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문학 > 문학비평 ( 51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러시아 소비에트 문학 제3집 (6 MB)
러시아 소비에트 문학 제3집
한국러시아문학회 지음
출판사 - 제3문학사
초판일 - 1992-04-18
ISBN -
조회수 : 1927

책 소개

소련 과학아카데미 산하 고리끼 세계문학연구소 소장 꾸즈네쪼프 박사의 ‘러시아 문학연구와 도스또예프스끼’는 소련(이제는 독립국연합)에서의 문학연구 전반의 자기 고민을 반영하는 글로서, 기존의 도식화된 교조로서의 ‘레닌주의적’ 연구방법을 다양하고 가능한 연구방법의 하나로 설정하면서 과거에 쉽게 폐기되었던 논자들의 입론을 빌려 도스또예프스끼에 대하여 평가를 내리고 있다. 비록 한국에서의 도스또예프스끼의 수용과정과 현실적 이해수준에 대한 고려 속에서 우리 나름의 문제의식을 전개해 나가는 이 땅의 당위적 요청과는 어느 정도 거리를 가지고 있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소련에서의 전반적인 연구현황을 가늠해볼 수 있는 논문이라고 평가된다. 문석우 교수의 논문 ‘도스또예프스끼의 소설 연구’는 이 작가의 대표적인 작품들에 대한 꼼꼼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자기내용을 갖는 여주인공들의 형상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부지런한 연구자의 한 모범을 보여주는 글이라고 생각되며 우리 연구자들에게 또 하나의 촉발제가 되는 귀중한 논문이다. 김규진 교수의 논문 ‘도스또예프스끼의 「죄와벌」의 배경(무대) 연구’는 필자의 소련방문기를 기초로 한 글로서,도스또예프스끼 작품의 디테일의 진실성을 담보해준 당대 대도시에서의 구체적인 삶의 면모를 상세하게 제시해주고 있으며 그의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글이다. 이준형 교수의 ‘도스또예프스끼와 똘스또이의 비교 연구’는 그동안 여러 차원에서 연구되어온 기존 비교연구의 성과를 발전시키면서 여러가지 점에서 새로운 측면을 제시해주고 있는 글로서 읽는 이에게 읽는 기쁨을 주는 글이다. 이득재 씨의 논문 ‘도스또예프스끼와 주체의 철학’은 「지하생활자의 수기」를 중심으로 도스또예프스끼의 철학적 측면을 꼼꼼히 다룬 글이다. 이상 5편의 논문 중에서 꾸즈네쪼프 박사와 김규진 교수,문석우 교수의 글은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글이며,나머지 두 편은 이 특집을 위해서 새롭게 쓴 글이다.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김레호 교수와 박형규 교수,전명선 교수의 논문은 필자의 사정으로 부득이 싣지 못했는데 완고되는 대로 다음호에 실을 예정이다.
이강은 교수의 논문 ‘막심 고리끼 문학의 수용양상 연구’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프롤레타리아 작가이면서도 해방 후 한국에서는 최근에야 소개되기 시작한 고리끼가 식민지 조선에 어떤 경로로 수용되었으며 또 당대 진보적인 문학가들에게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구체적인 자료를 통하여 보여주면서 고리끼 문학이 현단계 남한에서 어떻게 연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허승철 씨의 논문 ‘소련의 언어정책과 언어민족주의’는 다민족국가인 소련의 사회발전 속에서 언어가 담당한 지대한 영향력과 사회변동에 따른 언어정책의 제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언어학에서는 황무지이다시피 한 사회언어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기초로 한 연구수준을 보여주는 논문으로서 반드시 일독할 것을 권한다.
기획번역으로 내놓은 ‘당파성의 문제’는 미학적 범주로서의 당파성 개념에 대한 비교적 최근의 소련 문학학의 이해수준을 명확히 보여주는 글이며,‘새로운 견해:문제점과 모색’과 ‘현대 소비에트 문학연구의 원칙’은 지금 현재 소련에서 과거에 망각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연구 필요성의 제기와 아울러 새로운 문학연구방법을 모색하는 노력의 일단을 엿보게 하는 글이다. 오늘의 소련문학으로 마련된 소련의 대표적인 소설가인 아스따피예프의 단편소설 ‘곰의 피’는 최근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소련 현대문학에 대한 관심과 요구에 부응할 것이다.-----본문중에서

맨위로맨위로


● 목 차

러시아 · 소비에트 문학 제3집을 내며 = 5

특집: 도스또예프스끼

러시아 문학 연구와 도스또예프스끼/꾸즈네쪼프 = 13
도스또예프스끼의 소설 연구/문석우 = 25
도스또예프스끼의「죄와 벌」의 배경(무대) 연구/김규진 = 51
똘스또이와 도스또예프스끼의 비교 연구/이준형 = 67
도스또예프스끼와 주체의 철학/이득재 = 88

논문

막심 고리끼 문학의 수용 양상 연구/이강은 = 115
소련의 언어정책과 언어민족주의/허승철 = 142

기획번역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3)-당파성의 문제/P.S. 브이호드쩨프 지음 · 김혜란 옮김 = 159
새로운 견해 : 문제점 모색,논쟁/첼르이셰프 지음 · 서상범 옮김 = 175
현대 소비에트 문학 연구의 여러 원칙들에 대하여/L.이바노바 지음; 심성보 옮김 = 183

오늘의 소련문학

곰의 피/아스따피예프 지음 · 이형숙 옮김 = 191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러시아 소비에트 문학 제3집 (6 M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