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경제사 학습 |
|
양상철 엮음 지음 |
출판사 - 세계 |
초판일 - 1987-03-05 |
ISBN - |
조회수 : 6744 |
|
|
|
● 책 소개
80년대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맑스주의에 대한 관심은 경제사(혹은 사회경제사) 연구와 학습을 크게 유행시켰다. 물론 이것은 맑스주의를 '경제결정론'적으로 왜곡되게 바라보는 한 편향을 낳기도 했다.
이 책은 당시 유행했던 경제사 학습을 위한 대중적인 개설서이다. 역사적으로 등장했던 사회구성체를 발전론적 시각에서 원시공산제사회, 노예제사회, 봉건제사회, 자본주의사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각각 <주요학습과제>를 주어 학습과 토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맨위로
|
● 목 차
서론 올바른 경제사학습을 위하여 ------ 11
1. 경제사 학습의 자세
2. 올바른 사상의지
3. 본서의 구성
제1장 인류의 조상 ------ 21
1. 인간과 진화
2. 노동의 세계창조
<주요학습과제> ------ 28
Ⅰ. 노동의 발전과 인류의 진화
① 인간의 기원을 설명하려면 생물의 기원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가
② 다아윈의 학설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③ 원숭이로부터 인간으로 진화하게 된 결정적 기점은 무엇인가
④ 원숭이가 인류로 진화할 수 있었던 조건은 무엇이었는가
⑤ 도구를 만든 것이 먼저인가, 언어를 만든 것이 먼저인가
⑥ 인간의 손과 노동의 관계 그리고 노동과 사고의 관계는 어떠한가
⑦ 인간과 동물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인가
⑧ 왜 사회가 고도로 발달한 후에는 인간의 신체발달이 매우 완만해지는가
⑨ 부르조아지는 무엇 때문에 '신이 인간을 만들었다'는 말을 열심히 선전하는가
Ⅱ. 올바른 노동의 관점과 대중적 입장
① '노동이 인간을 만들었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② 노동은 단지 사물을 개조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견해는 올바른가
③ 노동의 정의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노동의 개념과 정치경제학에서 말하는 노동의 개념의 차이는 어떠한가
④ 노동이 세계를 만들었다는 인식과 인생관 확립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⑤ 무엇이 올바른 노동의 입장, 대중적 입장인가
Ⅲ. 노동의 종류와 노동의 문화창조
① 두뇌노동도 노동인가
②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중 어느 것이 보다 중요한가
③ 어떻게 노동이 문화를 창조하는가
④ 고대문화인 피라밋이나 만리장성은 과연 일개 황제나 장군에 의해 만들어진 것인가
⑤ 종교는 어떻게 발생했는가
⑥ 예술은 어떻게 발생했는가
⑦ 민중을 역사의 창조자라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⑧ 천재적 인물은 대중 속에서 나온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⑨ 역사상 개인의 역할은 무엇인가
⑩ 민중적 영웅주의와 개인적 영웅주의의 차이는 어디에 있는가
제2장 사회구성체의 기본문제 ------ 73
1. 사회구성체
2. 생산력, 생산관계, 생산양식
3. 계급과 계급투쟁
<주요학습과제> ------ 82
Ⅰ. 사회구성체에 대한 기본이해
① 사회구성체란 무엇인가
② 사적 유물론이란 무엇인가
③ 사적 유물론이 모든 사회과학의 방법론인 까닭은 무엇인가
Ⅱ. 생산력, 생산관계, 생산양식
① 생산력, 생산관계, 생산양식이란 무엇인가
② 생산력에는 '노동대상'이 포함되는가
③ 왜 생산력은 생산과정에서 가장 활동적이고 가장 혁명적인 요소이며 또한 결정적인 요소라고 하는가
④ 사회발전의 원동력은 생산력인가, 계급투쟁인가
⑤ 생산력은 그에 조응하는 생산관계를 요구하는데, 생산관계가 생산력의 발전에 뒤떨어져 그것과 오랫동안 모순되는 상태로 있는 것이 불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⑥ 생산관계는 생산력의 성격에 반드시 조응한다는 법칙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⑦ 생산관계가 생산력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을 때 생산력은 절대 발전하지 않는가
⑧ 생산양식의 변화는 불가피하게 사회적 변화를 불러일으키는데, 사회혁명이 우선 정치체제를 바꾸고 그 뒤에 생산양식을 바꾸는 까닭은 무엇인가. 또 이것은 앞의 명제와 모순되는 것이 아닌가
Ⅲ. 인류의 역사와 계급, 계급투쟁
① 계급이란 무엇인가
② 계급분석의 방법을 파악해야만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리고 계급분석의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③ 인류사회의 일정 시기에는 왜 계급이 존재하지 않았는가. 그리고 그 이후에는 왜 계급이 발생하였는가
④ 착취가 먼저인가, 사유재산이 먼저인가, 혹은 계급이 먼저인가.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가
⑤ 무자각한 계급은 무엇이며 자각한 계급은 무엇인가
⑥ '계급'과 '계층'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⑦ 원시적인 사회형태를 기초로 하여 계급이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그렇다면 계급의 발생은 결국 인류에게 유익한가 아니면 해로운가
⑧ 계급사회에서 왜 계급투쟁은 불가피한가. 계급투쟁이 나타나는 형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제3장 원시공산제사회 ------ 115
