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남아공의 변혁운동과 노동조합 |
|
김영수 편저 지음 |
출판사 - 현장에서 미래를 |
초판일 - 1999-03-15 |
ISBN - |
조회수 : 2203 |
|
|
|
● 책 소개
한국 노동운동이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노동자 계급운동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노사정위원회의 참여문제 및 민주노조운동의 혁신’과 관련한 실천적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많은 노동운동가와 연구자들은 그러한 논의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남아공의 노동자계급운동에서 찾고자 하였고, 한국노동운동의 지도자들도 남아공의 노동운동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남아공 노동자의 ‘계급투쟁의 현실과 미래를 바라보는 인식의 차별성’ 및 한국 노동자의 ‘계급투쟁의 현실과 미래를 바라보는 인식의 차별성’이 드러났고, 이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남아공은 1990년 인종차별정책의 폐지와 1994년 아프리카 민족회의(ANC) 정권의 수립으로 약 300여 년 동안 유지되었던 인종차별주의적인 정치권력구조와 ‘인종적 자본주의’ 축적체제의 구조가 변화되었다. 그러나 계급지배구조까지 변화하려면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이다.
이 책은 195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남아공의 상황과 노동운동의 현실을 논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남아공의 계급투쟁에 대한 보다 확대된 인식에, 나이가 그것을 통해 한국의 노동자계급운동에 기여하길 바란다.---본문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서문 남아공의 계급지배 구조와 계급투쟁 / 김영수 = 5
1장 흑인 노동조합운동과 민주화투쟁 / 데이비드 헨슨 = 30
2장 남아공의 노동조합과 국가 / 파인 ; 클러크 ; 인너 = 93
3장 "ANC의 투쟁"과 백인국가의 탄압 / 제프리 허브스트 = 145
4장 ANC의 혁명전략과 노동자 계급 / 존 사울 = 180
5장 "야만주의와 구조적 개혁"의 기로에서 선 남아공 / 존 사울 = 214
6장 ANC 정권의 국가재건과 노동조합운동 / 파인 ; 벤웍 = 279
7장 남아공의 "구조변혁적" 노동조합주의 / 김영수 = 299
대담 하나 사회주의자와 노동조합운동 / 모 제스 마예키스 = 326
대담 둘 인종해방투쟁과 사회주의 혁명운동 / 네빌 알렉산더 = 340
약어 소개 = 371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