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과 인간론 |
|
김창호 지음 |
출판사 - 죽산 |
초판일 - 1991-09-20 |
ISBN - |
조회수 : 3257 |
|
|
|
● 책 소개
최근의 사회주의 개혁으로 말미암아 마르크스주의의 정당성 여부가 새롭게 논의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역사적 유물론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부각된 철학적 주제가 ‘사회주의의 모순론’과 함께 ‘인간론’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도 사회주의 개혁과 함께 전개된 ‘인간론’을 논의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변화가 과연 마르크스주의 인간관에 합당한 것인가 아니면 어긋나는 것인가 하는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마르크스의 ‘인간론’에 대한 해명을 요구한다. 특히 주체사상과 관련하여 ‘인간론’은 많은 철학적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그때마다 마르크스의 ‘인간론’은 항상 해명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어왔다. 이와 같은 요구가 필자로 하여금 마르크스의 ‘인간론’을 주제로 이 책을 쓰게 한 원인이 되었다.---본문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이책을 내면서 = 3
머리말 = 11
제1장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과 '인간론' = 21
1. 초기 저작과 후기 저작의 구별에 관한 문제 = 21
2. '소외' : 인간학적 규정인가 아니면 역사적 규정인가? = 34
3. 역사적 유물론과 초기 저작의 '인간'문제 = 50
제2장 인간에 대한 유물론적 파악과 철학의 근본물음 = 57
1. 근대 자연과학과 근대 유물론의 성격 = 57
2. 유물론의 사회 및 역사에의 적용 = 68
3. 철학의 근본물음 = 81
제3장 자연 속에서의 인간의 지위 = 99
1. 마르크스의 자연관 = 99
2. 인간의 자연적 본성과 사회적 본성 = 111
제4장 사회의 전제로서의 '노동' = 125
1. 인간 활동의 유물론적 해명과 '노동' = 125
2. 사회발생과 노동 = 135
1) 욕망 충족과정으로서의 노동 = 135
2) 노동과 사회관계 = 143
3. 사회적 의식의 발생과 노동 = 152
1) 사회적 의식의 근원으로서의 노동 = 152
2) 의식발생에 대한 유물론적 해석 = 172
제5장 개인과 사회 및 역사 = 189
1. 근대 시민사회 이론에서의 개인과 사회 = 189
1) 개인주의 인간관의 '추상성' = 189
2) 개인과 전체의 모순 = 200
2. 인간 활동과 역사 = 217
3. 역사법칙과 인간 = 230
1) 역사적 유물론에서의 법칙 = 231
2) 역사법칙의 성격 = 251
맺음말 = 269
도서목록 = 275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