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1920년대 맑스레닌주의 보급과 노동운동의 발전 |
|
김인걸 지음 |
출판사 - 일송정 |
초판일 - 1989-01-30 |
ISBN - |
조회수 : 1556 |
|
|
|
● 책 소개
이 책은 1960년대 중반에 쓰여졌음에도 불구하고 식민지시대 조선의 노동계급이 어떻게 반제민족해방과 반봉건민주주의 혁명의 과업을 짊어지고 투쟁했으며 어떤 조직적 전망을 갖고 성장 . 발전하였는가에 대한 매우 세련된 분석을 해내고 있다.
식민지 시대 노동운동 조직의 발전을 합동노조->직업별 노조의 지역별 연맹->산업별 노조로 그려내고 있는 이 글은 지금까지 남한에서의 식민지시대 노동운동사 연구성과들이 갖는 비과학성, 노동조합주의적 분석, 파벌투쟁적 관점, 1930년대 노동운동 무시 등 제반 오류와 약점을 일정하게 극복한 상당한 명료, 명쾌함을 보여준다.--본문중에서ⓕ
맨위로
|
● 목 차
책을 내면서 = 4
1. 1920년대 전반기 우리 나라에서의 맑스-레닌주의의 보급과 그 소조들의 활동 = 7
1) 1920년대 전반기 우리 나라에서 맑스-레닌주의가 급속히 보급될 수 있었던 사회역사적 제조건 = 7
2) 1920년대 전반기 우리 나라에서의 맑스-레닌주의의 보급과 그 소조들의 활동 = 18
2. 1920년대 전반기 노동 운동의 성장 = 30
1) 조선 노동 공제회의 조직과 활동 = 30
2) 부산 부두 노동자들의 총파업 투쟁 = 39
3) 조선 노동 연맹의 조직, 직업별 노조 결성을 위한 투쟁 = 43
4) 조선 노동 총동맹의 결성 = 49
5) 1920년대 전반기 노동자 파업의 제 특징 = 54
3. 조선 공산당의 창건과 노동운동의 발전 = 62
1) 조선 공산당의 창건 = 62
2) 반일 6.10 만세 시위 투쟁 = 65
3) 지역별 노동 연맹의 조직과 노동단체의 분화 = 70
4) 1926-1928년 시기의 노동자 파업들과 그의 제 특징 = 76
5) 1920년대 후반기 노동 운동 발전에 끼친 종파의 해독성, 조선 공산당의 해산 = 84
4. 1920년대 말-1930년대 초 노동운동의 급격한 앙양 = 92
1) 원산 총파업과 노동 운동의 앙양 = 92
2) 노동 계급의 혁명적 진출과 노동 단체의 개량화를 반대하는 투쟁 = 110
3) 1920년대 말-1930년대 초 파업 투쟁의 제 특징 = 124
4) 혁명적 노동조합 결성을 위한 투쟁 = 130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