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경제사상사 |
|
스기모토 에이이치(杉本栄一) 지음 , 김승석옮김 |
출판사 - 한울림 |
초판일 - 1985-02-28 |
ISBN - |
조회수 : 3076 |
|
|
|
● 책 소개
이 책은 ‘경제학사의 과제는 경제사적 변동에 기초한 학설의 운동을 법칙화하는 것이다’라는 서술방법을 가지고, 공황과 계급투쟁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생성된 근대경제학의 생성・발전・소멸을 설명하고, 역사적 규범성과 경험주의라는 관점에서 각 학파의 이론을 평가한다…….
이와 같은 저자의 관점은 주류경제학의 이론과 정책뿐만 아니라, 2차대전 이후의 새로운 경제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출현한 종속이론, 신리카아도이론 등을 평가하고 역사적으로 위치지울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본 시각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본문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서문
서장 경제학사의 본질과 과제
1. 소재집성(素材集成)으로서의 경제학사 = 11
2. 경제이론의 자기전개로서의 경제학사 = 12
3. 역사적 발전의 반영으로서의 경제학사 = 15
4. 경제학사의 본질과 과제 = 16
제1장 근대경제학의 성립전사(前史)
제1절 고전파 경제학의 문제
1. 근대경제학의 전사(前史)로서의 고전파 경제학 = 21
2. 고전파 경제학-자본주의 생성기의 경제학 = 21
3. 고전파 경제학 제1의 문제 : 안정적인 경제체제로서의 자본주의체제-스미드의 자연가격론과 노동가치론 = 22
4. 제2의 문제 : 노자(勞資)간의 계급조화의 체계로서의 자본주의 체제-전기고전학파 및 스미드의 분석과 리카아도의 발전이론 = 26
5. 지대논쟁과 리카아도경제학의 승리 = 27
제2절 고전파 경제학의 해체
1. 첫 번째 이유-주기적 공황의 내습과 판로설(販路說) = 30
2. 두 번째 이유-노자(勞資)간의 계급투쟁의 격화와 계급 조화론 = 31
3. 고전학파의 해체와 근대경제학의 성립
1) 케임브리지학파와 마르크스학파의 성립 = 34
2) 오스트리아학파의 성립 = 35
3) 로잔느학파의 성립 = 36
제2장 일반균형이론의 전개
제1절 한계효용이론과 오스트리아학파의 형성
1. 근대경제학사를 한계효용이론으로부터 시작하는 이유 = 39
2. 개별경제적 소비합리성의 확정(효용체감의 법칙과 한계 효용균등의 법칙) = 40
3. 한계효용이론의 세가지 형태 = 41
4. 한계효용이론의 주류로서의 오스트리아학파 = 41
5. 초월적 논리주의적 방법과 경험심리주의적 방법 = 42
6. 뵘·바베르크의 이자론, 생산구조론 및 사회주의에 대한 태도 = 43
7. 오스트리아학파의 분배론(귀속설과 한계생산력설) = 45
8. 비용의 문제 = 46
제2절 기계적 경험주의의 철저와 로잔느학파의 선택이론의 전개
1. 효용의 가측성(可測性)과 왈라스 = 47
2. 파레토의 선택이론 = 49
3. 한계효용이론의 완전한 포기 = 51
4. 가치구축론(價値驅逐論)과 경험비판론 = 51
5. 파레토이후의 로잔느학파 = 52
6. 빈·런던·시카고 계열의 현대 자유주의 경제학의 계보 = 53
7. 오스트리아학파의 화폐적 경기이론 = 54
8. 경제계산론 = 55
제3절 개별경제적 균형분석의 완성과 사회경제적 균형분석의 경험적 타당성
1. 일반균형이론의 지도정신 = 57
2. 고전학파에 있어서의 개인 = 57
3. 오스트리아학파에 있어서의 개인 = 58
4. 한계효용이론의 결함과 후기 로잔느학파 선택이론의 성립 = 59
5. 개별경제적인 균형분석의 완성 = 60
6. 일반균형이론의 분석도구로서의 구조 = 62
7. 일반균형이론의 현실타당성 = 64
8. 사회경제적 균형에 관한 왈라스의 예비적 모색의 논리와 그 경험적 타당성-자유경쟁자본주의 시대와 독점자본주의 시대 = 66
제4절 일반균형이론의 동태분석과 그 한계
1. 슘페터에 의한 경제정학의 확장-순환과 성장이론 = 68
2. 슘페터 정학의 한계와 동학의 문제-발전이론 = 69
3. 레온티에프의 투입산출분석 = 71
4. 무어·슐츠의 계량경제학적 방법 = 71
5. 슘페터류의 방법과 무어류의 방법의 본질적 동일성-정학동학의 이원론과 추세파동분석의 기계적 분석 = 72
6. 다음 장(章)의 문제 = 73
제3장 신고전파 이론의 전개
제1절 케임브리지학파의 발전과 케인즈파의 형성
1. 고전학파의 해체와 밀의 문제 = 75
2. 케임브리지학파의 역사적 과제
1) 마샬의 경제학 = 76
