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능성 ([可能性, 영 possibility〕) |
능력이나 힘의 상태를 뜻함. 1)논리적으로는 ‘사유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어떤 대상이나 사상(事象)이 사유될 수 있는 필연... |
* 가능성可能性 (Möglichkeit ) |
자기에게 모순하지 않는 것은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성은 '자기동일성의 규정'이다. 그러나 이것은 가능성이 내실을 결여한... |
* 가능태 ([可能態 ]) |
→ 디나미스(dynamis) |
* 가다머 (Gadamer, Hans-Georg 1900~) |
해석학을 발전시킨 현대 서독(西獨)의 철학자, 하이데거의 영향을 깊이 받았으며 하이델베르크대학 교수로 활약했다. 고전 연구... |
* 가로디 (Garaudy, Roger 1913~) |
현대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그의 유물론적 인식론 Théorie materialiste de la connaissance(1953), 자유 La liberté(1955)는 ... |
* 가벼움 ( Leichtigkeit) |
가벼움은 유체성의 형태를 지니는 물체의 계기들이 분해될 가능성이다. "이 물의 과정에서 무게는 대립된 비중으로 붕괴된... |
* 가부장제 家父長制 (patriarchy) |
가부장(家父長)은 가족집단 내의 최고 연장자이자 어른으로서, 가내의 모든 인적 • 물적 요소에 대한 소유권과 처분권 및 가족 ... |
* 가블러 ( Gabler, George Anderss) |
1796~1853 독일의 철학자. 헤겔 우파에 속하는 헤겔의 계승자.
【주저】Die Hegelsche Philosophie, Beiräge zu ihrer richitigen Beurteilung u. W&u... |
* 가산家産 (Familienbesitz , Familiengut ) |
예나 시기의 헤겔에게 있어 가족에서의 재산은 자녀와 더불어 제1의 언어, 그리고 도구에 이어 정신의 제3의 "매사(媒辭, Mitte... |
* 가상 (〔假象, 영 semnlance. 독 Schein, 프 apparence〕) |
다만 그렇게 보일 뿐인 것을 지칭하는 용어, 가까운 예를 들자면 물 속의 막대기가 굽어보이는 경우와 같은 것을 말한다. 철학사... |
* 가상假象 (Schein) |
가상이란 "지양된 존재"로서의 본질에 여전히 잔존해 있는 "존재의 허무함(Nichtigkeit)"이다[『논리의 학』 6.18f.]. 헤겔은 "존재... |
* 가상디 (Gassendi, Pierre 1592~1655) 의견 ☞ [보충-1] |
프랑스 유물론자로서 스콜라적인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데카르트적 관념론에 반대하고, 에피쿠로스설을 부활하여 원자론적(原... |
* 가설 (假說, 영 hypothesis〕) |
억설(臆說), 가정(假定)이라고도 말한다. 일상용어로 본다면, 가정은 가설보다도 가벼운 의미로 사용한다. 가설은 과학이론에서 ... |
* 가신 家神 (Penaten ) |
고대 로마의 가정에서 식료품을 들여놓는 선반(penatus)를 지키는 신. 화로의 여신 베스타(Vesta, 그리스의 헤스티아 Ἑστία)... |
* 가언적 명령   |
→ 정언적 명령 |
* 가언적 삼단논법 (〔假言的 三段論法, 영 hypothetical syllohism〕) |
가언적 추리라고도 한다. 통상적으로는 대전제가 가언적 판단이며, 소전제와 결론이 정언적 판단이 되는 추리를 말한다. 만일 ... |
* 가언적 판단 (〔假言的 判斷, 영 hypothetical judgment, 독 hypothetisches Urteil〕) |
정언적 판단 또는 선언적 판단(選言的判斷)에 맞서는 말이다.“만일 S가 P이면, Q는 R이다.”는 형식에서와 같이 어느 가정 및 조... |
* 가장(부권)家長(父權) ( Patriarch , Patriarchat ) |
"가족의 장으로서의 남편"에게는 단지 그 가족을 대표할 뿐 아니라 "밖에서 소득을 얻고 [가족의] 욕구에 대해 배려하며 가산... |
* 가정 ([假定, 영 assumption ㆍ supposition, 독 Annahme]) |
1) 현실의 조건과는 관계없이 상정(想定)되는 경우가 있고, 2) 무엇인가를 설명하기 위해서 진위(眞僞)는 알 수 없지만 있을 수는 ... |
* 가족 家族 (Family) |
가족은 결혼과 혈연을 통해서 구성된 생활 공동체로서 부모와 자녀를 근간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변화가 없었지만, 서구 문화권... |
* 가족家族 (Familie ) |
[ 家族 , Familie ]헤겔에 따르면 가족은 자연적인 인륜적 공동체이다[『정신현상학』 3. 330]. 즉 가족은 첫째... |
* 가족제 家族制   |
가족과 친족을 구성하는 원리와 이에 근거한 보편적 관행 및 제도를 뜻한다. 가족과 친족을 구성하는 원리로 가장 잘 알려진... |
* 가치 ([價値, 영 value, 독 Wert, 불 valeur]) |
하나의 대상과 이를 평가하는 인간이 마련한 기준 사이에서 생기는 관계인데 심리학적 가치론이나 가치관주의 또는 가치 상대... |
* 가치 · 가격價値 · 價格 (Wert, Preis) |
물건은 특별한 '욕구'에 관련되어 있는 한에서 특별한 '유용성'을 지니지만, 이 유용성은 양적으로 규정된 것으로서 동일한 유용... |
* 가치 윤리학 ([價値倫理學, 독 Wertethik]) |
윤리학을 윤리적 가치를 해명하는 학문이라 생각하여, 가치를 철학적으로 취급하는 것을 말한다. 빈델반트나 리케르트 들은 신... |
* 가치 전도 (價値顚倒, 독 Umwertung aller Werte〕) |
니체가 그의 저서『인간적, 너무나 인간적인』의 서문에서 사용한 방식을 가리켜 스스로 붙여놓은 말. 전에 있던 모든 도덕적 ... |
* 가치 체계 (〔價値體系, 영 value system〕) |
우리는 끊임없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그 평가에 의하여 모든 가치의 우열을 결정짓는데, 이것이 이른바 ... |
* 가치 판단 (〔價値判斷, 독 Beurteilungㆍ Wertturteil〕) |
일반적으로 판단이란 두 개의 서로 다른 개념 또는 표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보통이지만, 가치 판단은 그 대상과 판단... |
* 가치 합리성 (〔價値 合理性〕) |
→목적 합리성 |
* 가치론 ([價値論, 영 theory of value ㆍ axiology, 독 Werttheorie ㆍ Axiologie]) |
가치의 정의, 가치 인식의 문제, 가치와 사실의 관계 등에 관해서 연구하는 것으로, 가치가 철학의 문제로 취급되기 시작한 것... |
* 가치철학 (〔價値哲學, 독 Wertphilosophie〕) |
1)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가치론과 거의 같은 의미를 지닌다. 2) 빈델반트, 리케르트 등 독일 서남학파(西南學派)의 ... |
* 가톨릭 종교개혁 宗敎改革 (Catholic Reformation) |
가톨릭 종교개혁은 흔히 ‘반종교개혁(Counter Reformation)’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역사적으로는 후자가 더 오래된 개념이다. 17... |
* 가톨릭주의 ( Katholizismus) |
헤겔은 루터파의 입장에서 가톨릭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베를린 시대에 "가톨릭교의 공적 비방"의 일원으로 고... |
* 간경도감 (〔刊經都監〕) |
1457년(世祖 2년)에 불교 경전을 번역 간행하기 위해 원각사(圓覺寺)에 설치한 기관. 고승 신미(信眉), 김수온(金守溫), 강희맹(姜... |
* 간디 (Gandhi, Mohandas Karamchand 1869~1948) |
인도 독립운동지도자. mahatma(위대한 혼)라는 존칭을 사용하여 부르고 있다. 여러 번 투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독립운동과 천민... |
* 간접 추리 (間接推理, 영 mediate inference, 독 mittelbarer Schluß〕) |
둘 또는 그 이상의 판단을 전제로 하여 그것들의 상호 관계로부터 결론을 끄집어내는 추리 형태를 말한다. 삼단논법, 귀납적 추... |
* 간주관성 (〔間主觀性〕) |
→상호주관성(相互主觀性) |
* 갈레노스 (Galenos) |
129~199년경 그리스 의학자. 페르가몬 사람으로 말년에는 로마에서 이름을 떨쳤다. 해부학, 생리학, 치료학들에 걸친 많은 저작이 ... |
* 갈리카니슴 (Gallicanisme) |
교황권의 제한과 프랑스 교회의 자주권과 자유권을 옹호하는 일련의 종교적・정치적 교리를 말한다. ‘갈리칸(gallican)’은 프랑... |
* 갈릴레이 (Galilei, Galileo) |
1564~1642 이탈리아 피사와 파두아 대학 교수였으며 이어 피렌체의 코지모 2세의 궁정부 수학자가 되었다. 근대 자연과학의 아버지... |
* 갈바니즘 (Galvanismus ) |
갈바니(Luigi Galvani 1737-98)는 개구리를 사용하여 신경과 근육에 대한 자극과 전기의 관계에 관한 실험을 행함으로써 근육... |
* 감각 (〔感覺, 영ㆍ프 sensation, 도 Empfindung〕) |
심리학에서는 감각기관이 그 무엇인가로부터 자극을 받아서 일어나는 의식 현상을 말한다. 눈, 귀, 코, 혀, 피부, 점막, 근육, 내... |
