
정언적 삼단 논법에서 결론의 술어가 되는 개념을 말한다. 이것에 대해 결론의 주어가 되는 개념을 소개념(영 minor concept, 도 Unter... |
* 대당 관계 ([對當關係, 영ㆍ프 opposition, 도 Gegensatz]) |
논리적으로는 각기 주어와 술어가 동일한 상태에서 양과 질의 어느 한 쪽이 다르거나 아니면 양쪽 모두가 다른 두 개의 판단 사... |
* 대동 ([大同]) |
중국에서 옛날『예기』「예운편(禮運編)」부터 현재까지 이상 사회를 표현하는 말로서, 예운편에서 원래 뜻은 가족ㆍ종족 안에... |
* 대립 ([對立 영ㆍ프 opposition, 도 Gegensatz]) |
1) 형식 논리학에서는 ①반대, 상관, 모순의 관계에 있는 두 개의 개념관계와 ②판단의 대당 관계를 말한다. 2) 현실 가운데에서 ... |
* 대립對立 (Entgegensetzung , Gegensatz ) |
"대립이란 동일성과 상이성의 통일이다"[『논리의 학』 6. 55]-이것이 헤겔의 '대립'에 대한 정의이다.상이한(차이 ... |
*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 ([영 unity and struggle of the opponents]) |
레닌에 의해서 명확히 정식으로 된 변증법의 중심법칙이다. 대립물의 통일 또는 통일이란 '사회, 정신을 포함하여 자연의 모든 ... |
* 대불대동맹전쟁(해방전쟁) (Koalitionskrieg(Befreiungskrieg) |
1793년부터 1815년에 걸쳐 프랑스 혁명 정권과 그에 이어지는 나폴레옹에 대항하기 위해 영국을 주도자로 하여 일곱 번... |
* 대상 ([對象, 영 object, 도 ObjektㆍGegenstand]) |
인식이나 의지와 같은 주체적 활동이 전개될 때 그 활동의 표적이 대상이다. 이런 의미에서 대상은 주체적 활동과 상관 관계에 ... |
* 대상 언어 ([對象言語〕) |
→메타 언어
|
* 대상對象 (Gegenstand) |
의식에서 표상되는 사항 일반을 의미하는 〈대상〉은 본래 '의식에 대한 것' 또는 '의식과는 다른 실재'라는 구조를 지니지만, ... |
* 대수 법칙 ([大數法則, 영 law of large numbers]) |
이 명칭으로 부르는 정리는 확률론에서는 여러 가지이지만, 가장 간단하며 최초로 발견된 것은 수학적 확률과 경험적 확률과의 ... |
* 대승 ([大乘, 범 Mahayana]) |
이상에 도달하기 위한 '위대한 수레'라는 의미이며, 형식주의적인 소승과 대립적인 말이다. 인도에서 발생하여 현재 네팔 외에 ... |
* 대우주 ([大宇宙, 영 marcocosm, 도 Makrokosmos]) |
눈에 보이지 않은 현상이나 운동(원자와 전자) 즉 소우주와 구별하여 천체(天體)를 지칭한다.
|
* 대자 ([對自〕) |
→ 즉자(卽自)
|
* 대자 對自 (Fürsich) |
'향자(向自)', '자독(自獨)' 등이라고도 번역된다. '즉자'가 '타자'와의 관계를 지니지 않거나 지닌다고 하더라도 '우리'에게 ... |
* 대전제 ([大前提, 영 major premise, 도 Obersatz, 프 majeure]) |
형식논리학에 있어서 삼단논법에 세 개의 판단 중 그것에서 결론의 술어가 도출되는 판단을 대전제라고 한다. 예를 들면 "①모... |
* 대중大衆 (Masse) |
완전한 상호의존의 체계인 시민사회는 인간의 연관과 노동의 양식을 보편화하며, 이에 따라 비약적으로 부의 축적을 증대시... |
* 대중사회 ([大衆社會, 영 mass society, 도 Massengeselischaft]) |
현대 사회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는 모델 개념 중 하나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에 자본주의의 독점 단계로의 이행과 민주화... |
* 대진 (戴震) |
1723~1777. 호는 동원(東原). 완(脘)이라는 고장의 서민 출신. 고증학을 확립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세계관을 논술하였다. 청(淸) 초... |
* 대학생 학우회 (Burschenschaft) |
대불 해방전쟁 후에 결성된 애국주의적인 학생 단체. 우선 1815년 6월에 예나 대학에서 결성되었으며, 1817년 10월에는 예나 대학의... |
* 덕 ([德, 영 virtue, 도 Tugend〕) |
1) 서양 사상에서는 도덕적으로 선한 행위를 하는 것과 같은 성격상의 관습을 말한다. 덕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의 아레테(aret&eacut... |