2) 피구의 경제학 = 78
3) 케인즈의 경제학 = 79
3. 미국경제학계의 실정과 케인즈경제학의 도입 = 80
4. 케인즈경제학의 도입과 미국의 케인지언 = 81
5. 영국의 케인지언 = 83
6. 고전학파와 신고전학파의 유사점과 차이점 = 83
제2절 신고전학파의 거시적 동태론과 로잔느학파의 정태적 균형이론과의 차이
1. 신고전학파의 방법적 특질로서의 거시적 동태론 = 85
2. 마샬의 동학적 일반이론과 슘페터의 정태·동태 이원론과의 차이점 = 86
3. 마샬경제학에서의 시간과 공간의 구조 = 88
4. 이질적 경제구조의 이론 = 91
5. 단기정상과 장기정상 = 92
제3절 거시적 동태론의 발전
1. 케인즈의 승수이론과 이동균형이론 = 93
2. 케이므리지학파의 경기이론-로버트슨, 호트리 = 94
3. 스웨덴학파의 경제학 = 95
4. 후케인즈학파의 발전방향
1) 동학화와 장기화 = 96
2) 가속도원리의 도입 = 96
3) 가속도원리와 승수이론의 결합 = 97
4) 균형론적 경기변동이론과 모순이론의 차이점 = 97
5) 모순이론(해로드 = 도마형) = 99
6) 균형론적 경기변동과 모순이론의 차이점 = 101
5. 거시적 분서고가 미시적 분석 간의 모순(일반균형이론과 신고전파 이론의 차이점) = 102
6. 거시적 분석의 원리로서의 안정조건론 = 103
7. 총계의 문제(마샬, 클라인, 메이, 푸) = 104
제4절 신고전학파의 후생경제학과 가치론
1. 규범과 경험의 실천적 통일 = 106
2. 로잔느학파의 입장과 케임브리지학파의 입장의 차이 = 107
3. 신고전학파의 가치론
1) 「후생」과 「효용」, 「괘적수준」과 「생활수준」 = 111
2) 신고전학파 가치척도론과 그 전제로서의 세계경제구조 = 112
4. 케임브리지학파적인 시장구조론이 요청하는 측정론의 성격
1) 마샬의 가치론 = 116
5. 케인즈의 가치측정론 = 116
6. 독점자본주의에서의 측정론의 성격 = 117
7. 실천적·경험론적 가치론으로서의 마르크스 노동가치설 = 119
8. 실천주체의 차이에 따른 마르크스학파와 신고전학파의 성격비교 = 120
제4장 마르크스이론의 전개
제1절 마르크스학파의 형성과 발전
1. 본장의 문제 = 123
2. 신고전학파의 기본성격과 마르크스학파의 기본성격 = 123
3. 1840년대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작 = 125
4. 자유경쟁자본주의의 분석 = 127
5. 독점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분석
1) 수정파와 정통파의 대립 = 128
2) 사회민주주의파와 공산주의파의 대립 = 129
6. 소련에서의 마르크스학파 경제학 = 131
7. 마르크스학파가 신고전학파에 미친 영향 = 131
제2절 신고전학파에 대한 마르크스경제학의 특색
1. 본절의 주제 = 132
2. 자본제 축적과정에 관한 마르크스경제학의 분석
1)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 = 132
2) 자본의 축적, 집적, 집중 = 133
3) 신용과 경쟁의 작용 = 134
4) 산업예비군의 형성과 운동 = 134
5) 평균이윤율의 경향적 하락 = 135
6) 주기적 공황의 전개 = 136
7) 프로레타리아의 자각적 계급형성 = 137
3. 케인즈파와 마르크스학파의 유사점과 근본적인 차이점
1) 케인즈파의 경기순환이론과 마르크스학파의 주기적 공황이론 = 138
2) 케인즈파의 수정주의론과 마르크스학파의 체제전환론 = 140
4. 마르크스의 주기적 공황이론에 대한 과소소비론적 해석의 오류 = 142
5. 주기적 공황이론과 가치론의 필요성 = 143
제3절 상품의 분석과 화폐의 필연성
1. 상품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노동의 이중성
1) 구체적 유용노동 = 145
2) 추상적 인간노동 = 146
2. 가치형태론의 중요성
1) 사적 노동의 (이중의 사회적 성격) = 147
2) 사적 노동과 사회적 노동의 대립-「상품의 물신성」 = 148
3) 「상품의 물신성」의 근원 = 148
4) 상품형태의 신비성 = 149
3. 고전학파에 있어서의 가치형태론의 결여와 그 원인 = 150
4. 가치형태론의 과제 = 152
5. 가치형태론 전개의 논리
1) 단순한 가치형태의 논리구조 = 153
2) 전개된 가치형태 = 159
3) 일반적 가치형태 = 162
4) 가치형태의 가장 완성된 형태로서의 화폐형태 = 164
6. 브르죠아경제학의 (화폐가치론)에 대한 비판 = 165
참고문헌 = 167
후기 = 205
역자후기 = 207
인명색인 = 209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