* 감각感覺 (Empfindung , Sinnlichkeit) |
젊은 시절의 헤겔은 실러의 칸트 비판에 따라 감성적인 충실을 허용하는 새로운 이성 개념을 모색했다. 근대인은 사물을 '미... |
* 감각계 (〔感覺界, 독 Snnenwelt〕) |
감성계 또는 감관계(感官界)라고도 말한다. 한 마디로 감성적인 지각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는 세계를 말한다. 이 말은 초감성적... |
* 감각론 (〔感覺論, 영 sensualismㆍsensationalism〕) |
모든 인식은 감각에 의해서만 생길 수 있다고 하는 인식론적 입장이다. 그 전형적인 대표자가 콩디약(condilac)이다. |
* 감관 (〔監官, 영 sense, 독 Sinn〕) |
감각 기관이나 그에 따른 지각 작용을 포함하여 생리 작용과 심적 작용을 통일적으로 생각하는 경우와 관련하여 철학의 문헌에... |
* 감사感謝 (Dank , danken ) |
'감사'의 개념은 Ⅰ. 『정신현상학』에서는 (1) '불행한 의식'[3. 172ff.] 및 (2) '현실과 교양의 나라'[3. 382ff.]의 두 장에서 의... |
* 감상 ([鑑賞, 영 aesthetic enjoyment, 독Genuß〕) |
예술작품을 예술로서 감수(感受)하고 감상하는 것으로, 향수(享受)라고도 한다. 논문(論文) 이해의 경우와 같이 감상에는 음미가... |
* 감성 (〔感性, 영 sensibility, 독 Sinnlichkeit〕) |
1) 감각이나 지각과 같이 외계의 자극에 의하여 느낄 수 있는 감각 기관의 감수성을 말한다. 칸트는 감성을 자발적인 사고 능력... |
* 감성(감각)적 확신 (sinnliche Gewißheit) |
『정신현상학』의 최초의 장의 주제를 이루며, 현상지의 서술(진리와 확신의 변증법)의 최초의 예이기도 하다.이 현상지의 첫 ... |
* 감성 感性 (Sinnlichkeit ) |
감관(Sinn)에 의해서 감각과 충동을 감수하는 능력. 칸트는 감성을 지성 내지 이성에 대치시키고, 그 대립관계를 축으로 이상... |
* 감성感性 ( sensibility, Sinnlichkeit , sensibilité ) |
철학적 용어로서는 칸트에게서 확립된 것이지만, 포이어바흐가 사변철학 비판에서 가장 중요시한 개념. 감성 개념에... |
* 감성계 (〔感性界 〕) |
→ 감각계 |
* 감성적 인식ㆍ이성적 인식 (〔感性的 認識ㆍ理性的 認識, 독 sinnliche ErkenntnisㆍVernunfterkenntnis〕) |
감성적 인식이란 감각 기관을 통한 인식을 말하고, 이성적 인식이란 개념적 사고에 의한 인식을 말한다. 그리스 철학과 중세기 ... |
* 감수성 (Sensibilität) |
흥분성, 재생산과 더불어 동물적 유기체의 개념을 구성하는 세 가지 계기 가운데 하나. 본래 A. v. 할러가 신경... |
* 감정 (〔感情, 영 feeling, 독 Gefuhl〕) |
정신활동이 지니는 이른바 지성과 감정과 의지의 한 측면을 대표하는 말로서 즉, 대상 그 자체의 인지(認知)나 또는 표상(表象)... |
* 감정 도덕설 ([感情道德設, 독 Gefuㆍhlsmoral〕) |
감정 윤리라고도 말하며, 도덕적 행위의 동기를 감정에서 구하는 도덕설이다. 인간에게 구비된 자애(自愛)와 사회적 애정과의 ... |
* 감정 이입 (〔感情移入, 영 empathy, 독 Einfuhlung〕) |
다른 사람의 표정이나 몸짓을 보면, 그 감정에 공감(共感)하는 직접적인 작용이 일어난다. 이것은 자기가 자기의 감정을 타인에... |
* 감정感情 (Gefühl , fühlen ) |
감각에 의해서 규정된 자기의 상태를 느끼는 것. 감정은 "자기성"에 관계된다[『엔치클로페디(제3판) 정신철학』 402절 주해]. 이 ... |
* 감정신학 (Gefühlstheologie) |
슐라이어마허의 철학은 감정신학이라고 불린다. 그의 『종교론, 종교 멸시자들 가운데 교양 있는 자들에게』(1799)는 계몽의 합... |
* 감정철학 (〔感情哲學, 독 Gefuhlsphilosophie〕) |
이성과 지혜에 편중된 계몽사상에 반항하기 위해서 일어난 18세기 말의 독일철학이다. 심정, 정열, 신앙을 본원적(本源的)인 것... |
* 갑신정변 (〔甲申政變〕) |
1884년 10월 17일 김옥균(金玉均)ㆍ박영효(朴泳孝)ㆍ홍영식(洪英植 )ㆍ서재필(徐載弼)ㆍ서광범(徐光範) 등 개화 독립당(開化 獨立... |
* 갑오 농민전쟁 (〔甲午農民戰爭〕) |
19세기에 들어서자 구미(歐美) 자본주의 열강이 한반도 주변에 물밀듯이 밀어닥쳤다. 1867년, 무력을 앞세운 일본의 강요에 의해(... |
* 갑오경장 (〔甲午更張〕) |
1894(高宗 31년)에 일본의 지원을 받은 온건 개화파 정권의 개혁, 봉건적 자의적 수탈, 착취의 누적 그리고 지방관의 횡포를 직접 ... |
* 강유위 (姜有爲) |
1858~1927 청조(淸朝) 말기에 청조 황제 아래서 입헌 군주제에 의한 근대화와 변법자강(變法自疆)을 시도하였으나 1898년 정변 때 ... |
* 강제 (Zwang ) |
강제는 넓은 의미로는 제약 일반이다. 인간은 현존재로서는 외적 대상에 제약되며, 사회적 존재로서는 습속과 법 등의 규범에 ... |
* 강제 수용소 强制收容所 (Concentration Camp) |
특정 부류의 사람들이 주로 정치적인 이유나 인종적 이유로 정규 감옥제도 밖에서 비인간적인 생활조건하에 구금되어 있는 장... |
* 개괄 (〔槪括, 영 generalization, 독 Verallgemeinerung〕) |
보편화 또는 일반화라고도 부른다. 1) 여러 대상(또는 개념)의 공통된 특징을 추상(抽象)하여 개념 (또는 보다 높은 개념)을 창조... |
* 개념 ([槪念 영ㆍ프 concept, 독 Begriff〕) |
통속적(通俗的)으로는 사물의 개략적 지식의 의미로 오용(誤用)되는 일이 있지만, 개념은 사물의 본질적인 특징(→징표)을 취급... |
* 개념 실재론 (〔槪念實在論, 독 Begriffs realismus〕) |
보편개념을 실체화(實體化)하여, 의식(意識)으로부터 독립된 실재적 본질로 간주하는 설로 중세의 스콜라철학에서 대두된 실재... |
* 개념槪念 (Begriff ) |
Ⅰ. 형식논리학에서의 개념. 개념은 우선 통상적인 형식논리학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우리가 무언가에 대해 판단할 때 주어 내지... |
* 개념론 (〔槪念論, 영 conceptualism〕) |
유개념(類槪念)과 종개념(種槪念)으로 취급되고 있는 보편적인 것의 실재 여부에 관하여 스콜라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난 ... |
* 개념적 (〔槪念的, 독 begrifflich〕) |
직관적 또는 표상적(表象的)에 대립되는 말로서 대상을 개념에 의하여 파악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통속적인 용법에서... |
* 개별 개념 (〔個別槪念〕) |
→ 집합 개념 |
* 개별성個別性 (Einzelheit , Einzelne) |
'개념'의 세 가지 계기 가운데 하나인 개별성은 "보편과 특수성을 그 생성의 계기"로 하고 있으며, "규정된 보편"으로서의 "특... |
* 개성 (〔個性, 영 individuality〕) |
개별자(개체 또는 개인)에게 갖추어진 특수하고 독자적인 성질을 말하는데, 특히 어떤 한 인간의 특성이〔괴테적 의미의 마성(... |
* 개연적 (〔蓋然的, 영 probable, 독 wahrscheinlich〕) |
확실한 것 같다고 생각하는 경우로, 무언가 가능한 사건이 일어날 것이 예견될 때나, 또는 어느 하나의 사건이 일어나버림으로... |
* 개인 ([個人 영 individual, 독 Individuum〕) |
1) 개체(個體)로서 인간을 취급하는 경우, 단순히 수적(數的)으로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한 사람 한사람의 인간을 의미하는 경우... |
* 개인個人 (Individuum ) |
나라고 하는 보편성은 세상 물정 모르는 사람, 학생, 서울시민, 아버지, 회사원이라는 다양한 특수성 가운데서 현실화된다. 개체... |
* 개인주의 (〔個人主義, 영 individualism〕) |
개인을 사회나 국가와 같은 집단에 대립시켜 보는 경우로 사회나 국가에 앞서 개인의 존재만이 우선적이고 더 높은 가치를 지닌... |
* 개체 ([個體, 영 individual,독 Individuum〕) |
원어(原語)는 '분할할 수 없는 것'이라는 그리스말 atomon의 라틴어 번역어 individuum이며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개별적 존재'란 뜻... |
* 개체 개념 (個體槪念〕) |
→ 단독 개념 |
* 개체화의 원리 ([영 principle of individuation, 라 principium individuationis〕) |
개체로 하여 개체일 수 있도록 하는 원리를 말한다. 스콜라 철학자 사이에서는 그것이 질료에 있는지 형상에 있는지를 놓고 논... |
* 개화사상 (〔開化思想〕) |
1876년 병자수호조약이 체결되고 일본ㆍ서양ㆍ청(淸)의 문물이 유입되자, 낙후된 현실을 절실히 느껴 선진 문물의 수용과 내정... |
* 객관적 관념론 ([客觀的 觀念論, 영objective idealism]) |
관념론의 일종으로 개인의 주관을 중심으로 하는 주관적 관념론과는 달리 현실 세계를 초개인적인 이데아나 본원적인 우주적 ... |
* 객관적 실재 ([客觀的實在, 영 objective reality]) |
의식으로부터 독립된 실재를 말한다. ⇒실재 |
* 객관적 정신 (〔客觀的 精神, 독 objektiver Geist〕) |
일반적 정신생활을 포괄하는 영역에 대해서 헤겔이 사용한 용어이다. 그의 정신철학은 주관적 정신, 객관적 정신, 절대적 정신... |
