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계획 시장 민주주의 |
|
까뜨린느 사마리 지음 , 강성훈옮김 |
출판사 - 신평론 |
초판일 - 1990-06-30 |
ISBN - |
조회수 : 2562 |
|
|
|
● 책 소개
제4인터내셔널 정통 트로츠키주의에 입각한 동유럽 경제체제 분석서. 동유럽에 한차례 회오리 바람이 몰아친 뒤 동구 각국과 소련은 속도의 차이는 있을망정 시장경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이에 적극적 또는 소극적으로 저항하는 움직임 또한 존재한다. 계획경제냐 시장경제냐?
이 책의 저자는 이런 식으로 묻는 것 자체가 잘못 아니냐고 조심스럽게 되묻고 진정한 문제는 정치와 경제의 민주화가 아니겠느냐고 진지하게 제안하고 있다.
민주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동유럽 경제개혁을 소개한 유일한 입문서인 이 책의 저자 까뜨린느 사마리(Catherine Samary)는 45세의 파리 제9대학 경제학과 여교수이며 소련 · 동구 경제 전문가이다.
옮긴이 강성훈은 메릴랜드 주립대학에서 경영학을 공부했다. 그는 이 책의 번역 원본이 불어 원저가 아닌 영역본 Plan, Market and Democracy (Amsterdam:International Institute for Research and Education, 1988)임을 밝혀 달라고 요청했다.---본문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머리말을 대신해서 = 3
제1장 이론적·정치적·방법론적 문제들 = 11
보론1 시장 - 전반적인 조정자인가 아니면 부분적인 메카니즘인가? = 34
보론2 만델과 노브의 논쟁 = 38
제2장 관료제적 중앙집권제 계획경제의 사회관계 = 40
제3장 계획에 의한 시장 메카니즘 이용 = 70
제4장 "시장 사회주의" : 1965∼1971년 유고슬라비아의 경험 = 87
보론 혁명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주요 연표 = 114
제5장 1920년대 소련의 가치법칙 논쟁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재조망 = 116
보론1 1920년대 소련의 경제정책과 경제발전에서 있었던 몇 번의 전환점 = 139
보론2 "곡물 위기"의 역할 = 142
보론3 트로츠키 = 145
보론4 '좌익반대파'와 농민 = 148
보론5 부하린 = 150
보론6 "우익[반대파]"에 대하여 = 152
보론7 프레오브라젠스키 = 156
보론8 상이한 경제 영역에서 작용하는 두 법칙(가치법칙과 사회주의적 시초 축적 법칙) 사이의 관계에 대한 프레오브라젠스키의 견해 = 158
보론9 사회계급의 역사와 경제 = 160
제6장 결론 = 163
참고문헌 = 185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