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국가독점자본주의론 1 |
|
이케가미 준(池上淳) 외 지음 , 조민옮김 |
출판사 - 한울 |
초판일 - 1986-07-20 |
ISBN - |
조회수 : 3024 |
|
|
|
● 책 소개
20세기에 들어 자본주의는 전반적 위기 하에서 커다란 변모를 겪게 되었다. 즉 격심한 공황의 발발과 소비에트 사회주의 정권의 수립, 식민지 민족운동의 고양 등에 의하여 기존의 사적 자본의 힘만으로는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을 말한다. 여기에 국가의 경제에 대한 광범위한 개입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주어진다.
그런데 이 국가독점자본주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하여는 많은 이론이 제기되어 왔다. 이것은 막바로 현금의 세계역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의 문제와 또 그것에 대응한 실천적 함의를 포함한 문제였기 때문에 격렬한 논쟁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국가독점자본주의론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우리에게도 절실히 요구된다. 이 책은 이것을 위해 기존의 이론과 논쟁들을 이해하고 보다 정확한 현실인식을 위해 기획되었다.---본문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제1부 국가독점자본주의의 본질
제1장 국가독점자본주의의 형태와 발전
1. 국가독점자본주의의 형태와 본질 = 11
2. 위기론으로서의 국가독점자본주의론 = 19
3. 관리경제론으로서의 국가독점자본주의론 = 29
4. 이행론으로서의 국가독점자본주의론 = 36
5. 결론 - 국독자에 대한 세 가지 쟁점 = 44
제2장 국가독점자본주의의 구조와 일반적 성격
1. 현대자본주의 = 47
2. 국가독점자본주의론 = 53
3. 국가독점자본주의로의 접근 = 60
4. 국가독점자본주의의 부패성 = 67
5. 맺음말 = 69
제3장 자본주의의 위기와 국가독점자본주의
1. 전반적 위기 = 77
2. 공황과 위기 = 84
3. 국가독점자본주의의 본질 = 99
제2부 국가독점자본주의 논쟁
제1장 핀너와 레닌 = 113
제2장 부하린의 국가자본주의트러스트론
1. 금융자본과 국가자본주의트러스트 = 118
2. 독점과 경쟁 = 123
제3장 힐퍼딩을 둘러싼 논쟁 - 조직자본주의와 국가독점자본주의 -
1. 조직자본주의와 경제적 민주주의 = 134
2. 사회국가인가? 계급국가인가? = 142
제4장 바르가논쟁에 있어서의 국가와 독점
1. 총자본가국가와 독점자본가국가 = 147
2. 자유로운 시장을 목적으로 하는 생산과 국고목적의 생산 = 151
3. 바르가논쟁의 의의와 한계 = 157
제5장 치샹의 국가독점자본주의론에 대하여
1. 치상의 국가독점자본주의론 = 161
2. '단계론'의 비판 = 166
3. 독점과 국가독점자본주의 = 169
4. 상부구조로서의 국가독점자본주의 = 171
제6장 유럽국가독점자본주의 논쟁의 주요 논점(1) - 조직자본주의론의 부활 -
1. '융합 테제' 대 '관료제테제' = 178
2. 조직자본주의론의 '재생' = 182
3. 경쟁과 개량 = 186
제7장 유럽 국가독점자본주의 논쟁의 주요 논점(2) - 후기자본주의론의 문제점 -
1. '자본 - 노동테제' 대 '진영간 모순테제' = 190
2. 독점의 규제와 관료기구 = 192
3. '내적 논리'와 국가의 지역성 = 196
제8장 국가독점자본주의 논쟁의 성과와 문제점
1. 전반적 위기와 국가독점자본주의 = 201
2. 자본축적과 국가독점자본주의 = 206
3. 국가독점자본주의의 역사적 위치 = 215
보론 일본의 국가독점자본주의 논쟁 = 223
편자후기 : 한국 사회구성체 논쟁의 현황과 그 평가
1. 사회구성체 논쟁의 배경과 쟁점 = 235
2. 주변부자본주의론의 논리와 그 비판 = 240
3. 국가독점자본주의론의 논리와 그 비판 = 253
4. 새로운 이론적 모색 -국가독점자본주의론과 주변부자본주의론의 종합을 위한 시도들- = 265
5. 한국 사회구성체의 분석상의 몇 가지 문제제기 = 271
6. 맺음말 = 280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