* 객관적 정신客觀的精神 (objektiver Geist ) |
체계 시기의 헤겔 정신철학에서 주관적 정신과 절대적 정신 사이의 두 번째 단계를 이루며, 이 시기 그의 사회철학을 보여준다. ... |
* 객관적 진리 (〔客觀的 眞理, 영 objective truth〕) |
유물론은 객관적 실재가 인식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까닭에 실천에 의하여 확증된 지식은 객관적 실재를 많든 적든 간에 정확... |
* 객관주의 (〔客觀主義, 영 objectivism〕) |
우리의 주관적 의식에 관계없이 객관적인 진리를 인정하는 태도. 그러나 이것은 가끔 인간의 인식에서 주체적인 실천의 의의와 ... |
* 객체 (〔客體, 영 object〕) |
주체에 반대되는 말. 객관과 거의 동일한 뜻으로 ①일반적인 대상, 사상(事象) ②주체와 연관됨으로써 이 주체의 행위가 지향하... |
* 건축(술) (Architektur , Baukunst) |
건축은 헤겔에 따르면 이중의 의미에서 최초의 예술이다. (1) 예술이란 정신을 일정한 감각적 형태라는 모습으로 현실의 존재로 ... |
* 검증 (〔檢證, 영 verification〕) |
1)일반적으로 어떤 명제(命題)의 진위(眞僞)를 사실과 대조시키는 일, 특히 어떤 가설(假說)에서 유도된 결론의 관찰이나 실험의... |
* 게르베르투스 (Gerbertus) |
1003년 사망. 렌스라벤나의 대사교(大司敎)를 역임하고 교황 실베스터 2세가 된 초기 스콜라철학자이다. 고대 학예의 애호가로 ... |
* 게마인샤프트ㆍ게젤샤프트 (〔독GemeinschaftㆍGesellschaft〕) |
독일의 사회학자 퇴니스(F. Tönnies)가 그의 저서 Gemeinschft ind Gesellshaft 에서 역설한 사회 결합의 두 가지 형태(공동 사회와 이익... |
* 격 (〔格, 영 figure of syllogism, 독 Schlußfigur〕) |
삼단논법의 대전제나 소전제는 동시에 매개념(M으로 표기한다.)을 포함하는데, 이것이 전제(前提)의 주어가 되는지 술어가 되는... |
* 격률 (〔格率, 영 maxim〕) |
준칙(準則)이라고도 한다. 고대에는 논리상의 주요 명제를 나타내는 뜻이었으며, 근대에는 증명 없이 인용(認容)된 명제(로크) ... |
* 격물치지 (〔格物致知〕) |
정이천(程伊川)이 내세웠고 주희(朱熹)가 완성한 존심양성(存心養性)이라 부르는 수도법으로 '궁리(窮理)'라고도 한다. 사물의 ... |
* 격의 (〔格義〕) |
3세기 말부터 4세기에 걸쳐 불교의 반야계 경전이 중국에 전해졌다. 이미 현학(玄學; 노자, 장자의 사상)에 기울어져 있던 사상계... |
* 견유학파 (〔犬儒學派, 영 Cynics, 독 KynikerㆍZyniker〕) |
그리스 철학의 한 유파로 그 명칭은 창시자 안티스테네스의 학교 소재지인 아테네의 Kynosarges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하는데 그 학... |
* 견인력과 반발력 (Anziehungskraft und Repulsivkraft ) |
칸트는 "인력만으로는 물질은 응축되어 버리며, 그것에 균형을 이루는 반발력이 있어야만 한다"는 헤일즈(Stephen Hales 1677-... |
* 결과 (〔結果〕) |
→원인, 인과관계 |
* 결과 윤리 ([結果倫理〕) |
→동기설 |
* 결과結果 (Resultat ) |
인과성에서의 결과(Wirkung)와 여기서 말하는 〈결과〉는 구별되어야만 한다. 전자는 범주의 하나에 지나지 않지만, 후자는 〈논... |
* 결과설 ([結果說〕) |
→동기설 |
* 결단決斷 (Entschluß) |
결단이란 주로 개념 내지 이념 자신이 자기를 규정하고, 자연과 사유를 스스로의 고찰 대상으로 하는 활동을 말한다.Ⅰ. 사유에 ... |
* 결론 (〔結論, 영 conclusion, her Schlußsatz〕) |
1)어떤 판단이 다른 판단(→전제)이 참인 것에 의거하여 이끌어졌으나 그 판단이 참이 아니면 전제(前提)도 (그 일부 중 조금이라... |
* 결여 개념 ([缺如槪念, 영 privative concept〕) |
결성 개념(缺性槪念)이라고도 한다. 당연히 지녀야 할 것을 결여한 사물을 표현하는 개념. |
* 결절점 ([結節點, 독 Knotenpunkt〕) |
→전환점 |
* 결정론 (〔決定論, 영 determinism〕) |
인간 행위를 포함한 일체의 사상(事象)은 필연적인 법칙에 지배된다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서는 당연히 모든 사상(事象)이 원... |
* 결정적 실험 (〔決定的 實驗, 영 crucial experiment〕) |
→가설(假說) |
* 결혼 (Ehe) |
헤겔에 따르면 결혼은 인륜적 관계이다[『법철학』 161절 「보론」]. 여기서 인륜적 관계라는 의미는 결혼이 인류의 종으로서의 ... |
* 경건주의 ([敬虔主義, 영 pietism, 독 Pietismus〕) |
17세기 말에 독일에서 일어난 종교운동, 당시 루터파의 교의(敎義)가 강경해지는 데 반대하여 개인의 경건심(敬虔心)을 높이고 ... |
* 경세치용학파 (〔經世致用學派〕)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중에 토지제도, 행정 기구들의 제도적 개혁에 치중한 학파, 대표적 학자는 유형원(柳馨遠), 정약용(丁若鏞), ... |
* 경제적 사회 구성체   |
→사회 경제 구성체 |
* 경제적 유물론 (〔經濟的 唯物論〕) |
경제적 결정론(economic determinism), 경제사관(economic interpretation of history)이라고도 한다. 경제를 사회 발전의 유일한 동력으로 간주... |
* 경제주의 (〔經濟主義, 독 Okonomismus〕) |
노동운동에 있어서 경제를 중시하고 경제 투쟁에 의해서만 혁명이 가능하다고 봄으로써 중앙 집권적인 전위당(前衛黨)의 지도... |
* 경제학 經濟學 (politische Oekonomie , Staatsökonomie ) |
헤겔의 경제학 연구의 출발점은 제임스 스튜어트 및 애덤 스미스이다. 그 시기는 프랑크푸르트 시대나, 그에 앞선 베른 시대로 ... |
* 경찰행정 (Polizei) |
폴리차이, 경찰행정이라는 개념은 통상적인 의미로는 한국어의 '경찰'에 대응하지만, 헤겔에게 있어서는 한편으로 고대 정치학... |
* 경향 (Neigung ) |
인간을 어떤 행동으로 향하게 하는 동기가 되는 것. 헤겔은 이 말을 초기 이래로 욕망(및 충동)과 병렬되는 것으로서 후자에 가... |
* 경향성 (〔傾向性, 독 Neigung〕) |
마음이 어느 한쪽으로 습관적으로 치우친 상태를 말하는데 이것은 본능이나 관심과도 흡사하다. 칸트도 이것을 관습화된 감각... |
* 경험 (〔經驗, 영 experience, 독 Erfahrung〕) |
1)무엇인가를 실제로 해 봄으로써 생활 내용이 풍부해지는 것. 2) 능력을 행사하는데 따라서 그 능력이 더욱 개발되는 것〔예를 ... |
* 경험 비판론 (〔經驗 批判論, 독 Empiriiokritizismus〕) |
아베나리우스파의 인식론 학설로서 마하(Mach)의 인식론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사고에 의한 것은 그 어떤 것도 인정하... |
* 경험 일원론 (〔經驗一元論, 영 empirical monism〕) |
러시아의 보그다노프가 제창한 경험 비판론의 일종이다. 경험의 요소는 심적(心的) 또는 물적(物的)인 것이 아닌 중립적인 것이... |
* 경험經驗 (Erfahrung , Empirie ) |
Ⅰ. 인간의 인식의 원천은 〈경험〉 가운데 있다는 것이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 이래 경험론의 기본적인 입장이었다.&... |
* 경험과학 (〔經驗科學, 영 empirical science〕) |
경험적 사실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으로 수학이나 형이상학과 같은 학문에 대비되어 일컬어진 말이다. |
* 경험론 (〔經驗論, 영 empiricism,독 Empirismus, 프 empirisme〕) |
인식의 원천을 오직 경험에서만 구하는 학설이다. 이는 고대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었지만, 명백한 자각(自覺)을 지닌 경험을 최... |
* 경험주의 ([經驗主義]) |
자신의 경험에 집착하여 이론의 중요성을 이해하지 않고, 감성적, 국부적(局部的)인 지식을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어디에... |
* 계급 (〔階級, 영 class,독 Klasse]) |
"역사적으로 규정된 사회적 생산제도 속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생산 수단에 대한 관계, 노동의 사회적 조직에 있어서의 역할... |
* 계급투쟁 (〔階級鬪爭, 영 class struggle, 독 Klassenkampf〕) |
마르크스주의에 의하면, 계급투쟁은 사회가 착취계급과 피착취계급으로 분열되어 있을 때, 이들 계급의 상반된 이해(利害)의 대... |
* 계기 (〔契機, 독 Moment〕) |
원래는 헤겔 변증법의 술어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것을 움직이게 하며 결정 짓는 근거. 헤겔에 있어서는 변증법적 운동의 동적 ... |
* 계기. (〔繼起, 영 succession〕) |
인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호간 식별할 수 있는 각 순간마다 차례로 나타나는 현상들 간의 관계를 말한다.