* 덕과 덕목 ( Tugend ) |
Ⅰ. 덕이란 인륜적 의무들을 수행하는 개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의미한다. 개인은 이런저런 덕을 몸에 익힘으로써 몸을 인륜적 ... |
* 데모니쉐 ([도 das Damonische〕) |
인간의 마음 깊숙한 곳에 감추어져 있어 인간의 의지, 의향, 지성에 관계없이 인간을 어떤 행동으로 몰아가고 타인에게도 강한 ... |
* 데모크리토스 ( 도 Demokritos) |
BC 460~370년경. 그리스 유물론적 철학자로서 트라키아의 아부데라 사람이다. 레우키포스의 원자론을 자연계만이 아니라 널리 인... |
* 데미우르고스 ([그 demiurgos]) |
공장(工匠)ㆍ제작자의 뜻.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서는 세계 창조자(신)가 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이 신은 원형으로서의 ... |
* 데보린 (Deborin, Abram Moiseevich) |
1881~1963. 소련 철학자. 잡지 『마르크스주의의 가치 하에』의 책임ㆍ편집자로서 기계론적 편향을 비판하였으나, 1930년경 데보린 ... |
* 데스튀 드 트라시 ( Destutt de Tracy, Antoine Louis Claude) |
1754~1836. 프랑스 혁명 시대에 귀족을 대표하여 정치에도 참가하였지만 곧 물러나 철학에 전념하였다. 그가 명명한 '관념학(id&eacu... |
* 데카르트 (Descartes, Rene) |
1596~1650. 프랑스 수학자이며 철학자. 해석 기하학의 창시자이고 근세 철학의 아버지라 부른다. 스콜라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후에... |
* 데카르트학파 ([영 Cartesian, 도 Cartesianer]) |
데카르트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철학자ㆍ사상가들을 지칭한다. 데카르트의 사상은 그의 모국 프랑스나 그가 오랫동안 체류한 ... |
* 도가 ([道家, 영 taoism]) |
제자백가의 하나. 노자ㆍ장자 등의 사상적 경향을 지칭한다. 원래는 전국시대에 가족적인 혈연적, 지역적 공동체가 보다 강력한... |
* 도교 ([道敎, 영 taoism]) |
자연 종교적 색채가 농후한 다신교. 종교적 조직을 갖는 도교와 민간에서 행해지는 민중 도교로 나누어진다. 후한 말에 주술적... |
* 도교 사상의 전래 ([道敎思想의 傳來〕) |
한국에 도교 사상이 유입된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4~5세기에 이미 삼국에 도교가 성행했던 사실로 보아 그 이전의 시기에 유입... |
* 도기론 ([道器論]) |
『역(易)』의 "형이상(形以上)은 도이고 형이하(形以下)는 기(器 )이다."에 대해서 주자학은 도는 이(理)이고, 기(器)는 기(氣)라 ... |
* 도덕 ([道德, 영 morality, 도 MoralㆍSittlichkeit, 프 morale]) |
일정한 사회 내에서 그 사회 구성원의 사회에 대한, 그리고 구성원 상호 간의 행위를 규제하는, 그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승인되... |
* 도덕 감각 ([道德 感覺, 영 moral sense]) |
영국의 도덕 철학자 샤프츠베리, 허치슨들의 이론은 인간에게는 천성적으로 미적ㆍ예술적 감각과 마찬가지로 직관적인 '옳고 ... |
* 도덕 법칙 ([道德法則, 영 moral low, 도 Sittengessetz]) |
주관적 격률(格率)과 구별하여 도덕적 행위의 규범이 되는 보편타당한 법칙을 말한다. 이것은 우리의 욕구를 보편적인 법칙에 ... |
* 도덕 의식 ([道德意識, 영 moral consciousness]) |
도덕적인 선악과 정ㆍ부정(正ㆍ不正)을 판별하고 평가하는 의식. 양심과 거의 같은 의미로도 사용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양심이... |
* 도덕 정서설 ([道德 情緖說, 영 emotive theory of ethics]) |
논리실증주의는 의미가 있는 모든 명제는 그 진위의 결정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이와 같이 진위를 결정... |
* 도덕 철학 ([道德哲學, 영 moral philosophy]) |
인륜의 기초와 본질에 관한 학으로서 윤리학의 이론적 부분이기도 하며 또 동시에 윤리학을 대신하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과거... |
