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계급과 혁명 |
|
드레이퍼 지음 , 정근식옮김 |
출판사 - 사계절 |
초판일 - 1986-12-10 |
ISBN - |
조회수 : 7059 |
|
|
|
● 책 소개
이 책은 드레이퍼의『칼 마르크스의 혁명이론 : 사회 계급의 정치학(1978)』을 번역한 것이다. 원래의 책은 760페이지에 이르고 있으나, 이 책에서는 역자가 특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만을 발췌하여 번역하였다. 그러나 원작의 중요부분은 거의 망라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지나치게 훈고학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마르크스 저작에 대한 꼼꼼한 분석이 들어 있다. 그러나 '마르크스·계급·혁명'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제공해줄 만한 책이다.
ⓕ
맨위로
|
● 목 차
책을 옮기면서 ------ 3
서문 : 마르크스를 올바르게 인용하는 방법 ------ 9
제1장 혁명의 유형 ------ 25
1. 사회혁명과 정치혁명 / 25
2. 계급적 정치권력 / 30
3. 혁명의 지도목표 / 32
4. 프롤레타리아혁명과 부르조아혁명 / 37
제2장 특별한 계급 : 프롤레타리아트 ------ 45
1. 경제적 정의 / 46
2. 노동자계급내의 여러 집단 / 48
3. 전위와 동맹자들 / 51
4.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적 위치 / 52
제3장 프롤레타리아트의 분석 ------ 63
1. 환상의 거부 / 63
2. 프롤레타리아트의 성숙과정 / 67
3. 부르조아지화의 근대화적 측면 / 71
4. 부르조아지화 : "잔치에 한몫 끼기" / 75
5. 내적 분열 / 82
6. 모든 계급을 위한 계급 / 88
7. 혁명적 계급의 혁명화 / 90
8. 지배를 위한 조건 / 95
제4장 부르조아지와 부르조아혁명 ------ 101
1. 1843년 마르크스의 출발점 / 102
2.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 107
3. 혁명의 단계 / 110
4. '봉건적 사회주의'에 대한 투쟁 / 113
5. 딜레마의 제기 / 118
6. 민주주의적 계급블록 / 120
7. 혁명적 민주주의와 프롤레타리아트 / 124
8. 2차 혁명으로의 이행 / 128
9.「공산당선언」/ 130
제5장 부르조아혁명과 프롤레타리아혁명 ------ 137
1. 영구혁명의 선언 / 139
2. '다수자 혁명'을 향하여 / 143
3. 독일의 교훈 / 145
4. 1850년 3월 연설 / 147
5. 전투계획 / 152
6. 부르조아지의 무능성에 대한 테제 / 154
7. 난관에 대한 고려 / 159
8. 혁명이 극단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 / 163
9. 부르조아지에 대한 한정된 기대 / 165
10. '비교적 진보적인' 계급 / 168
11. 진보성의 기준 / 174
제6장 쁘띠부르조아지와 혁명 ------ 181
1. 쁘띠부르조아지에 관한 여러 가지 정의 / 181
2. 쁘띠부르조아지의 이중성 / 184
3. 쁘띠부르조아지의 모순성 / 187
4. 관례화된 불안정성 / 190
5. 엥겔스의 쁘띠부르조아관 / 192
6. 쁘띠부르조아지의 반유대적 경향 / 195
7. 쁘띠부르조아지의 속물근성 / 197
8. 긍정적인 측면 / 200
9. 하나의 반동적 집단 / 204
10. '하나의 반동적 집단'이론에 대한 엥겔스의 비판 / 208
제7장 농민의 사회적 성격 ------ 215
1. 악의 두 형태 / 216
2. 역사적 전망 / 220
3. 농민의 몰락 : 명목적 소유 / 223
4. 몰락 : 상대적 제형태 / 228
5. 소농과 대농 / 233
6. 적대감과 관심 / 236
7. 엥겔스의 견해 / 240
8. 농민의 의식 / 244
9. 원자화와 주도성 / 249
10. 전제주의를 위한 토대 / 253
11. 농민의 이용 / 256
제8장 혁명적 노동동맹의 문제 ------ 261
1. 우선사항의 문제 / 261
2. 정식의 기계적인 적용을 금함 / 266
3. 혁명의 서곡 / 268
4.「신라인신문」의 농민정책 / 272
5.「신라인신문」이 농민에게로 / 275
6. 농민운동의 조직화 / 278
7.「신라인신문」노선의 영원함 / 282
8. 독일 : 1850년까지 / 286
9. 독일 : 농민전쟁 이후 / 290
10. 독일 : 농민동맹을 향하여 / 292
11. 프랑스 : 동맹을 향하여 / 296
12. 프랑스 : 파리콤뮨과 그 이후 / 301
13. 이탈리아, 덴마아크, 스페인 / 306
14. 아일랜드 : 민족문제와의 결부 / 309
15. 러시아 : 농민에 대한 기대 / 312
제9장 룸펜계급과 프롤레타리아트 ------ 317
1. 룸펜프롤레타리아트의 기원 / 317
2. 1847년으로부터 혁명을 경과하면서 / 322
3. 모든 계급의 폐물 / 327
4. 반혁명의 앞잡이 / 331
5. 룸펜프롤레타리아트의 경제적 의미 -『자본론』에서의 분석 / 336
6. 상층 룸펜프롤레타리아트 / 340
7. 계급의 총배설구 / 346
제10장 지식인과 프롤레타리아트운동 ------ 351
1. 긍정적 역할 / 352
2. 반지성주의와 지식인 배제 / 358
3. 빌리히 - 샤퍼 그룹의 경우 / 364
4. 제1인터내셔날의 지식인 배척 / 370
5. 계급구성의 문제 / 377
6. 바쿠닌의 사례 / 381
7. 가장 위험한 인간들 / 388
<보론> 최근 한국사회의 계급연구에 대한 검토 / 조 숙 ------ 393
1. 80년대 이후 계급연구의 쟁점 / 393
2. 계급변동에 대한 이론적 인식 / 396
3. 80년대 이후 한국사회 계급연구의 현황과 그 평가 / 402
4. 맺음말 / 418
참고문헌 목록 ------ 419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