1. 계급 없는 사회
2. 공동생활
3. 원시인류에 대한 연구
4. 원시인류의 생활
5. 씨족공동체
6. 노동생산물의 분배
7. 원시공산제의 역사성
8. 원시사회의 해체
9. 계급의 발생
10. 원시공산제의 흔적
11. 원시부족과 자본주의
<주요학습과제> ------ 131
① 원시공산제사회는 얼마동안 존재했는가
② 원시공산제는 왜 뒤떨어진 생산양식인가. 그 구체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③ 원시공산제사회의 생산력과 생산관계 사이에는 모순이 있었는가
④ 원시공산사회는 몇단계로 나뉘어지는가
⑤ 공동체란 무엇인가. 씨족공동체나 농촌공동체는 파리콤뮨이 의미하는 공동체와 같은가
⑥ '불'과 '활'은 어떤 사회에서 발견된 것인가. 그것은 당시의 사회 발전에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가
⑦ 원시공산사회에서 계급사회로의 이행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⑧ 원시공산사회에서 노예사회에 이르는 데에는 혁명을 경과하였는가
⑨ 원시공산사회가 직접 공산주의사회로 이행할 수는 없는가
제4장 노예제사회 ------ 151
1. 잉여생산물과 계급의 발생
2. 노예와 노예소유자
3. 노예제도의 발생
4. 가족경제에서 대규모 생산으로
5. 대규모의 노예생산
6. 노예 - '말하는 도구'
7. 노예제사회의 기술
8. 노예제도의 붕괴
9. 그리이스와 로마의 쇠퇴
10. 노예봉기와 노예제도의 멸망
11. 자본주의시대의 노예경제
<주요학습과제> ------ 165
① 원시공산제사회의 붕괴와 노예제 발생의 구체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② 사회가 발전됨에 따라 왜 생산에서 벗어난 착취자가 생겨나게 되는가
③ 아시아의 고대 노예제도와 고대 그리이스·로마의 노예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아시아적 생산양식이란 무엇인가
④ 노예제의 발생은 사회의 진보인가, 퇴보인가
⑤ 고대 그리이스·로마의 프롤레타리아트와 근대의 프롤레타리아트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⑥ 노예는 왜 새로운 생산력을 대표할 수 없었을까. 또 그렇다면 누가 새로운 생산력을 대표했는가
⑦ 왜 노예봉기는 착취를 근절시킬 수 없었을까. 왜 노예 스스로 새로운 생산양식을 만들어낼 수 없었을까
⑧ 노예제사회가 봉건제사회로 변화한 주요원인은 무엇인가
제5장 봉건제사회 ------ 181
1. 봉건제도의 발생
2. 토지소유 - 영주 없는 토지는 없다
3. 봉건적 신분제도
4. 농민의 농노화
5. 농노 - '세례를 받은 재산'
6. 농노적 노예제
7. 봉건적 장원
8. 부역과 연공
9. 봉건적 생산의 주요한 특징
10. 봉건적 착취의 형태
11. 중세의 도시와 수공업
12. 길드
13. 교환의 발달과 농노제적 착취의 증대
14. 자본주의적 생산의 발생
15. 농노의 특징
16. 자본주의 하에서의 농노제적 잔재
<주요학습과제> ------ 204
① 노예제사회가 붕괴된 이후에는 왜 다른 사회가 아니라 봉건사회가 생겼는가
② 봉건사회에서의 생산력과 생산관계 사이의 모순은 어떤 곳에서 나타나고 있는가
③ 봉건적 생산(봉건경제)의 기본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④ 영주와 지주는 어떻게 다른가
⑤ 농노와 노예는 어떻게 다른가
⑥ 지대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었는가
⑦ 인격적 예속이란 무엇인가
⑧ '장원제'란 무엇인가
⑨ 봉건적 착취, 반봉건적 착취, 자본주의적 착취란 무엇이며 각 차이점은 무엇인가
⑩ 봉건적, 반봉건적 토지소유제란 무엇인가
⑪ 상업자본가와 고리대자본가는 산업자본가로 전화하기 이전에는 어떤 계급에 속하고 있었는가. 그들은 독자적으로 하나의 계급을 이룰 수 있었는가
⑫ 러시아 농노제도의 실상은 어떠했는가
⑬ 봉건제사회는 왜 그렇게 오랫동안 계속되었는가
⑭ 봉건제도의 붕괴와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형성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제6장 자본주의사회 ------ 233
1. 자본주의의 특징
2. 자본주의의 발생
3. 원시적 축적과정
4. 상품생산의 발전과 산업혁명
5. 농업에서의 자본주의적 발전
6. 자본주의적 확대재생산
7. 계급대립의 첨예화
8. 독점자본주의와 발전의 불균등성
9. 자본주의의 전반적 위기
10. 국가독점자본주의의 본질
<주요학습과제> ------ 248
① 자본의 본원적 축적이란 무엇이며 이는 자본주의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가
② 왜 노동력이 상품으로 될 경우에만 자본주의사회가 성립할 수 있는가
③ 자본주의의 특징은 무엇인가
④ 자본주의사회에서 발생하는 생산과 분배 사이의 모순이란 무엇인가
⑤ 자본주의적 확대재생산은 왜 자본주의적 모순의 심화과정인가
⑥ 자본주의사회에서 존재하는 도시와 농촌의 모순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⑦ 자유경쟁은 왜 필연적으로 독점으로 나아가는가. 자본주의가 독점으로 발전한 시기에도 역시 경쟁이 있는가
⑧ 제국주의란 무엇인가
⑨ 또다시 일본,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 발생되었던 것과 같은 파시스트 국가가 부활하는 것은 아닐까
⑩ 자본주의는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
⑪ 사회주의혁명은 왜 러시아와 같은 후진국에서 일어났고, 자본주의가 가장 발달한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일어나지 않았는가
⑫ 조직된 자본주의란 실현가능성을 지니고 있는가
⑬ 신식민주의의 본질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또한 그것은 민족해방운동과정에서 어떻게 파악되어야 하는가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