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철학 > 동양철학 ( 3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중국유물사상사 (527 KB)
중국유물사상사
장대년 지음 , 최형식옮김
출판사 - 이론과실천
초판일 - 1956-10-04
ISBN -
조회수 : 4750

책 소개

중국의 과거 속에는 하나의 유물주의 전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지 않은가 하고 요근래 의문을제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역사상 매시대마다 한두 명 정도의 유물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 있어 왔으며, 그런 까닭에 확실히 하나의 유물주의 전통이 있었음을 긍정할 수 있으리라 본다. 과거에 유물주의라는 명칭이 없었다고 하여, 이것이 곧 중국에 유물주의의 젙옹이 없었음을 단정할 수 있는 이유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왕수인(王守仁)은 심학(心學)을 널리 주장하였는데, 주지하다시피 심학은 주관 유심주의이다. 이를 가리켜 '물학(物學)' 또는 기학(氣學)이라고 부른 사람은 없다. 왕정상은 일찌기 실학(實學)이라는 두 글자를 거론하였는데, 예를 들자면, "[정몽(正夢)은 장횡거(張橫渠)의 실학이다"([愼言]라고 말한 것과 같은 따위이다. 우리들은 실학이라는 명칭을 유물주의적 명칭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과거의 유물주의 학설은 빈약함을 면치 못하는 것이라 하겠으나, 유물주의가 철학적 사유에 있어 정확한 방향이라고 하는 것은 의심할 나위없이 확정적인 것이다.
19세기 이래, 다수의 자산계급 철학사가들이 모두 유물주의의 가치를 깍아 내리고 억눌렀으나, 이는 유심주의자들의 편견에 불과할 따름이다. 우리들은 마땅히 역사상에 있어서 유물주의읭 중요한 위치를 명확히 긍정해야 할 것이다. - 수정본 서언에서

맨위로맨위로


● 목 차

수정본 서언/3
머리말/7

중국유물사상사

제1장 중국 철학 발전에 있어 유물주의의 주도적 역할/11

1. 유물주의의 의의/11
2. 유물조의가 철학 발전사에서 차지하는 위치/16

제2장 선진(先秦)시대의 유물주의(상)/19

1. 중국 유물주의의 사상적 기원/19
2. 초기 유가(儒家)의 무신론적 관점/22
3. 도가(道家)의 '자연(自然)'과 '막위(莫爲)' 개념/27
4. [易大傳(역대전)]의 유물주의적 우주관/32

제3장 선진(先秦)시대의 유물주의(하)/41

1. [관자(管子)]속의 유물주의 사상/41
2. 혜시(惠施)의 '소일(小一)' 학설/49
3.[장자][외편(外篇)]속의 기(氣)에 관한 학설/51
4. 묵가(墨家)의 유물주의적 인식론/54
5. 순자와 한비의 유물주의 학설/57

제4장 한대(漢代) 유물주의의 반종교 유심주의적 투쟁/67

1. 양웅(揚雄)의' 자연' 개념과 환담(桓譚)의 무신론 사상/67
2. 후한(後漢)의 유물주의자 왕충(王充)의 학설/70

제5장 위(魏), 진(晉) 시대의 유물주의/83

제6장 남북조, 수, 당 시대 유물주의의 반불교 유심주의 투쟁/93

1. 범진의신멸론(神滅論)/93
2. 유종원, 유우석의 유물주의 사상/99

제7장 송, 명 시대의 유물주의/105

1. 장재의 유물주의적 우주관/105
2. 왕안석의 유물주의적 관점/116
2. 진량(陣亮), 섭적(葉適)의 반유심주의 투쟁/119
4. 명대 유물주의자 남흔순과 왕정상의 사상/123

제8장 명, 청 교체기로부터 청대 중엽까지의 유물주의의 고양/129

1. 방이지(方以智)의 유물주의 사상/129
2. 왕부지(王夫之)의 유물주의 학설/136
3. 고염무, 안원, 이공의 유물주의적 관점/145
4. 대진(戴震)의 유물주의 학설/148

맺음말/155

■ 보론 - 왕선산 사상의 역사적 지위/161
■ 부록 - 중국 주요 철학자의 생존년표/173
역자후기/175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중국유물사상사 (527 K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