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학회평론 15호 |
|
김덕련 외 지음 |
출판사 - 개인출판 |
초판일 - 1998-10-25 |
ISBN - |
조회수 : 1118 |
|
|
|
● 책 소개
10개월만에 ‘학회평론’ 15호가 나왔다. 원래 ‘학회평론’은 일년에 한번 나오는 걸로 아는 사람들도 있을 만하다 생각하니 가슴이 미어진다. 발간시기가 이렇게 늦어진 것은 전적으로 편집실의 게으름 탓이지만, 14호에서 “그래, 우리는 망해왔다.”라고 부끄럽지 않게 말할 수 있었던 것은 편집실의 새로운 전화를 위한 준비가 이제는 충분하리라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아름다운 시절’에 대한 공유된 기억마저 가지지 못한 편집실에게 이런 용기를 기대했던 건 아무래도 무리였던 것 같다. 과거를 부정하기에는 편집실이 가진 게 너무 없었고,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기에는 <학회평론>이 가진게 너무 많았다. 지난 10개월은 아마도 <학회평론>이 가진 걸 버리는 기간이었다기 보다는, 편집실이 갖지 못한 것을 채우는 기간이었으리라. 결과적으로 14호에서 떼고 싶었던 과도기적 인상이 15호에까지도 온전히 따라남은 것 같다. 아니, 좀 더 짙어진 건 아닐까. 철저한 자기 반성이 결여된 채 관성으로만 움직이는 운동을 그렇게도 경멸했건만, 15호가 그러한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리라는 생각은 여간 괴로운 게 아니다. ----- 본문중에서ⓕ
맨위로
|
● 목 차
책을 내며, ‘아름다운 시절’을 준비하며
쟁점
표류하는 운동, 멈춰진 고민
학생운동 혁신에 대한 일제언, 편집실 = 14
학습제언
‘철학 학습’을 어떻게 할 것인가?, 편집실 = 30
커리뱅크
IMF, 세계경제 그리고 한국의 노동운동, 편집실 = 51
교재읽기
‘오래된 미래’ = 65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 68
‘자본주의의 역사’ = 74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 77
‘한국에 페미니스트는 있는가’ = 81
‘현대의 과학기술과 인간해방’ = 87
이런학회 저런동아리
The Advance to Autonomia <법대 학회정책연구소>, 편집실 = 96
영화읽기
신자유주의 시대의 영화읽기
‘풀몬티’와 ‘브래스트 오프’를 중심으로, 조충환 = 101
서평
‘선언’의 메아리는 오래 지속된다
‘선언 150년 이후’를 통해 보는 ‘선언’ 읽기, 김덕련 = 118
번역
좌파는 어디로?: 후기산업시대의 사회 변화, 앙드레 고르 = 133
특별기고
짧은 활동, 많은 고민
과학상점운동에 대한 평가와 이후 계획, 김병윤 = 168
‘연대’, 그리고 실천
‘지금 노학연대를 말하기 위한 현재적 조건에 대하여’에 부쳐, 한솔 = 200
독자의 소리
자료 ‘학회평론’ 총목차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