* 도덕률 ([道德律〕) |
→ 도덕 법칙
|
* 도덕성 ([道德性, 도 Moralitat]) |
칸트는 어떤 다른 목적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오로지 도덕 법칙에 대한 존경이 행위의 동기가 되는 경우에만 도덕적 가치가 ... |
* 도덕성 道德性 (Moralität) |
헤겔이 도덕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는 칸트의 도덕론이 비판적으로 함의되어 있다. 즉 그것은 "대자존... |
* 도덕적 증명   |
→ 신 존재의 증명
|
* 도량 ([度量, 도 Maß]) |
헤겔 논리학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 일반적으로 질이 없는 양도, 양이 없는 질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자명한 사실에... |
* 도량度量 (Maß) |
절도라고도 번역된다. 질에서 확립된 규정성은 지양되어 양으로 이행하지만, 다시 질이 회복됨으로써 성립하는 '전체성'이 '도... |
* 도선 (道詵) |
827~898. 신라 말의 중. 속성은 김(金)이고, 영암 사람으로 호는 옥룡자(玉龍子). 월유산(月遊山) 화엄사에서 수학하고, 동리산(桐裏... |
* 도선비기 (〔道詵秘記〕) |
→ 도선
|
* 도시都市 (Stadt) |
헤겔에 따르면 많은 도시는 교회와 마찬가지로 봉건제도의 압박에 대한 '반동', '합법적으로 조직된 권력'으로서 출현했다. ... |
* 도태 (淘汰, 영 selection〕) |
생물학에서는 동일한 종(種)의 다수의 개체 중에서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어떤 것은 보존되고 어떤 것은 번식하지 않고 소멸... |
* 도행지 ( 陶行知) |
1891~1946. 중국의 교육가. 1914년 도미하여 듀이에게 수학하였다. '생활교육'이론은 그의 교육 활동의 기조(基調)로 경험주의ㆍ개량... |
* 독단론 (〔獨斷論, 영 dogmatism〕) |
사물에 대해 무비판적 태도로 증명을 하지 않고 신념에 의거하는 경우. 후기 희랍철학에 와서 회의론에 대립하여 나타난 이 독... |
* 독단론獨斷論 (Dogmatismus ) |
독단론은 원래 모종의 정설과 교의를 (자주 충분한 근거 없이) 주장하는 태도를 가리키며, 회의론의 맞짝 개념을 이룬다. ... |
* 독단적 ([獨斷的, 영 dogmatic]) |
1) 인식능력의 한계나 본질을 음미하지 않고 순수한 이성에 의해 실재를 인식할 수 있다고 하는 고찰방식. 칸트의 용어이다. 2) ... |
* 독립협회 ([獨立協會]) |
1896년 7월부터 1899년 초까지 서재필(徐載弼), 이상재(李商在), 이승만(李承晩), 윤치호(尹致昊), 남궁억(南宮檍), 안창호(安昌浩)들... |
* 독아론   |
→ 유아론
|
* 독일 계몽사상 (deutsche Aufklärung) |
스스로 계몽주의자임을 인정하는 칸트는 『계몽이란 무엇인가?』(1784)라는 제목의 소론에서 "계몽이란 인간이 자기 자신에... |
* 독일 고전철학 (獨逸 古典哲學, 도 deursche Klassische Philosophie) |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에 개화된 독일 부르주아 철학, 칸트에서 시작되어 피히테, 셸링을 거쳐 헤겔에 이르는 독일 철학의 발... |
* 독일 관념론 ([獨逸 觀念論, 도 deutscher Idealismus]) |
협의로는 독일 고전철학을 인식론적 또는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보아 이렇게 부른다. 그 인생관ㆍ역사관ㆍ세계관을 가리킬 때는... |
* 독일獨逸 (Deutschland) |
도이치(deutsch)란 원래 로마 풍으로 고대 라틴 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민족 고래의 언어를 말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국경과는... |
* 독일의 헤겔 연구   |
Ⅰ. 개관. 20세기 초엽의 신헤겔주의가 여전히 철학적 전통의 힘, 철학적 인식의 진리요구에 대한 신뢰에서 출발하고 있었던 데 ... |
* 돌바하 ([D'holbach, Paul Henri Thiry ]) |
1723~1789. 18세기 유물론의 가장 대표적인 철학자. 그의 저작『자연 체계』『상식론』『자연정치론』에서 프랑스 유물론은 가장 ... |
* 돌연변이 ([突然變異, 영 mutation]) |
