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이거 (Moritz Geiger) |
가이거(Moritz Geiger, 1880~1937)
그러나 현상학적 미학의 실질적인 성과로는 역시 첫 번째로 가이거의 노작,『미적 향수의 현상학... |
* 감정이입 ((獨 Einfuhlung 英 Empath, 佛 Empathie)) |
우리가 관조대상을 감각적 현상으로 표출된 내용을 직접적이고 감정적으로 파악할 때는, 실제적으로 그것과 비유적인 자기의 ... |
* 감정이입 미학   |
‘감정이입’사상은 맹아적 형태로 이미 헤르더나 낭만파에서 보여줬지만, 이 개념을 처음으로 명확하게 미학상의 용어로 ... |
* 개성 ((獨 Individualität, 英 Individuality, 佛, Individualité)) |
미는 의식(작용)면에서 보나 그 대상 면에서 보나 개성, 즉 개체의 특성을 떼어버리고는 존재할 수 없다. 중세 철학에 “개체는 ... |
* 게슈탈트 이론과 정신분석   |
현대 영ㆍ미의 심리학적 미학은 19세기의 실험심리학적 방법을 벗어나 우선 내성적 방법에 의거해 미적 향수나 미적 반응에... |
* 경험주의의 발전   |
주로 영국을 중심으로 전개된 이러한 생리학적ㆍ심리학적 미학의 전통은 그 후 미국에 계승되었고, 여기서 새롭게 철학적 해석... |
* 고전 ((獨 Klassik, 英 Classic, 佛 Classique)) |
'고전‘ 또는 ’Classic'의 어원인 라틴어 ‘classicus'는 ’classis'의 형용사이며, ‘classis'는 고대 로마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왕(servi... |
* 고전 후기의 예술론과 수사학   |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이 르네상스 시대의 개막과 더불어 비로소 평론가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던 데 비해,『수사... |
* 골계 ((獨 Das Komische, 英 the comic, 佛 La comique)) |
골계(희극미)는 통상 비장(비극미)의 대립개념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숭고의 대립개념이 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립스와 같이 ... |
* 구조주의와 미학   |
구조주의(structuralisme, structuralism, Strukturalismus)에 관한 논의에는 항상 두 개의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1960 년대 후반 ... |
* 근대 프랑스 미학   |
19 세기 프랑스 미학은 세 개의 시기로 나뉜다. (1) 미의 상대성 또는 실용성을 주장한 1818 년까지, (2) 독일 관념론의 영향 하... |
* 근세 초기의 미학   |
명실상부한 근세미학은 18세기에 이르러 성립하였다. 그러나 이에 앞서 17세기에는, 르네상스의 시학과 예술론으로부터 시... |
* 기교 ((獨 Technik, 英 Technic, 佛 Téchnique)) |
기교는 예술 창작에서 여러 가지 소재를 처리하는 데 적절한 수단을 골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표현목적... |
* 기분 (정취) ((獨 Stimmung, 英 Mood, 佛 État d'âme)) |
일반적으로 감각적 직관에 뒤따르거나 융합하는 막연한 약한 감정을 기분이라고 한다. 이것은 일시적인 것도 있고 지속적인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