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정치 > 한국정치 ( 157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1960년대
김성환·김정원·허버트 P. 빅스 외 지음
출판사 - 거름
초판일 - 1984-01-30
ISBN -
조회수 : 5200

책 소개

우리나라에서 60년대는 그 시작으로서의 '4월혁명'에서 그 종점으로서의 '3선개헌'에서 '10월 유신'이라는 과도기까지 나름대로 뚜렷한 성격을 지닌다. 4월혁명으로 표출되었던 민중의 의지와 가능성은 장면정권의 무능과 박정희의 5·16군사쿠데타로 좌절되고, 이후 탄생한 군사독재정권은 월남파병, 한일국교 재개 등을 단행하여 새로운 동북아질서 속에 편입되면서 '고도성장'이라는 이데올로기하에 경제개발에 주력했다.
이 60년대 뿌려진 싹은 70-80-90년대를 관통하면서 한국사회를 규정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60년대에 씨가 뿌려져 지난 40여년동안 우리사회 구석구석을 장악해온 지배구조와 지배세력을 전복하고 넘어서는 것이 오늘날의 과제라고 할 때, 우리가 지금 서 있는 위치를 정확히 가늠하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바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60년대 역시 반드시 돌아보아야 할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맨위로맨위로


● 목 차

머리말

제1부. 4·19혁명의 구조와 종합적 평가 / 김성환 = 11

1. 서론 = 11

2. 해방 이후 구조적 모순의 심화 = 13
(1) 세계의 정치·경제구조 = 13
(2) 해방 직후 한국의 정치·경제구조 = 15
(3) 50년대의 정치·경제구조 = 17
1) 경제구조 - 종속적 자본주의 = 17
2) 정치구조 = 20
3) 사회구조 = 23

3. 운동역량의 성숙과 한계 = 27
(1) 운동역량의 표출 = 27
(2) 운동주도체의 전이과정 = 36
1) 민주당세력 = 36
2) 혁신계 정치세력 = 39
3) 학생세력 = 42
(3) 민중적 요구의 확산 -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을 중심으로 = 45

4. 4·19의 종합적 평가와 그 이후 민중운동의 성장 = 52
(1) 4·19의 한계와 극복과정 = 52
(2) 5·16 = 53
(3) 사회·경제적 모순의 심화과정 = 55
(4) 4·19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민중운동의 양상 = 57


제2부. 제2공화국의 수립과 몰락 / 김정원 = 60

1. 자유당의 몰락과 민주당의 성장 = 61
2. 과도정권 = 73
3. 제2공화국의 약체성 = 75

제3부. 한국군부의 성장과정과 5·16 / 김세진 = 95

1. 군대의 탄생과 성장 - 군의 내부구조 연구 = 95
(1) 한국군대의 형성과 발전 : 장교의 충원과 인맥의 발생 = 96
(2) 고급장교의 출신배경 = 98
(3) 한국군 형성기의 반란과 배반 = 111
(4) 군부 내의 불화 = 112

2. 군민 관계 = 118
(1) 전통적인 군민관계 = 118
(2) 이승만체제 하의 군민관계 = 122

3. 절정을 향해 가는 군부 = 128
(1) 5·16의 계획과 실행 = 136
(2) 1961년 5월 16일 = 141

제4부. 군정과 제3공화국 : 1961∼1971 / 김정원 = 150

1. 권력강화기Ⅰ : 군정(1961∼1963) = 151
2. 권력강화기Ⅱ : 외부의 원조로 호랑이 등에 올라타다(1963∼1967) = 180
3. 권력강화기Ⅲ : 정치적 침식(1967∼1971) = 195

제5부. 지역통합전략 - 미국의 아시아정책에서의 한국과 일본 / 허버트 P. 빅스 = 208

1. 서론 = 208
2. 미국의 대한정책(1945∼1950) = 211
3. 미국의 대일정책(1945∼1950) = 212
4. 6·25동란과 일본 = 224
5. 분업Ⅰ : 휴전 후 미국의 대한정책 = 230
6. 분업Ⅱ : 일본의 대한정책 = 240
7. 결론 : 최근의 발전동향 = 249

제6부. 한일회담의 전개과정 / 寺尾五郞 外 = 251

1. 6·25동란에 직접 대응하는 시기(1951∼1953) = 252
(1) 제1차 회담 = 252
(2) 제2차 회담 = 253
(3) 제3차 회담 = 254

2. 중간기(1953∼1958) = 255

3. '중공봉쇄'에 대응하는 시기(1958∼1964) = 259
(1) 제4차 회담 = 259
(2) 제5차 회담 = 260
(3) 제6차 회담 = 261

제7부. 1·2차 경제개발계획과 고도성장의 문제점 / 山本剛士 = 271

1. 1960년대 초의 경제구조와 정책 = 271
(1) 장면정권 하의 사회경제 개황 = 271
(2) 5·16 당시의 경제구조 = 272
1) 산업구조와 취업구조 = 272
2) 농업의 지위 = 274
(3) 군사정부의 중농정책 = 275

2. 경제개발 5개년계획 - 공업입국으로의 지향 = 278
(1)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78
1) 계획의 개요 = 278
2) 계획의 보완 = 281
3) 제1차계획의 성과 = 282
(2)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 284
1) 계획의 개요 = 284
2) 계획의 진척상황 = 285

3. 한국경제의 고도성장 = 286
(1) 고도성장을 이룩한 요인 = 286
1) 외자 도입 = 286
2) 수출과 월남특수 = 289
(2) 고도성장의 문제점 = 292
1) 원리금상환 = 292
2) 수출입격차의 확대 = 294
3) 물가상승 = 297
4) 일본에 대한 편중 = 299


제8부. 60년대 한일경제관계의 구조 / 한일관계연구회 = 301

1. 전후 한일경제관계의 개요 = 301
(1) 제1단계 - 경제관계의 단절기(1945∼1960) = 301
(2) 제2단계 - 비공식적 상품진출기(1960∼1965) = 302
(3) 제3단계 - 자금·신용공여를 주축으로 하는 본격적 상품진출기(1965∼1969) = 304
(4) 제4단계 - 일본경제권으로의 편입기(1969∼1970) = 311

2. 한일무역의 전개구조 = 319
(1) 무역면에서의 일본의 급속한 진출 = 319
(2) 일본상품의 수출시장으로서의 한국 = 325
(3) 한국의 대일수출의 종속적 성격 = 330
(4) 한국경제에 대한 일본 종합상사의 영향력 = 336
(5) 상품시장에서 투자시장으로의 전환 = 340


참고문헌 = 343
주요사건개요 = 353
60년대 연표 = 394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