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가치와 공황 |
|
伊藤誠 지음 , 김수행옮김 |
출판사 - 비봉출판사 |
초판일 - 1988-03-05 |
ISBN - |
조회수 : 5875 |
|
|
|
● 책 소개
"제1차세계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일본에 있어서의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의 발전은 기본사상과 기본이론들의 위와 같은 화석화로부터 상대적으로 벗어날 수 있었다. 소련의 교조주의가 강한 영향을 미쳤지만, 양차대전 사이에 상이한 학파들이 생겨『자본론』의 기초이론과 1868년의 명치유신 이후에 발전한 일본자본주의의 특질에 대해서 흥미로운 논쟁을 전개하였다. 제2차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일본의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은 허용되어 대학에서 부활할 수 있었고, 외국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주요저작들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국내에서의 논의를 심화함으로써 성장하였다. 특히 宇野弘藏(우노 코조)의 저작에 기초한 宇野학파의 성장은 논쟁과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있어 두드러졌다. 宇野는 사회과학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 연구들의 상대적 자율성이 사회주의적 주장의 기반을 공고히 하는 데 중요하며, 그러한 연구들은 정치적 통제나 어떠한 개인숭배로부터도 자유로와야 한다고 믿었다. 우리가 그의『경제원론』에서 읽을 수 있듯이, 宇野는『자본론』의 모든 이론적 내용들을 더욱 일관되고 명료한 이론체계로 고쳐씀으로써 가치와 공황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이론을 순수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저자서문 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제1장 일본에 있어서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발전
1.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시기 ------ 4
2. 양차대전 사이의 열렬한 논쟁들 ------ 8
A. 배경 ------ 8
B. 가치론에 관한 이론적 논쟁 ------ 9
C. 일본자본주의 논쟁 ------ 15
3. 전후시기 ------ 19
A. 신고전파 경제학과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 21
B. 정통 강좌파 ------ 23
C. 노농파 ------ 28
D. 宇野학파 ------ 30
4. 결론 ------ 38
제2장 마르크스의 가치론
1. 가치의 이중적 개념 ------ 41
2. 가치형태 ------ 47
3. 가치의 실체 ------ 53
4. 생산가격 ------ 60
제3장 마르크스의 시장가치론
1. 마르크스의 시장가치론에 있어서의 문제점 ------ 75
2. 기술적 평균 시장가치론 ------ 79
3. 宇野의 시장가치론 ------ 81
4. 생산가격과 시장가치 ------ 85
제4장 마르크스의 공황이론의 형성
1. 공황이론의 두 유형 ------ 90
2.『요강』에서의 공황이론 ------ 92
3.『잉여가치학설사』의 공황이론 ------ 97
4.『자본론』에서의 공황이론의 완성 ------ 102
제5장 마르크스주의 공황이론들
1. 공황이론의 다양성 ------ 118
A. 상품과잉론 ------ 118
B. 자본과잉론 ------ 122
2. 공황의 기초이론의 완성 ------ 128
A. 추상의 실증적 기초 ------ 128
B. 공황의 기초이론의 필요조건 ------ 130
C. 자본주의의 기본모순과 사회주의의 목표 ------ 132
D.『자본론』의 해당부분 ------ 134
3. 공황의 형태변화 ------ 136
A. 다원인적 접근방법의 정합성 ------ 136
B. 전형적인 주기적 공황 ------ 138
C. 대불황 ------ 139
D. 대공황 ------ 142
제6장 세계자본주의의 인플레적 공황
1. 1970년대의 인플레적 공황 ------ 147
2. 어떻게 마르크스의 공황이론을 적용할 것인가? ------ 149
3. 세계자본주의의 과잉축적 ------ 152
4. 전후 세계자본주의의 상대적 안정성의 붕괴 ------ 158
제7장 세계경제위기중의 일본자본주의
1. '안정'과 '성공'이라는 사회의식 ------ 163
2. 세계경제위기중의 일본의 경제변동 ------ 166
A. 경제위기의 발단 : 1973∼75년 ------ 167
B. 수출과 재정적자에 의한 회복 : 1976∼79년 ------ 170
C. 경기의 재하강 : 1980∼83년 ------ 172
D. 두 번째의 경기회복 : 1983년 이후 ------ 174
3. 일본의 국제적 불균형 ------ 176
A. 수출의존형 경제체질의 강화 ------ 176
B. 선진제국과의 무역불균형과 마찰 ------ 179
C. 제3세계국들의 위기와 일본의 자본수출 ------ 180
4. 국내의 불균형과 위기 ------ 183
A. 기업업적의 회복·향상 ------ 183
B. 재정위기와 재정개혁노선의 의의 ------ 185
C. 노동자의 경제생활의 억압 ------ 188
D. 노동운동의 위기와 가능성 ------ 191
주석과 참고문헌 ------ 195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