|
* 계기 契機 (Moment) |
어떤 것이 그것의 대립자와 통일되어 이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을 때 그것은 이 통일 내지 관계의 계기라고 말해진다. 이와 같... |
* 계명 (Gebot ) |
절대적인 힘으로서 주인인 신과 그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노예로서의 인간이라는 지배관계에서는 계명이 주어지며 그에 대... |
* 계몽 ([啓蒙, 영 enlightenment, 독 Aufklarung, 프 illumination〕) |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권위나 편견 또는 속된 믿음의 사상(思想) 해방을 뜻하며, 따라서 비판적이고 자유스러운 사상 태도의 확... |
* 계몽啓蒙 (Aufklärung ) |
종교적 미신과 압제에 의해서 야기된 민중의 무지몽매의 상태를 이성의 빛에 의해서 몰아내고자 하는 운동이지만, 헤겔의 『정... |
* 계사 ((繫辭)) |
→ 연어(連語) |
* 계시 (〔啓示, 영 revelation, 독 Offenbarung〕) |
숨겨진 그 무엇이 베일을 벗고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주로 종교에서 사용된다. 이 경우 신(神)이 계시의 주체이고 대상(對... |
* 계시啓示 (Offenbarung ) |
헤겔의 정신 개념에는 절대적 정신의 계시가 전제되어 있다. "정신 자신의 본성은 자기를 현시하는 것, 자기를 대상화하는 것이... |
* 계약 (Vertrag ) |
자립적 인격이 상호의 인격을 인정하고, 증여와 교환의 형태로 〈동일적 의지〉를 정립하며, 외면적 물건을 매개하는 것. 약... |
* 계층 (〔階層, 영 social straum〕) |
1. 사회의 계층이라는 개념은, 신분이나 계급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계급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1) 사회학에서는 ... |
* 계형 이론 (〔階型理論, 영 theory of types〕) |
→ 러셀의 역설 |
* 고가르텐 (Gogarten, Friedrich) |
1887~1967. 독일 프로테스탄트 신학자. 바르트와 함께 변증법 신학파에 속하지만, 뒤에는 나치스에 협력해 버린다.
【주저】Ich gla... |
* 고귀한 의식과 비천한 의식 (Edelmütiges und niederträchtiges Bewußtsein ) |
헤겔은 『정신현상학』에서 유럽의 중세부터 근세에 걸친 봉건제 내지 군주제국가의 시대를 개체와 전체가 조화된 고대 그리스... |
* 고대철학 (〔古代哲學, 영 ancient philosophy〕) |
고대 인도나 중국에도 철학은 있었으나 보통 '고대철학'(philosophy)의 기원과 고대 그리스나 고대 로마철학을 총칭한 것이다. 대부... |
* 고르기아스 (Gorgias) |
BC 483~376년경에 활동한 그리스의 소피스트, 웅변가, 시실리 사람이다.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여도 인식할 수 없다. ... |
* 고비노 (Gobineau, Arthur, Comte de) |
1816~1882. 백작, 프랑스 외교관, 민족학자, 저서『인간 불평등론』Essaisur l'inegalité des races humaines, 4권(1853~55)에서, 인종에는 육... |
* 고용계약 (Lohnvertrag) |
헤겔은 자기의 활동을 〈시간에서〉라는 제한을 붙여 양도한다는 점에서 고용노동 및 고용계약의 특질을 본다. 그것은 "나의 생... |
* 고전예술 (klassische Kunst ) |
헤겔은 『미학』에서 예술의 역사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첫 번째가 상징예술, 두 번째가 고전예술, 세 번째가낭만적 ... |
* 고전주의 (〔古典主義, 영 classicism, 독 Klasssik, 프 classicisme〕) |
고대 그리스나 라틴의 고전(古典), 특히 그 전성기(BC 5세기) 그리스 예술을 본보기로 하여, 지성을 존중하고 주관을 배척하며 형... |
* 고향 (Heimat ) |
자기의 출생지인 고향이 그립게 의식에 떠오르는 것은 그로부터 떠나 있으면서 또한 그에 대한 생각이 생겨나고 있을 때일 것이... |
* 공간 (〔空間, 영 space, 독 Raum, 프 espace〕) |
공간은 시간과 함께 물질의 근본적인 존재 형식인데, 관념론에서는 칸트의 경우와 같이 이를 선천적(先天的)인 직관형식으로 간... |
* 공간空間 (Raum) |
'공간'은 『엔치클로페디』에서 '자연철학'의 첫 머리에 위치하는 범주이자 '자연'의 가장 기초적인 성격을 표현하는 것이다. '... |
* 공기 (Luft ) |
'공기'는 '물리학(Physik)'의 대상영역(질량(Materie)이 자기 내에 자기 자신의 한정 원리를 지니는 자연영역)에 속하며, 여러 가지 요... |
* 공동 사회ㆍ이익 사회 (〔共同社會ㆍ利益社會, 독 Gemeinschaftㆍ Gesellschaft〕) |
→게마인 샤프트ㆍ게젤샤프트 |
* 공동체 (Gemeinde , Gemeine ) |
"최고의 공동(Gemeinschaft)이 최고의 자유이다"[『차이 논문』 2. 82]. 헤겔 철학은 이 말로 집약된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헤겔 ... |
* 공론 (Öffentliche Meinung) |
공공적인 의견. "다수자가 지니는 견해와 사상의 경험적 보편성"[『법철학』 301절]이 거기서 표명된다. 헤겔의 공론에 대한 평가... |
* 공리 (〔公理, 영 axiom〕) |
다른 명제에 의하여 증명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자명한 진리로 인정되어, 다른 명제의 전제(前提)가 되는 근본 명제를 말한다. ... |
* 공리주의 (〔公理主義, 영 axiomatism〕) |
이론은 일반적으로 무전제(無前提)적인 공리에서부터 연역 체계로 성립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가정하여 실제로도 이에 대해서... |
* 공리주의 (〔功利主義, 영 utilitarianism〕) |
넓은 의미에서는 공리(功利)ㆍ효용을 모든 가치의 원리로 간주하는 학설이다. 좁은 의미는 벤담, 밀들에 의하여 대표된 윤리(倫... |
* 공산주의 (〔共産主義, 영 communism, 독 Kommunismus]) |
1)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하여 실현된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를 기초로 하는 '사회 경제 구성체'를 말한다. 이 사회에서는 인간... |
* 공상적 사회주의 (〔空想的 社會主義, 영 utopian socialism〕) |
유토피아 사회주의라고도 한다. 공산주의적 이상 사회에 관한 사상은 고대나 중세에서도 볼 수 있는데, 근세에 있어서는 토마스... |
* 공자 (孔子, 영 Confucius,) |
BC 552~479 춘추시대 사람으로 이름은 구(丘)이며, 노(魯)나라 사람이다. 유교 창시자이자 중국 최초의 민간(民間)사상가이면서 교... |
* 공자孔子 (Konfuzius) |
중국의 종교는 도량(度量)의 종교이다. 그러므로 나라와 개인의 안녕은 도량규정의 준수에 걸려 있다. 헤겔에 따르면 이와 ... |
* 공작인 ([工作人, 라 homo faber〕) |
인간관의 일종이다. 인간과 동물과의 구별은 인간이 사물을 만드는 것과 사물을 만드는 도구를 제작하는 데 있다고 생각하는 것... |
* 공장 (Fabrik) |
헤겔은 공장 내 분업에 기초하는 매뉴팩처 단계의 공장공업과 나아가 기계적 공업을 염두에 두고 있다. 공장에 관한 비교적 ... |
* 공준 (〔公準, 영 postulate〕) |
요구, 요청된 것이라고 하는 의미의 그리스어aitêma(라 post ulatum)에서 유래된 말로 공리와 마찬가지로 증명이 불가능한 명제... |
* 공통 감각 ([共通感覺, 그 koine aistheis, 라 sensus communis〕) |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된 술어이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동일... |
* 공화국 (Republik) |
[ 共和國 , Republik ]베른 시기의 한 단편에서 헤겔은 "공화국에는 사람이 그것을 위해 사는 이념이 있다"[1. 207]... |
* 과정 (Prozeß) |
"이념은 본질적으로 과정이다"[『엔치클로페디(제3판) 논리학』 215절]라고 말해지듯이 '과정'은 "구별된 것을 동일하게 하고 동... |
* 과학 ([科學, 영ㆍ프 science, 독 Wissenschaft]) |
