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마르크스주의 미학과 정치학 |
|
플로리언,파센 편저 지음 , 김성기옮김 |
출판사 - 온누리 |
초판일 - 1985-07-08 |
ISBN - |
조회수 : 2331 |
|
|
|
● 책 소개
이 책의 저자는 마르크스주의 미학의 주요흐름이나 논쟁을 일별하면서 진정으로 건전한 사회에서 예술이 담당해야만 하는 역할에 관해 몇가지 전망을 투시해주고 있다. 브레히트와 루카치 사이의 논쟁이라던지, 노동과 예술의 문제, 토대와 상부구조의 문제, 반영 및 예술적 선취의 문제 등이 정리되고 있다.--본문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序詩 = 7
序言 = 9
Ⅰ.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문학론 = 16
Ⅱ. 마르크스주의 미학과 문예학의 기초 = 18
1. 노동의 개념 : 현실의 실천적·정신적 획득으로서의 문학 = 18
2. 토대와 상부구조 : 인식론적 기초로서의 反映 = 21
3. 先取와 문학의 실천적·비판적 행위 = 24
4. 가치판단 논쟁과 당파성 = 26
Ⅲ. 프란츠 메링-칸트 미학과 유물론적 문예학 = 29
1. 메링과 트로츠키에 있어서 프롤레타리아예술의 문제 = 31
2. 메링과 레닌에 있어서의 당파성 = 32
Ⅳ. 표현주의·리얼리즘 논쟁 : 게오르크 루카치와 베르톨트 브레히트 = 34
Ⅴ. 발터 벤야민-형이상학적 마르크스주의자인가? = 41
Ⅵ. 생산자로서의 작가-문화산업과 상품미학 = 46
Ⅶ. 테오도르 w. 아도르노-문화비관주의와 부정미학 = 52
Ⅷ. 실증주의적 문학사회학 = 56
結言 = 62
부록
Ⅰ. 문학사회학과 정치경제학에 대한 텍스트
1. K. 마르크스 : 정치경제학 비판서문(1859) = 67
2. W. 기르누수 : 미학(1970) = 70
3. K. A. 비트포겔 : 마르크스주의 미학의 재론(1930) = 75
4. F. 메링 : 예술과 프롤레타리아트 = 82
5. W. I. 레닌 : 당조직과 당문학(1905) = 87
6. L. 트로츠키 : 프롤레타리아 문화와 예술(1924) = 94
7. G. 루카치 : 중요한 것은 리얼리즘이다(1938) = 97
8. G. 루카치 : 발자크와 프랑스 리얼리즘에 대한 서언(1951) = 108
9. B. 브레히트 : 민중성과 리얼리즘(1938) = 110
10. B. 브레히트 :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1954년경) = 115
11. W. 벤야민 : 문학사와 문예학(1931) = 117
12. R. 봐이만 : 문학사의 현재와 과거(1971) = 123
13. W. 벤야민 : 생산자로서의 작가(1934) = 129
14. C. 도이취만 : 권력없는 지배-후기 자본주의 체제에서 대중문화와 매스컴의 의미와 기능(1970) = 137
15. K. 크라이마이어 : 대중매체의 유물론적 이론에 대한 원칙적인 숙고(1971) = 143
16. Th. W. 아도르노: 시와 사회에 대한 강연(1965) = 147
17. Th. W. 아도르노: 예술사회학에 대한 명제(1965) = 152
18. H. N. 퓌겐 : 문학사회학의 대상과 방법(1964) = 161
19. R. 에스카르피 : 독자의 사회학(1961) = 163
Ⅱ. 연구과제 = 167
Ⅲ. 참고문헌 = 173
역자후기 = 184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