원래는 생물에 나타나는 불연속적이면서 유전적인 변이의 의미로 드 브리스(Hugo de Vries)가 내놓은 개념이며, 이것을 진화의 근본... |
* 동격 ([同格, 영coordination, 도 Koordination〕) |
상관 관계. 외적 결합으로, 구(舊)논리학은 판단이나 삼단논법 등으로 동격 관계를 밝혔으나 이와 반대로 변증법적 논리학은 종... |
* 동경憧憬 (Andacht , Sehnen ) |
단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존재해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결여되어 있다)고 인지된 느낌. 결여되어 있다고... |
* 동굴의 비유 ([영 allegory of the cave]) |
플라톤이 사용한 비유. 그는 학자가 보는 이데아계(界)를 태양의 빛에 비치고 있는 세계에 비유하여, 육체에 묶여 있는 보통 사... |
* 동기 ([動機, 영 motive]) |
넓은 의미로는 인간이 어떤 상황에서 그의 행동을 결정하는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원인을 말하고, 윤리학에서 문제로 삼는 ... |
* 동기설 ([動機說]) |
행위를 도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에 행위의 결과를 문제 삼지 않고, 오로지 그 동기를 평가 대상으로 하는 윤리설(倫理說). 무조... |
* 동도서기론 ([東道西器論]) |
조선 말 개화기에 일부 개화론자들이 동양의 정신[道]을 근간으로 하고, 서양의 기술[器]을 채용하여 개화를 이룩하자고 한 사상... |
* 동력인 ([動力因〕) |
→ 원인
|
* 동물 (Tier) |
동물은 "자기가 없는 생명"인 식물에 대해서 "개별성의 자기가 자기 속에서 반성한 것"[『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350절]... |
* 동양철학 ([東洋哲學]) |
그리스를 기원으로 하는 서양철학에 대하여 동방의 여러 나라들(인도, 중국, 아라비아 등)의 철학, 특히 인도, 중국의 철학을 말... |
* 동일 개념 ([同一槪念, 영 identical concept]) |
내포도 외연도 같고 명칭만이 다른 개념. 예를 들면 '부모'와 '양친'은 동일 개념이다.
|
* 동일 원리 ([同一原理, 영 principle of identity]) |
동일률이라고도 한다. 사고 법칙으로 보통 "A는 A이다."라는 형식으로 표시된다. 일정한 범위에 있어서 토론이나 논술의 각각의 ... |
* 동일률 ([同一律〕) |
→동일 원리
|
* 동일성 (〔同一性, 영 identity]) |
넓은 의미로는 시간상, 공간상 구별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하고, 좁은 의미로는 사물이 그 자신과 일치하는 것(자기 동일성)을 ... |
* 동일성同一性 (Identität ) |
헤겔에 따르면 동일성은 다른 '반성규정들'과 마찬가지로 단순한 사유법칙이 아니라 존재론적 규정이며, '존재'의 '본질' 규정에... |
* 동일철학 ([同一哲學]) |
물질과 의식, 주관과 객관, 몸과 마음 등을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실체로서 고찰하는 철학 이론을 말한다. ... |
* 동일철학同一哲學 ( Identitätsphilosophie ) |
1801-3년의 셸링의 철학적 입장을 특징지어 보통 동일철학이라고 말한다. 셸링의 사상형성은 피히테적인 자아철학의 입장에... |
* 동정 ([同定, 영 identification〕) |
이것은 엄밀하게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1)어떤 사람이 어떤 사물을 어떤 말로 나타낼 때 듣는 사람도 그 말에 의해서 동일... |
* 동학사상 ([東學思想〕) |
조선의 봉건적 사회 구조와 가치 체계가 해체되어 가는 조선 말에 대동평등주의(大同平等主義)와 인간지상주의(人間至上主義)... |
* 동화 ([同化, 영 assimilation]) |
유화(類化)라고도 함. 지각(知覺)에 동화라 함은 새로운 지각을 이전에 형성된 동류의 인상과 결합시키는 것, 즉 새로운 경험은 ... |
* 동화同化 (Assimilation) |
유기체가 자기를 보존하기 위해 비유기적 자연을 자기 안으로 받아들여 동일화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즉 유기체는 "합목적적인 ... |
* 두개골론 (Schädellehre ) |