원어 는 학문 일반(學問一般)을 의미하고, 영어의 science는 특히 자연과학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지만, 과학이란, 자연과 사회의 ... |
* 과학 비판 ([科學批判, 독 Wissen schaftskritik]) |
과학의 이론적 전제나 방법을 명확하게 하는 일을 뜻함.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 그 출발점을 이루었지만, 과학 비판이라고 ... |
* 과학기술 혁명 (〔科學技術革命, 영 scientific technical revolution 독 wissenschaftlich- te) |
생산력(生産力)의 한 요소인 과학과 기술의 질적, 비약적 발전을 각각 '과학 혁명', '기술 혁명'이라 한다. 이 '과학 혁명'과 '기술... |
* 과학을 위한 과학 ([프 la science pour la science〕) |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표어와 같이, 이 표어도 과학의 가치를 인간의 사회생활과 연관 지어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 탐... |
* 과학적 경험주의 ([科學的經驗主義, 영 scientific empiricism〕) |
빈(Wien)학단(學團)에서 시작된 논리 실증주의가 그와 유사한 경향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운동(통일과학)으로 나아간데 대해서 붙... |
* 과학적 사회주의 (科學的社會主義, 독 Wissenschaftlicher Sozialismus, 영scientific soc ialism) |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사적 유물론(史的 唯物論)을 발견하고, 동시에 잉여 가치(剩餘價値)의 발견을 통하여 자본주의적 생산의 ... |
* 과학철학 ([科學哲學, 영 philosophy of scienceㆍscientific philosophy〕) |
과학의 본성 또는 과학의 모든 방법, 모든 범주, 체계적 구조, 인간 활동의 그 위치 등을 연구하는 철학 분야이다. 이러한 의미에... |
* 관계 ([關係, 영 relation, 독 RelationㆍBeziehung, 프relationㆍrapport]) |
1)넓은 의미에서는 둘 이상의 사고의 대상을 어떤 점으로 통일시킬 수 있을 경우, 이 대상들은 그 점에 있어서 어떤 관계에 놓여 ... |
* 관계 개념 ([關係槪念, 독 Beziehungsbegriff〕) |
몇 개의 대상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 예를 들면 A는 B보다 크다는 관계가 있는 경우 '보다 크다'는 것이 관계 개념이다.
... |
* 관계 논리학 ([關係論理學, 영 logic of relations]) |
전통적인 논리학은 명제를 '기본적으로 주어+술어' 형식으로 취급한다. 다만, 동일성을 나타내는 명제를 이 형식에 포함시키기... |
* 관계關係 (Verhältnis , Beziehung) |
Ⅰ. 논리적 범주로서의 관계(Verhältnis)는 양적 관계 내지 비례(das quantitative Verhältnis)와 본질적 관계 그리고 절대적 관계... |
* 관념 ([觀念, 영 idea, 독 Idee, 프 idee]) |
원래는 진리를 관찰 사념(觀察思念)한다는 뜻의 불교 용어인데 오늘날에 와서는 주로 서양어 번역으로 사용된다. 1)이데아(idea)... |
* 관념론 ([觀念論, 영 Idealism, 독 Idealismus]) |
물질 또는 자연에 대한 관념(정신이나 의식)의 근원성을 주장하는 학설이며, 유물론과 대립관계에 있다. 원래 '관념'이라는 말은... |
* 관념론觀念論 ( Idealismus) |
헤겔의 철학적 입장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본래 18세기에 라틴 어 idea에서 유래하는 독일어 Ideal(이상)에서 파생적으로 성... |
* 관념론적 역사관 ([觀念論的 歷史觀, 독Idealistische Geschichtsauffassung]) |
사적 유물과는 반대로 인간 사회 역사의 기초 및 원동력을 관념적인 것(이념, 정신, 충돌 등)으로 보는 견해. 18세기 프랑스 유물... |
* 관념성 (Idealität) |
관념성이란 "모든 현실적인 것은 이념이다"[『뉘른베르크 저작집』 4. 165]라는 관념론적 존재 이해의 근본원리이며, 본질... |
* 관념연합 ( Ideenassoziation) |
관념연합 또는 연상 개념은 본래 영국 경험론의 것이지만, 많은 독일 계몽주의자가 철학을 심리학 내지 인간학화 함에 있어 인... |
* 관념적 ([觀念的, 영ㆍ독 ideal]) |
1)관념에 관한 것을 나타내는 말. 2) 비현실적 또는 현실을 무시한 추상적, 공상적인 생각이나 견해를 가리키는 말.
|
* 관료(제) ( Beamte ) |
헤겔이 관료에게 요구하는 근본적인 심정은 "국가적 감각(Sinn der Staates)"이며, 그것은 "보편적인 사항에 끊임없이 반... |
* 관성 (Trägheit ) |
고전역학에서의 '관성'은 헤겔 자연철학에서 '물질' 그 자체의 개념에서 도출된다. '물질'은 우선은 단지 양적 구별만을 지니... |
* 관습 ([慣習, 영 custom, 독 Sitte, 프 moeurs]) |
풍속, 풍습, 관습, 습속과 같은 말은, 본래 뜻으로 보면 뚜렷이 구별되는 것이 아니며, 여기서는 보통 사용되고 있는 풍속에 대하... |
* 관습慣習 (Gebrauch) |
일반적으로 '습속'이나 '습관'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지만[『법철학』 151절 7. 302], 종교적 관습의 의미에서는 '제사'와 거... |
* 관심(이해) (Interesse) |
어떤 주체에 있어 환경이 객체로서 대립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에 주체로 하여금 이 환경과의 통일을 목적으로 세우... |
* 관용 (寬容, 영 tolerance, 독 Toleranz) |
어느 사회에서 이단적(異端的)인 소수 의견 발표를 자유스럽게 인정하여, 그러한 의견을 차별적으로 대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 |
* 관조 ([觀照, 그 theoria, 라 contemplatio, 영 contemplation]) |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이다. 그는 감관적(感官的) 지각에 도달할 수 없는 진리(형이상학이나 수학과 같은 진리)의 의미를 '바라... |
* 관찰 ([觀察, 영ㆍ프 observation, 독 Beobachtung]) |
어떤 대상이나 과정이 어떻게 존재하며 어떻게 하여 생겨나는가와 같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넓은 의미... |
* 관찰觀察 (Beobachtung) |
'관찰'은 보통 실증과학에서의 기본적인 연구방법의 하나이자 현상이 어떠하고 또한 어떻게 생성 · 변화하는 것인지... |
* 광(光)의 형이상학   |
→ 빛의 형이상학
|
* 광기 (Wahnsinn) |
『뉘른베르크 저작집』에서 헤겔은 "정신장애(Verrücktheit)에는 그밖에 우행(愚行, Narrheit), 광기(Wahnsinn), 광폭(Raserei) 등과 같... |
* 광신 (Schwärmerei) |
유한자와 무한자, 자기의식과 실체, 현실과 개념 등의 관계에 대하여 양자를 개념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공상에 의해... |
* 괴델 (Godel, Kurt) |
1906~1978, 오스트리아의 완전성이나 산술(算術)의 공리(公理)를 포함한 술어 논리의 불완전성(괴텔의 정리)을 증명하여 논리학의 ... |
* 괴델의 정리 ([독, Godel's Therem]) |
괴텔이 증명한(1931) 기호 논리학과 수학 기초론상의 정리이다. 자연수에 관한 피노(G. Peano)의 공리계(公理係)와 러셀ㆍ화이트레... |
* 괴로움 ( Qual , Leiden , Schmerz) |
괴로움은 헤겔 논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신의 부정성을 가리킨다. 이미 『기독교의 실정성』[1. 345]에서 타자와의 분리의 ... |
* 괴리 개념 ([乖離槪念〕) |
→이격 개념
|
* 괴테 (Goethe, Johann Wolfgang von) |
1749~1832, 독일 최대의 문호이며 사상사적으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인물이다. 그의 세계관은 계몽기의 기계론적인 견해를 거... |
* 교부철학 ([敎父哲學, 영 partristic philosophy]) |
기독교회의 초기(가톨릭교회의 성립 시기인 2세기에서 8세기까지) 저술가(교부)의 철학을 가리킨다. 처음에는 교부들이 이교(異... |
