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
▒ 현대국어국자의 제문제 |
|
남광우 지음 |
출판사 - 일조각 |
초판일 - 1970-00-00 |
ISBN - |
조회수 : 129 |
|
|
● 목 차
Ⅰ 한글 專用과 漢字·漢文교육
1. 한글 專用과 漢字·漢文교육
1) 漢字語는 漢字로 써야 讀解에 能率的이다. = 8
2) 漢字語도 국어다 = 8
3) 漢字語에는 同音異議語가 너무나 많다 = 10
4) 漢字文化 흡수에는 漢字·漢文교육이 필요하다 = 12
5) 漢字의 表意性에서 오는 造語力이나 그 縮約力 등 長點은 이용하는 것이 현명하다 = 14
6) 漢字교육으로 국어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 = 15
7) 한글 專用을 하려면 人名, 地名 등 固有名詞에 대한 政策的인 고려가 있어야 한다 = 17
2. 한글 專用의 得失 = 19
3. 우회 교육 = 20
4. 國語硏究所 設置의 必要性 = 21
Ⅱ 한글 맞춤법 問題
1. 맞춤법 再考點을 論함
1) 받침을 줄여 보자 = 28
2) 지나치게 語源을 밝히는 것을 再考해 보자 = 31
3) 너무 原則에 얽매이지 말자 = 32
4) 띄어쓰기를 다시 생각하자 = 34
附論 = 40
2. 한글 맞춤법 改定論 = 51
Ⅲ 한글 愛用論
1. 한글 專用보다 한글 愛用을 = 61
2. 한글 專用問題 誌上 심포지움 = 72
3. 한글 愛用의 限界 = 74
4. 새로 제정된 농업용어에 대하여 = 75
5. 한글 專用 點景 = 76
6. 한글 宗氏 = 78
Ⅳ 學校文法 統一問題
1. 學校文法 統一是非 = 83
2. 學校文法의 統一과 表記法問題 = 86
3. 文敎部制定 學校文法 統一案에 따른 細部體系에 대하여 = 96
4. 學校文法 統一을 위한 細案
1) 文章成分 = 98
2) 補語의 範圍 = 98
3) 助詞의 分類 = 99
4) 語尾의 分類 = 99
5) 用言의 時制 = 100
6) 文章의 種類 = 100
7) 文章의 圖解 = 101
8) 變則用言 = 102
9) 補助語幹의 限界 = 103
10) 品詞의 下位分類 = 103
11) 尊待法 = 104
12) 單語(語彙)의 構造 = 105
Ⅴ 漢字의 制限使用과 略字 制定問題
1. 常用漢字 略字문제
1) 한글 卽時專用은 어렵다 = 106
2) 常用漢字 제정 사용이 賢明하다 = 108
3) 200字 以內의 略字制定은 필요하다 = 114
2. 한글 專用에 앞서야 할 일 = 116
3. 한글의 段階的 專用論에 붙임 = 129
4. 한글 專用은 順理로
1) 한글 專用은 順理로 = 138
2) 言語 理解의 효율 = 139
3) 너무 많은 漢字語 = 141
4) 한글 專用과 맞춤법 = 142
5) 우선 漢字制限을 = 145
5. 漢字 制限使用의 提唱 = 145
6. 韓國新聞協會 漢字制限案을 審議하고 = 148
7. 漢字 略字化에 대하여 = 152
8. 漢字 略字制定의 問題點 = 154
Ⅵ 표준말·外來語 표기·국어 淨化·국어교육 및 其他문제
1. 표준말 再査定의 필요성과 그 問題點
1) 모음조화 문제 = 159
2) 형용사를 만드는 '-쁘다, -프다' 문제 = 160
3) ㅏ와 ㅐ의 通用問題 = 160
2. 外來語 표기법의 問題點
1) 긴소리 表記問題 = 162
2) 破裂音의 終聲 表記問題 = 163
3) 된소리 表記問題 = 164
4) 日本의 固有名詞 表記問題 = 165
5) 破裂音 받침을 ㅂ·ㅅ·ㄱ으로만 한 것은 賢明하다 = 166
3. 국어 淨化問題
1) 日語殘滓를 몰아내자 = 166
2) 外來語의 汎濫을 막자 = 167
3) 辱說 卑俗語의 橫行을 抑制하자 = 167
4) 잘못된 發音의 蔓廷을 防止하자 = 168
4. 국어교육 및 其他問題
1) 국어시간을 늘려야 될 것 같다 = 170
2) 국어敎員 강습에는 漢字 강습이 있어야 한다 = 170
3) 實驗학교를 두어 硏究하자 = 170
4) 客觀式 考試方法을 止揚하자 = 170
5) 讀書의 폭을 넓히고 新聞解讀 能力을 기르자 = 171
6) 학교문법의 細部體系도 統一되어야 한다 = 171
7) 專攻 奬學官이나 分野別 奬學委員을 두기를 바란다 = 171
8) 敎師用이 있어야 하겠다 = 171
9) 中·高 국어 교과서의 國定制는 마땅히 풀어야 한다 = 172
5. 中·高校 國語敎科書 "檢定"으로 하도록 = 173
Ⅶ 우리말 開發問題
1. 우리말 開發에 힘쓰자 = 174
2. 古語再生의 可能性 = 176
3. 우리말 造語와 漢字語문제
1) 造語問題 = 182
2) 漢字語問題 = 187
Ⅷ 韓國에서의 漢字音聲調 變遷硏究
1. 머리말 = 191
2. 資料 = 193
3. 本論 = 246
4. 끝맺이 = 321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