(1) 정신의 능력은 서로 독립된 다수(27개)의 개별적인 능력으로 분해될 수 있다. (2) 각각의 능력은 뇌의 표면의 일정한 부위에 존... |
* 두려움 (Furcht ) |
공포, 외포라고도 한다. "내가 일반적으로 두려움을 지니는 것은 나의 가치를 부정하는 나 이상의 힘에 대한 표상에 의한다"[『... |
* 둔스 스코투스 (Duns Scotus, Johannes) |
1266/74~1308 영국 스콜라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원칙적인 반대론자이며 가장 신랄한 비평가. 철학과 신학은 그 학문의 관찰법... |
* 뒤 브와 레이몽 (Du Bois-Reymond, Emil) |
1818~1896, 독일 생리학자. '세계의 7대 불가사의'(물질과 힘의 본질, 운동의 원인, 감각과 의식의 성립, 의지의 자유, 생명의 기원, ... |
* 뒤르켕 ( Durkeim, Emile) |
1838~1917. 프랑스 철학자이며 동시에 사회학자이다. 콩트학파에 속하며 따라서 실증주의자이다. 그는 사회학상 주관적 방법과의 ... |
* 듀링 ( Duhring, Karl Eugen) |
1833~1921. 독일 철학자. 그에 따르면 철학의 임무는 경험사실을 사유에 의하여 가공하는 일이다. 지식의 기초는 감각이다. 자연계... |
* 듀이 ( Dewey. John) |
1859~1952. 미국 실용주의 대표적 사상가. 금세기 전반의 미국의 근대 산업기술과 과학적 실험의 진보를 배경으로 인스트루멘털리... |
* 드라마 (Drama) |
넓은 의미의 드라마, 즉 '시적 예술작품'으로서의 드라마는 문예의 3대 장르의 하나.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 가장 완성된 총... |
* 드리슈 (Adolf Eduard Hans Driesch) |
1867~1941 독일 생물학자이며 철학자. 생물이 발생할 때의 형태 조절 작용이나 생물 행동의 합목적성은 기계적인 인과 관계만으로... |
* 등치 ([等値, 영 equivalence]) |
두 개의 논리실의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을 함의하고 있을 때 양자를 등치라고 말한다. 예를 들면 'P⊃q'와 '~p∨q'는 서로 등치이... |
* 등치 개념 ([等値槪念, 영 equivalent concept]) |
내포가 일치하지 않아도 그 외연(外延)이 일치하는 개념. 예를 들면 '한국의 수도'와 '한국의 가장 큰 도시'는 등치이다.
|
* 디나미스 ([그 dynamis, potentia, 영 potentiality〕) |
1)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중요한 개념. 실현, 현실태를 의미하는 에네르게이아(그 energeia, 라 actus, 영 actuality, 도 Wirkichkeit)에 대... |
* 디드로 ( Diderot,Denis) |
1713~1784. 18세기 프랑스의 혁명적 부르주아 사상가.『백과사전』편집자. 그 『맹인 시간』letters sur aveulges(1749)의 무신론적ㆍ유물... |
* 디오게네스 (Diogenes) |
BC 324년경에 사망. 퀴닉 학파 안티스테네스의 제자. 동파(同派)의 가르침은 금욕, 자족(自足), 관습 무시, 반(反)문명사상의 실천...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모스 (Diogenes Laertios) |
, 3세기 사람. 저서『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가르침』은 탈레스 이래 철학자에 대한 열전식(式) 기술이며 고대 그리스 철학에... |
*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Dionysius Areopagita) |
사도 바울의 제자라고 하는 인물의 이름. 그의 이름 아래 전해지는 일련의 저작이 있으나 내용은 신플라톤학파의 영향을 받은 ... |
* 디츠겐 ( Dietzen,Joseph) |
1828~1888. 독일의 유물론자. 피혁기술을 생업으로 하면서 독학하였고, 1848년 의 혁명에 가담하였지만 그 후의 반동기에는 미국이... |
* 딜레마 (영 dilemma) |
일상적으로는 어느 것을 선택하여도 곤란한 상황을 의미하지만, 논리학에서는 가언적(假言的) 판단을 대전제로 하고 선언적(選... |
* 딜타이 (Dilthey, Wilhelm) |
1833~1911. 독일 생의 철학의 대표적 철학자. 칸트에 대하여 '역사 이성의 비판'을 기도(企圖)하고 정신과학의 방법론적 기초로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