* 교양 ([敎養〕) |
원래 외적 육체적 형성을 의미하며, 뫼저(J. Mõser), 괴테(Goethe) 이후에는 어떤 귀감에 따른 인간의 정신적 형성을 뜻하는 것... |
* 교양敎養 (Bildung ) |
헤겔에서 Bildung이라는 말은 상호 연관되면서도 뉘앙스를 달리 하는 몇 가지 의미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것을 '교양'이라... |
* 교육敎育 (Erziehung ) |
어떠한 교육관의 경우에도 그 근저에는 인간관이 놓여 있다. 헤겔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그리고 그의 인간관은 "인간은 정신이... |
* 교의 ([敎義, 독 Dogma]) |
교리(敎理)라고도 한다. 1) 카톨릭 교회에 의하여 초자연적인 계시로 간주되면서 정식으로 결정된 종교적 진리이다. 불변의 진리... |
* 교의敎義 (Dogma , Dogmatik) |
『역사철학』에서 헤겔은 교의, 즉 이론을 교부들과 공의회가 수립했다고 말한다[12. 398]. 그에 앞서 철학이 중요한 역할을 ... |
* 교조주의 ([敎條主義, 영 dogmatism]) |
마르크스주의 용어이다. 경험주의와 함께 주관주의의 일종이며, 일반적으로 마르크스주의의 고전적(古典的) 문헌에 기술되어 ... |
* 교종 ([敎宗]) |
→오교구산, 의천 |
* 교차 개념 ([交叉 槪念, 영 cross concept〕) |
외연(外延)의 일부를 공유하는 두 개의 개념, 예를 들면 학자와 교육자는 이러한 관계에 있다 |
* 교호 작용 ([交互作用, 영 reciprocal action, 독 Wechselwirkung〕) |
상호 작용이라고도 한다. 사물이 서로 원인이 되거나 결과가 되기도 하며, 서로 작용하고 만나는 것으로, 역학에 있어서는 작용... |
* 교호작용 (Wechselwirkung) |
두 개가 서로의 원인임과 동시에 결과이기도 한 관계. 실체성과 인과성을 지양하는 규정으로서 『논리학』 '본질론'의 최종... |
* 교환 (Tausch ) |
교환은 『법철학』의 '추상법'에서 처음부터 '교환계약'이며, 이미 공통의 의지에 의해 매개되어 승인된 관계이다. '교환 그 자... |
* 교회 · 교단 (Kirche) |
헤겔에게 있어 교회는 제1의적으로는 물론 기독교 교회를 의미한다. 그는 자신이 프로테스탄티즘의, 그것도 루터파... |
* 구별 (Unterschied , Differenz) |
'구별'이라는 개념은 헤겔 철학에서 특유의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헤겔이 술어로서 사용하는 '구별'이란 '절대적 구별', '... |
* 구분 ([區分, 영 division, 독 Einteilung]) |
삼각형을 부등변, 등변, 이등변으로 나누는 것처럼 나누는 것을 논리학에서는 구분이라 한다. 위의 예에서는 변(邊)이 같은지 다... |
* 구상력 ([構想力〕) |
→ 상상력 |
* 구상적 ([具象的〕) |
→ 구체적(具體的) |
* 구성 (Konstruktion ) |
'구성'에 대한 헤겔의 생각은 예나 전기와 그 후기 이후에 커다란 변화를 보인다. 그것은 이 시기들에서의 셸링과의 영향관... |
* 구성적 원리 ([構成的原理, 독 Konstitutives Prinzip]) |
칸트의 인식론에 의하면, 경험적 세계의 인식은 시간, 공간의 직관 형식에 의하여 수용된 다양한 지각 내용(知覺內容)에 통일과 ... |
* 구원 ([救援, 영 salvattion, 독 Heil Erlosung]) |
종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위험 혹은 해악(害惡)을 예상하고 그것으로부터 구제받는 것을 말한다. 도덕관념의 발달과 함... |
* 구조주의 ([構造主義, 프 structuralism, 영 structuralism]) |
인류학 분야에서 사회생활을 무의식의 구조로 분석한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로부터 발단이 되었고 또한 ... |
* 구체적 ([具體的, 영 concerte, 독 Konkrete]) |
구상적(具象的)이라고도 하며 추상적(抽象的)에 반대되는 말이다. 1) 개념적(槪念的)이고 일반적(一般的)인 의미에서는 '추상적'... |
* 구체적 개념 ([具體的槪念, 영 concrete concept〕) |
논리학자에 의해서 가끔 사용된다. 1) 속성(屬性)이 소속(所屬)되는 주체로서의 대상의 개념. 예를 들면 인간의 개념〔인간에게... |
* 구체적 진리 ([具體的 眞理, 독 Konkrete Wahrheit〕) |
어떤 사물을 둘러싸고 있는 구체적인 조건, 때, 장소를 고려해서 취해진, 그 상황에서 올바른 판단을 말한다. 일정한 조건 하에... |
* 구체적具體的 (konkret) |
'추상적'에 대립하여 말해진다. 구체적인 것이란 개념의 일면적 규정성에 지나지 않는 추상을 포괄하는 전체적 통일이며, 변증... |
* 국가 (Staat) |
국가는 가족과 시민사회에 이어지는 인륜의 제3의 최후의 단계로서, 여기서 인륜적 이념의 두 가지 계기, 즉 특수성과 보편... |
* 국민(민족 · 민중) ( Nation , Volk) |
헤겔에게서 국민 · 민족 · 민중과 가족 및 국가와의 연관은 복잡하며, 다소 불명료한 점을 남기고 있다. 예를 들면 ... |
* 국선 ([國仙〕) |
신라시대의 고유 종교로서 예부터 전승된 신교(神敎)ㆍ선교(仙敎)ㆍ풍류교(風流敎)ㆍ풍월도(風月道)ㆍ현묘지도(玄妙之道)ㆍ밝... |
* 국제법 (Völkerrecht) |
자립적인 국가들의 상관관계에서 유래하는 국제공법의 하나. 국가들의 특수의지에 의해 체결되는 조약에 대해 국제법은 "국가... |
* 군주 · 군주제 (König · Königtum) |
헤겔은 입헌군주제 국가를 근대 국가의 하나의 이상적 존재방식이라고 평가한다. 이 국가관에서 군주는 독특한 규정을 부여 받... |
* 군주 도덕 ([君主道德, 독 Herrenmoral]) |
니체의 용어, 노예 도덕(Sklaven moral)에 대립한다. 노예 도덕이 강자에 대한 약자의 내부적인 반감(反感ㆍressentiment)에 근본을 둔 ... |
* 궁리 ([窮理〕) |
→격물치지 |
* 궁핍(궁박) (Not) |
신체의 물리적인 생존 가능성의 극한상태를 가리킨다. 욕구와의 관계가 문제로 되지만, 욕구가 정신적 의미도 지니는 데 반해 ... |
* 권근 (權近) |
1352~1409 고려 말 조선 초기의 성리학자. 초명은 진(晋). 자는 가원(可遠)ㆍ사숙(思淑). 호는 양촌(陽村). 공민왕 때 관계(官界)에 ... |
* 권력 (Gewalt , Macht ) |
정치의 본질을 권력으로 보는 관점은 근대의 관점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근대 시민사회의 성립과 무관하... |
* 권력에의 의지 ([독 Wille zur Macht〕) |
니체가 모든 살아 있는 것, 넓은 의미에서는 존재 일반의 근본 성격으로 간주한 그의 중심사상의 하나이다. 이것은 정치적 권력... |
* 권리 문제 ([權利問題, 라 Quid Juris]) |
칸트의 용어이다. 원래 법률 용어이지만 칸트는 자신의 인식론이 인식의 발생에 관한 사실 문제(quid fact)를 취급하는 것이 아니... |
* 권위 ([權威, 영 authority]) |
가치의 우월성이 형식 또는 고정화됨으로써 특정한 사람이나 특정한 제도 또는 관념들이 지니는 일종의 힘을 뜻한다. 이것은 좋... |
* 권위 도덕 ([權威 道德, 독 Autoritats moral]) |
인간의 내면적인 규범의식(規範意識)에 따르는 것을 도덕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권위를 중심으로 하여 사회적으로 ... |
* 궤변 (詭辯, 그 sophistike, 영 sophistryㆍsophism, 독 Sophistik, 프 sophisme〕) |
사람을 속이기 위해서 의식적으로 행하는 논리상의 허위(虛僞). |
* 귀결 ([歸結〕) |
→ 추론 |
* 귀납 ([歸納, 영 induction〕) |
연역(演繹)에 반대되는 말로서 정식으로는 귀납적 추리(歸納的推理ㆍinductive in ferenceㆍi, syllogism)라고 부른다. 낱낱의 특수한 사... |
* 귀납2 (Induktion) |
귀납에 대해서는 『논리의 학』 및 『엔치클로페디(제3판) 논리학』의 '개념론', '반성의 추론'에서 명확한 의의 부여가 행해... |
* 귀납법 ([歸納法, 영 inductive method〕) |
귀납에 의거한 과학적 연구법. 특히 사물사이의 인과 관계를 확정하는 연구법을 말한다. 이것은 이미 베이컨에 의해서 윤곽이 ... |
* 귀납적 추리 ([歸納的 推理, 영 inductive inference, I, syllogism〕) |
→귀납 |
* 귀요 (Guyau, Jean Marie) |
1854~1888. 프랑스 진화주의자(進化主義者)이다. 생(生)철학의 입장에서, 그는 자연의 목표 및 도덕의 법칙을 생(生)의 최대한의 전... |
