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철학산책 |
|
유지혁 지음 |
출판사 - 대동 |
초판일 - 1990-07-30 |
ISBN - |
조회수 : 2751 |
|
|
|
● 책 소개
주체적 관점, 풀어말한다면 주체사상적 입장에서 철학에 대한 접근방식을 취한 책이다. 또다른 표현으로는 '사람중심의 철학'--이것의 핵심을 저자는 자주성,창조성,의식성이라고 정리한다--적 접근태도로 일관하여,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관한 관점을 지닌 책으로서, 여러분야에 관해서 주체사상의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어떻게 되는가라는 안내서이기도 하다. ⓕ
맨위로
|
● 목 차
제1부 사람, 자기 운명의 주인
머리말 = 9
제1장 사람의 운명문제에 해답을 주는 참다운 철학
1. 철학의 사명 = 13
1) 운명에 대한 이야기 = 14
2) 철학과 사람의 운명 문제 = 19
2. 운명문제에 대한 올바른 해답 = 27
1) 운명문제에 대한 그릇된 견해 = 28
2) 숙명론을 넘어 = 33
제2장 사람은 만물의 영장
1. 세계의 지배자이자 개조자로서의 사람 = 37
1) 세계의 지배자 = 37
2) 세계의 개조자 = 44
2. 자기 운명을 개척해 나가는 힘있는 존재로서의 사람 = 54
1) 세계의 정복자 = 54
2) 자기 운명의 주인 = 61
제3장 사람은 세계의 주인
1. 자기 자신을 모르고 살아온 역사 = 70
1) 사람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 = 71
2) 사람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는가 = 76
2. 사람은 자주성과 창조성,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 = 80
1) 사람은 자주성을 가진 존재, 자주적인 사회적 존재 = 83
2) 사람은 창조성을 가진 존재, 창조적인 사회적 존재 = 92
3) 사람은 의식성을 가진 존재, 의식적인 사회적 존재 = 105
4) 사람의 본질적 특성은 타고난 것이 아니다 = 114
제4장 사람중심의 세계
1. 세계에 대한 새로운 견해 - 사람을 중심으로 세계를 보는 것 = 125
1) 사람은 세계를 어떻게 보아 왔는가 = 125
2) 세계에 대한 새로운 견해 = 132
2. 세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입장 - 사람을 중심으로 세계를 대하는 것 = 139
1) 사람의 이익을 첫자리에 = 140
2) 사람의 활동을 기본으로 = 144
제2부 민중, 사회역사의 주체
제1장 새로운 사회역사관
1. 사회역사의 발전궤도 = 149
사람과 사회/역사의 궤도
2.사회역사관의 발전노정 = 155
거꾸로 세운 건물 / 기초 위에 선 건물 / 운명의 노에서 일어난 위대한 전환
제2장 사회역사의 발전과 민중
1. 역사의 주체에 관한 문제 = 165
사회역사관에서 기초적인 문제 / 창조설의 파산 / 높은 차원
2. 사회역사의 주체는 민중 = 171
새로운 발견 / 사회적 운동은 인간의 운동 / 주체는 민중 / 인간불량품, 역사의 오물, 혁명의 과녁
3. 민중의 지위와 역할이 높아지는 과정으로서의 사회역사의 발전과정 188
말하는 도구 / 고골리의 소설 <죽은 넋> / 개와의 '기자외견' / 남이 사는 내 나라 10대조심 / 민중, 나라의 주인 / 파리코뮌의 교훈
제3장 인류역사는 민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의 역사
1. 자주는 인류역사의 도도한 흐름 = 207
자주의 분출 / 역사의 곧은 흐름 / 막을 수 없는 역사의 흐름
2. 자주의 길은 자기의 법칙에 따라 = 217
자주의 길 / 인류공동의 지향 / 자주의 종착점
제4장 사회역사적 운동은 민중의 창조적 운동
1. 민중활동의 창조적 성격 = 241
창조의 본성 / 민중이 걸어온 길
2. 민중의 창조적 운동은 자기의 고유한 법칙에 따라 = 253
만물의 아버지 / 성장의 대장간
제5장 민중의 자주적인 사상의식이 갖는 결정적 역할
1. 혁명승리의 열쇠, 자주적인 사상의식 = 267
배와 키와 말의 기수 / 민중의 사상정신적 우월성
2. 끊임없이 높아지는 사상의식의 역할 = 282
제2부 민중, 사회역사의 주체
제1장 새로운 사회역사관
1. 사회역사의 발전궤도 = 149
사람과 사회/역사의 궤도
2.사회역사관의 발전노정 = 155
거꾸로 세운 건물 / 기초 위에 선 걸물 / 운명의 노에서 일어난 위대한 전환
제2장 사회역사의 발전과 민중
1. 역사의 주체에 관한 문제 = 165
사회역사관에서 기초적인 문제 / 창조설의 파산 / 높은 차원
2. 사회역사의 주체는 민중 = 171
새로운 발견 / 사회적 운동은 인간의 운동 / 주체는 민중 / 인간불량품, 역사의 오물, 혁명의 과녁
3. 민중의 지위와 역할이 높아지는 과정으로서의 사회역사의 발전과정 = 188
말하는 도구 / 고골리의 소설 <죽은 넋> / 개와의 '기자외견' / 남이 사는 내 나라 10대조심 / 민중, 나라의 주인 / 파리코뮌의 교훈
제3장 인류역사는 민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의 역사
1. 자주는 인류역사의 도도한 흐름 = 207
자주의 분출 / 역사의 곧은 흐름 / 막을 수 없는 역사의 흐름
2. 자주의 길은 자기의 법칙에 따라 = 217
자주의 길 / 인류공동의 지향 / 자주의 종착점
제4장 사회역사적 운동은 민중의 창조적 운동
1. 민중활동의 창조적 성격 = 241
창조의 본성 / 민중이 걸어온 길
2. 민중의 창조적 운동은 자기의 고유한 법칙에 따라 = 253
만물의 아버지 / 성장의 대장간
제5장 민중의 자주적인 사상의식이 갖는 결정적 역할
1. 혁명승리의 열쇠, 자주적인 사상의식 = 267
배와 키와 말의 기수 / 민중의 사상정신적 우월성
2. 끊임없이 높아지는 사상의식의 역할 = 282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