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7개국 노동운동 |
|
질 마르티네 지음 , 편집부옮김 |
출판사 - 온누리 |
초판일 - 1983-09-25 |
ISBN - |
조회수 : 3249 |
|
|
|
● 책 소개
이제 역사적 전환점에 선 현대는 사회·경제적 체제의 변혁을 강요받기 시작했고 또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환기 속에서 노동자 계층은 새로운 역사적 세력의 하나의 주체로서 자기 역할을 해야 할 임무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국의 노동운동 현실을 볼 때 당위성과는 약간의 갭이 있다. 각국은 각기 고유한 문화적, 역사적 전통에 의해 운동의 성격에 차이가 나고 있으며, 또 한 나라 속에서나마도 분열과 대립이 발생하고 있다. 혁명적 이상을 내건 조합이 있는 반면 개량주의적인 조합도 있다.
저자는 본서에서 세계 자본주의의 골격을 이루고 가장 높은 노동자 비율을 갖고 있는 7개국 즉 영국, 독일, 스웨덴, 이태리, 프랑스, 미국, 일본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여기에서 노동자와 노동조합의 운동, 노동운동과 지식인, 노동운동과 정당(정치)과의 관계를 역사적,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게다가 각국의 현상들을 상호 대비시켜 그 차이점과 공통점 그리고 특성과 보편성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서술하고 있다. 게다가 위와 같은 사실들을 현재라는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실천적이고 생동감 있게 느껴지고 있다. 저자는 본서의 마지막 장에 “노동운동의 미래”를 설정하여 앞으로의 노동운동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그는 관념적이며 이데올로기 중심적인 경향에 비판을 가하면서 현실적 감각으로서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의 현실을 볼 때 그 역사적 과정이나 발전의 정도에 있어서 본서의 분석 대상인 7개국과는 상당한 거리감이 없지 않다. 그러나 노동운동의 역사가 깊고 운동의 다양성을 보여준 이들 나라에 대한 입체적 연구(노동운동과 지식인 그리고 정당과의 관계)는, 아직 현실적 상황 조건으로 인해 노동의 자기운동 논리가 확립되지 못한 우리에게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를 암시해 주고 운동의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비전을 제시해 주는 면도 있다 하겠다.--본문중에서
질 마르티네: 인민전선 당시 파리 학생공산주의 그룹을 지도하였으나 1938년 모스크바에서의 스탈린의 숙청재판에 반대하여 공산당을 떠났다. 1960년부터 67년까지는 기·모레가 대표하는 프랑스 구(旧) 사회당에 대항하여 통일사회당(PSU)을 조직하고 그 추진자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72년 미테랑의 신생 프랑스 사회당이 결성된 후 동(同) 당에 참가하여 집행위원이 되었으며 1975년부터 78년까지는 이론 담당 전국비서를 역임했다. 1979년 최초의 유럽의회 직접선거에 사회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저서로는 『현대의 마르크스주의』(1962)를 비롯하여 1968년의 〈5월혁명〉을 다룬 『권력의 획득』(1968), 『다섯 개의 공산주의』(1971), 『퐁피두 체제』(1973), 『20년 후의 미래』(1974)와 공저로서 『스탈린주의를 얘기한다』가 있다. ⓕ
맨위로
|
● 목 차
서론 노동조합주의 지평(地平) = 9
1. 피지배계층으로서의 노동자 = 9
2. 7 개국에 대한 비교 = 10
3. 세계경제의 위기에 즈음하여 = 12
4. 노동운동의 역사에서 방향을 모색 = 13
제1장 영국 노동운동 = 15
1. 산업혁명 후의 노동조합 탄생 = 15
2. 노동조합회의(TUC) 창설 = 19
3. 1921 년의 어두운 금요일 = 21
4. 1926 년의 총파업 = 22
5. 노동당의 결성 = 25
6. 정권을 장악한 노동당 = 30
7. 보수당 정권하의 노동조합 = 32
8. 윌슨내각의 노동정책 = 34
9. 케슬 고용상(雇傭相)과 노도반 보고서 = 36
10. 1974년의〈사회계약〉 = 39
11. 노동당과 노동운동이 당면한 어려움 = 42
제2장 독일 노동운동 = 45
1. 노동운동의 출발 = 45
2. 사회민주당의 마르크스주의와 수정주의 = 46
3.〈노동협동체〉의 역할 = 48
4. 투쟁은 조직의 산물이다 = 50
5. 법제화된〈평의회〉 = 53
6. 노사대동맹(勞使大同盟)의 붕괴 = 55
7. 나프탈리의 경제민주주의 = 56
8. 경제위기와 나치즘의 제패(制覇) = 58
9. 대전 후의 노동조합 재건 = 61
10. 독일 노동총동맹(DGB) = 63
11. 사회화, 계획화 그리고 공동관리 = 64
12. 경영자 진영의 부활 = 68
13. 노사공동결정 시스템 = 69
14. 노동운동의 안정된 기반 = 71
15. 점진적인 변동의 발걸음 = 74
제3장 스웨덴 노동운동 = 77
1. 사회민주당과 노동조합총연합(LO) = 77
2. 살치에파덴 협정 = 79
3. 생활조건의 개선과 사회개혁 = 81
4. 평등화에 대한 불만 = 82
5. 노동환경의 개선 = 84
6. 산업민주주의 = 88
7. 사회민주당 정권의 퇴진 = 92
8. 경제세력으로서의 노동조합 = 94
제4장 이태리 노동운동 = 97
1. 1920 년대의 신화 = 97
2. 억압과 분열 = 98
3. 이태리 노동운동의 3가지 조류 = 99
4. 공장점거운동과 공장평의회 = 102
5. 이태리 노동총동맹(CGIL) = 108
6. 노동운동의 분열과 혼미 = 111
7. 중도좌파 정권의 발족 = 118
8. 1969년의〈무더운 가을〉 = 121
9. 노동조합이 갖는 커다란 힘 = 126
10. 노동운동의 새로운 조류(潮流) = 127
11. 이태리가 개척한 지평 = 131
제5장 프랑스 노동운동 = 133
1. 개량주의와 혁명파의 분열 = 138
2. 1936년과 1968년 = 143
3. 개량주의의 조류 = 150
4. CFTC에서 CFDT 로의 변화 = 155
5. 교직원조합(FEN) = 165
6. 노동총동맹(CGT) = 167
제6장 미국 노동운동 = 177
1. 노동조합과 민주당 = 181
2. AFL-CIO의 국내정책 = 185
3. 노동조합의 구조 = 189
4.〈소수민족〉의 문제 = 196
5. 화이트칼라 계층의 사람들 = 198
6. 위기가 제기한 것 = 202
제7장 일본 노동운동 = 205
제8장 노동운동의 미래 = 223
1. 정당과 노동조합의 관계 = 233
2. 조합운동가의 세계 = 236
3. 제기된 문제 = 238
4. 노동력 인구의 변화 = 239
5.〈산업민주주의〉및 자주관리 = 246
6. 국제주의와 민족주의 = 251
7. 다국적기업에 대하여 = 254
8. 노동운동의 미래 = 260
저자 소개 = 263
역자 후기 = 264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