* 규범 ([規範, 영 norm]) |
하나의 사실에 대하여 우리가 그것은 옳다, 선하다, 아름답다는 등의 평가를 할 때의 기준이 되는 것. 따라서 이러한 것을 만드... |
* 규범 의식 ([規範意識, 독 NormbewußtseinㆍNormalbewußtsein〕) |
빈델반트의 용어이다. 개인이나 집단이 가지고 있는 규범에 관한 의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모든 평가의 보편타당한 선천적... |
* 규범적 법칙 ([規範的法則, 영 normative law]) |
존재의 법칙에 반하여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형태의 법칙을 말한다. 논리학이나 윤리학 등에서의 모든 법칙은 이와 ... |
* 규정 · 규정성 (Bestimmung · Bestimmtheit) |
'규정성' 범주는 『논리의 학』 제1권 '존재론', 제1편 '질'론 전체의 과제이자, 특히 제2장 '현존재'에서 상세하게 전개되고 ... |
* 규칙 ([規則, 영 rule, 독 Regel, 프 regle]) |
규칙이란 생활이나 인식 등을 목적한 대로 진척시키기 위해서 지켜야 하는 일정한 방식이고, 또 그것을 명확하게 표현한 것이다... |
* 균형 이론 ([均衡理論〕) |
유물 변증법의 기본 법칙인 대립물의 통일을 대립하는 힘의 균형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려는 이론을 말한다. 소련의 기계적 유... |
* 그노시스 ([그 gnosis]) |
원래는 지식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그리스 말기(1~2세기)에는 비밀의식을 향하는 종교적인 뜻으로 사용되어, 신을 직관적으로 인... |
* 그노시스2 (Gnosis) |
철학사에서, 또는 기독교의 교리사에서 그노시스주의(Gnostizismus)라고 불린 학설(특히 기원 2~3세기에 유력했다)은 그노시스(γ... |
* 그람시 (Gramsci, Antonio) |
891~1937.이탈리아 공산당의 창립자(1921) 중 한 사람이다. 당의 서기장(1924)을 지냈으며, 파시즘 권력에 의하여 죽을 때까지 투옥(192... |
* 그레고리오스 (Gregorios) |
335~395년경. 오리게네스의 영향을 받고, 니케아 종교 회의 등을 통해 확립된 기독교교회의 교의를 합리적인 근거에 의거하여 보... |
* 그로티우스 (Grotius, Hugo) |
1583~1645. 폴란드 법학자. 종교적, 정치적 이유로 프랑스에 망명하여 『전쟁과 평화의 법에 관해서』 de jure belli acpacis(1625)에서 자... |
* 그리스 (Griechen ) |
헤겔의 그리스에 대한 관심은 그 김나지움 시대부터 사상편력의 끝에 이르기까지 헤겔 사상의 핵심을 관통하고 있는데, 그것은 ... |
* 그리스 비극 (griechische Tragödie , antike Tragödie ) |
그리스 비극은 디오니소스 제례에서 야외의 극장에서 실연되는 가면극이었다. 등장인물은 대체로 탁월한 능력을 지닌 영웅들로... |
* 그리스 철학   |
→ 고대철학 |
* 그리인 (Green, Thomas Hill) |
1836~82. 영국 신헤겔주의자이다. 영국의 경험론적, 공리주의(功利主義)적 전통에 반대하고 '절대적 정신'으로 동화(同化)되는 자... |
* 극성 (Polarität) |
극성은 당시 자연철학의 기본용어로서, 단순한 대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합일에서 나타나는 대립, 대립과 통일의 상호전제,... |
* 근거 ([根據〕) |
→ 원리 |
* 근거2 (Grund ) |
헤겔은 '근거'에 관한 고찰을 『논리의 학』 '본질론'의 '근거' 장에서 상세하게 전개하고 있는데, 거기서 기본이 되는 논점은 일... |
* 근대 ( Modernes , moderne/neuere/unsere Zeit/Welt ) |
일반적 관념과 거의 마찬가지지만 헤겔에게 있어 '근대'란 종교개혁, 시민사회, 계몽과 같은 것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
* 근대주의 ([近代主義, 영 modernism]) |
교회의 전통에 따르지 않고, 근대의 역사적, 비판적 방법을 채택하여 기독교교의(敎義)의 자유로운 해석을 지지한 가톨릭의 경... |
* 근대철학 ([近代哲學, 영 modern philosophy]) |
일반적으로 서양의 근대철학이란 르네상스에서 20세기에 이르는 거의 5세기 동안의 철학. 곧 초기 자본주의 발전기에서 자본주... |
* 근본악 ([根本惡, 독 radikales Bose]) |
칸트의 종교 철학에 있는 생각. 그는 인간에게는 태어나는 동시에 경험에 우선하여 선천적으로 '악(惡)으로 향하는 자연적 경향'... |
* 금속성 (Metallität ) |
금속성은 "형태화된 물체성"이다. 무형태적이고 아직 전개되지 않은 물체의 개체성이 일면적으로 전개되어 형태를 획득하면 금... |
* 금욕주의 ([禁慾主義, 영 asceticism, 독 Asketik]) |
쾌락이나 고통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동물적인 욕망 충족을 최소한으로 한정지으려는 도덕적 실행 방법을 말한다. 욕망의 극복... |
* 긍정 ([肯定, 영ㆍ프 affirmation, 독 Bejahungㆍ Affirmation〕) |
부정(否定)의 반대말. 판단의 경우, 거기에 문제 되고 있는 주어와 술어와의 관계를 그대로 시인하는 것을 말한다. 또 일반적으... |
* 긍정 판단 ([肯定判斷, 영 affirmative judgment, 독 bejahendes Urteil〕) |
"S는 P이다."는 형식의 판단으로 '부정 판단'의 반대말이다 |
* 긍정적 개념 ([肯定的槪念, 영 positive concept]) |
적극적 개념이라고도 한다. '부정적 개념'에 반대되는 말로 어떤 성질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예를 들면 지식... |
* 기 ([氣]) |
원래 숨을 들이 쉬는 기운을 뜻하는 것이었으나 차차 생명이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뜻으로 되어, 중국사상에 기초 개념의 하나... |
* 기계론 ([機械論, 영 mechanism]) |
1) 사상(事象)을 오직 맹목적인 인과 관계로 설명하고, 목적론을 배척하는 태도이다. 좁은 의미에서는 사상을 역학적인 개념이나... |
* 기계론적 유물론 ([機械論的 唯物論, 독mechanischer Matetialismus]) |
세계의 사상(事象)을 모두 역학의 개념이나 법칙에 의해 설명하고 질적으로 다양한 사상을 물질의 역학적 운동으로 환원하려 하... |
* 기계적 ([機械的, 영 mechanical]) |
1) 기계나 기계적인 구조에 관해서, 또 기계와 같은 방법이 일어나는 과정에 관한 말이다. 2) 좁은 의미에서는 역학의 개념 및 법... |
* 기계적 구조 ([機械的構造, 영 mechanism〕) |
어떤 부분이나 단계가 기계의 모든 부분 사이에 성립되어 있는 상호 연관을 가질 때 그 부분 또는 단계에 성립되어 있는 구조나 ... |
* 기계적 연관 (Mechanismus) |
'기계적 연관'은 『엔치클로페디』 및 『논리의 학』에서 논리학의 제3부 '개념론' 제2장 '객관성'의 첫 머리에 위치하며, '화학... |
* 기능 ([機能, 영 function]) |
서로 의존하고 관계하고 있는 몇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전체적 구조 (예를 들면 기계, 생체, 사회 등)속에서, 어느 부분... |
* 기능주의 ([機能主義, 영 functionalism, 독 Funkitionalismmus, 프 fonctionalisme]) |
1) 과학 방법론에 있어서 모든 일체의 것을, 그 실체적인 구조에 있어 정적, 고정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그 기능에 있어서... |
* 기대승 ( 奇大升) |
1527~1572, 조선 선조 때의 성리학자,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峰)ㆍ존재(存齎). 선조 초 대사간(大司諫)에 이르렀으나 뜻을 이... |
* 기도 (Beten ) |
종교의 주관성은 신에 대한 지향성으로서 신에 대한 감각, 다시 말하면 기원(bitten)이라는 식으로 언표되는데, 헤겔은 이 주관성... |
* 기독교 ([基督敎〕) |
→ 크리스트교 |
* 기독교2 ( Christentum , christliche Religion) |
'계시종교', '절대적 종교'라고도 불린다. 헤겔 철학은 그 근저에 기독교의 각인을 지니고 있다. 첫 머리에서 "종교는 우리의 ... |
* 기분 ([氣分, 영 mood, 독 Stimmung, 프 humeur]) |
일반적으로는 상쾌함, 우울함과 같이 직접 이것을 발생시키는 자극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주관적 감정을 가리키는 것이지만, 미... |
* 기분氣分 (Stimmung ) |
자연을 통해 느끼는 일반적인 감정으로서 한편으로는 내면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면적이다. 또한 직접적이고 아직 반성이 ... |
* 기상학적 과정 (meteorologischer Prozeß) |
기상현상은 "지구의 물리학적인 생명"[『엔치클로페디(제3판) 자연철학』 286절], 즉 지구가 스스로를 생명의 실재적인 기초로서 ... |
* 기술 ([記述, 영ㆍ프 description, 독 Beschreibung]) |
어느 대상이나 사태 및 과정(過程)의 특질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그것을 완전하고 질서 바르게 기재하는 것을 말한다. 또 설명에 ... |
* 기술 ([技術, 영 technics, 독 Technik]) |
기본적으로는 물질적 생산기술을 의미하지만 이러한 기준 이외에 기타 영역에도 넓게 사용되어, 정치, 군사, 미술, 음악, 문학 ... |
* 기술. ([技術, 영 technics, 독 Technik]) |
기본적으로는 물질적 생산기술을 의미하지만 이러한 기준 이외에 기타 영역에도 넓게 사용되어, 정치, 군사, 미술, 음악, 문학 ... |
* 기술技術 (Technik) |
인간은 외적 자연에 관계하는 가운데 기술을 통해 그로부터 몸을 분리하고 도리어 그것을 제어하며 스스로의 자립성을 획득한... |
* 기술학파 (〔記述學派〕) |
→ 기술(記述) |
* 기억 · 상기 · 내(면)화 (Er(-)innerung ) |
"Erinnerung"은 보통 "Gedächtnis"와 함께 동사 등에 의해 보완되어 〈기억에 보존한다〉, 〈상기한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말로서 ... |
* 기욤 ( Guillaume de Conches) |
→ 윌리엄
|
* 기자동래설 ([箕子東來說]) |
사대모화주의(事大慕華主義)에 의해 날조된 우리나라 고대 건국 전설의 하나. 기자는 은(殷)나라 왕족으로 주(紂)왕의 태사(太師... |
* 기적奇蹟 (Wunder ) |
헤겔은 기적에 대해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비판적이었다. 그것은 기적이 객관적으로 있을 수 없다는 과학과 '지... |
* 기정진 (寄正鎭) |
1798~1876, 조선 고종(高宗)때의 성리학자, 척사론자(斥邪論者), 자는 대중(大中), 호는 노사(蘆沙), 성리학에 전심하여 유리론(唯理... |
* 기지機智 (Witz , Geistreiches) |
기지는 이미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 노인에 대한 젊은이의 고유한 성격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웃음을 자아내... |
* 기질 ([氣質, 영 temperament]) |
감정 및 그것과 관계되어 있는 의지의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는 인간의 소질상(素質上) 차이를 말한다. 기질에 관한 사고방식은, ... |
* 기체 ([基體, 라ㆍ영ㆍ프 substraum, 독 Substrat]) |
물질의 성질이나 상태의 토대로 그것들을 받쳐주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으로, 그리스어 hypokeimenon (밑에 가로 놓인다는 뜻)에서 ... |
* 기초존재론 ([基礎存在論, 독 Funda mentalontologie]) |
1930년 이전 하이데거의 용어로 존재자의 존재 의미를 해명하는 학설이다. 그는 철학을 존재론으로 해석하고, 존재자를 존재자... |
* 기하학적 정신 ([幾何學的精神]) |
파스칼의 용어. 기하학의 방법에서 출발하는 것과 같이, 소수의 원리에서 출발하여 질서를 가지고 검증(檢證)하면서 진보하여 ... |
* 기호 ([記號, 영 sign]) |
1) 기호라고 말하면 누구든지 감각에 호소하는 자극이나 또는 그러한 감각에 관계되어 있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교통 신호의 ... |
* 기호記號 (Zeichen ) |
헤겔에 따르면 "〈기호〉란 그것 자체가 지니고 있는 내용과는 전혀 다른 내용을 표상하는 바의 모종의 직접적 직관이다"[『엔... |
* 기호논리학 ([記號論理學, 영 symbolic logicㆍmathematical logic]) |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하는 전통적인 형식 논리학은 명제의 기본을 정언적 명제라 하고, 이러한 주어에 술어가 귀속하고 있... |
* 기호론 ([記號論, 영 semiotics. semiology]) |
1) 기호에 관한 학문이지만, 그 발생은 피어스와 소쉬르에 의하여 시작되었고 비교적 새로운 것으로, 연구 대상의 범위나 성질에... |
* 기호학파 ([畿湖學派]) |
조선 성리학에 이이(李耳)의 이기설(理氣說)을 지지하고, 이황(李滉)의 이기설이 중심이 된 영남학파에 대립한 학파. 주기파 또... |
* 기화 (己和) |
1376~1433, 조선 전기의 중. 법명은 득통(得通). 호는 함허(涵虛), 속성은 유(劉)이며, 무학 자초(無學自超, 1327~1405)의 수제자로서 조... |
* 기회 원인론 ([機會原因論, 영 occasionalism]) |
신(神)의 피조물(被造物)인 물체에 있어서나 정신에 있어서, 원인에 의해 작용력을 인정하지 않고 그것들은 모두 신의 의사에 따... |
* 기회균등주의 ([機會均等主義, 영 opendoor policyㆍthe principle of equal opportunity〕) |
1) 세계 여러 나라가 국적(國籍)에 의한 차별대우를 배척하고 상호간의 통상ㆍ항해나 경제적 이익 관계에서 균등한 이익을 얻기 ... |
* 길재 (吉再) |
1353~1419.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로 자는 재부(再父), 호는 야은(冶隱)ㆍ금오산인(金烏山人). 1370년 개경에서 이색ㆍ정몽주ㆍ... |
* 김가기 (金可紀) |
?~859, 신라의 학자, 도사(道士), 원성왕(元聖王)때 당에 가서 명 문장으로 이름을 드높였다. 도술(道術)에 전심하여 종남산 자오... |
* 김가기 (金可紀) |
?~859, 신라의 학자, 도사(道士), 원성왕(元聖王)때 당에 가 명 문장으로 이름을 드높였다. 도술(道術)에 전심하여 종남산 자오곡(... |
* 김대건 (金大建) |
1822~1866. 한국 최초의 신부. 세례명 앙드레. 헌종2년 프랑스 신부 모방(Maubant)에게 영세를 받았다. 마카오의 칼레리 신부에게 신학... |
* 김부식 ( 金富軾) |
1075~1151. 고려 인종 때의 학자ㆍ문신. 자는 입지(立之), 호는 뇌천(雷川), 인종 원년(1122) 보문각 대제(寶文閣待制)로 있으면서 이... |
* 김시습 (金時習) |
1435~1493. 조선 단종(端宗) 때의 생육신(生六臣) 가운데 한 사람.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ㆍ청한자(淸寒子)ㆍ취세옹(... |
* 김옥균 (金玉均) |
1851~1894. 조선 말기의 개화운동가. 자는 백온(伯溫). 호는 고균(古均)ㆍ고우(古愚). 개화승(開化僧) 이동인(李東仁)과 친교하여 일... |
* 김장생 (金長生) |
1548~1631. 조선 인조 때의 예학자(禮學者). 예학파의 대두.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송익필(宋翼弼)ㆍ이이(李珥)의 문인. ... |
* 김창협 (金昌協) |
1651~1708.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ㆍ삼주(三洲). 영남학파의 주리론(主理論)과 기호학파의 주기론... |
* 김첨 (金瞻) |
1354~1418.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자는 자구(子具), 호는 연계(蓮溪). 경사(經史)와 제자백가(諸子百家)ㆍ음률(音律)ㆍ의례(儀禮)... |
* 깊이 (Tiefe ) |
'깊이'는 '밤(Nacht)'과 '심연(Abgrund)'과 더불어 부정성과 관련된 근원성의 은유라고 말할 수 있다. 깊이는 현현에의 방향을 지... |
* 꾸미기 (Verstellung) |
『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이 '도덕적 세계관'의 자기모순을 비판할 때의 말. '도덕적 세계관'이란 인륜적인 세계의 실재성을 자... |
* 꿈 (Traum) |
『엔치클로페디(제3판) 정신철학』을 중심으로 깨어있음과 잠(또는 꿈)의 문제가 제기된다. "깨어있음(Wachen)에서 인간은 본질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