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판매중인 도서 ( 988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 베를린 연대기
발터 벤야민 지음 , 윤미애옮김
출판사 - 길(도서출판)
초판일 - 2007-12-03
ISBN -
조회수 : 434

● 목 차

해제: 유년시절에 대한 기억을 '역사적 경험'의 차원으로 = 5
옮긴이의 말 = 25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 31
서문 = 33
티어가르텐 = 35
카이저 파노라마 = 40
전승기념탑 = 43
전화기 = 50
나비채집 = 52
여행과 귀환 = 55
너무 늦게 도착함 = 57
겨울날 아침 = 58
슈테글리츠에서 겐티너로 가는 길모퉁이 = 60
찬장 = 63
성에 눈뜨다 = 64
부고 = 65
마그데부르크 광장의 시장 = 67
숨을 곳들 = 68
두 개의 수수께끼 이미지들 = 69
수달 = 72
블루메스호프 12번지 = 75
무메레렌 = 80
색채들 = 85
사교모임 = 86
글자상자 = 90
회전목마 = 92
원숭이 연극 = 93
신열 = 94
두 개의 취주악단 = 100
오락서적 = 103
학급문고 = 105
독일 청소년의 새 친구 = 109
유령 = 110
책상 = 113
크리스마스 천사 = 116
장롱들 = 118
거지와 창녀 = 123
겨울철 어느 저녁 = 126
반짇고리 = 127
사고와 범죄 = 130
로지아 = 134
크루메 가(街) = 138
공작새 섬과 글리에니케 = 140
달 = 144
꼽추 난쟁이 = 148
베를린 연대기 = 153

맨위로맨위로

책 소개

원제 : Berliber Kindheit um Neunzehnhundert / Berliner Chronik

철학, 미학, 문학, 신학 등 거의 모든 인문학적 사유의 전방위적 사상가였던 발터 벤야민 선집 3번째 책. 마르셀 프루스트의 자전적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와 같은 개인적ㆍ사적 차원을 넘어 유럽 문화와 사회의 기초가 해체되고 파괴되어 가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쓴 자전적 에세이다.

1930년대 독일, 벤야민이 살았던 시대는 안정과 불안의 전조가 뒤엉킨 동요의 시대였다. 시민계급에게는 상대적으로 안정기라고 볼 수 있었지만, 그 안에서는 몰락의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도사리고 있었다. 더욱이 벤야민이 나치 집권 시기에 이 글을 썼다는 점은 '불안'의 이미지가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가 유추되는 대목이다. 유복한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물질적 풍요를 경험하면서도 시민가정의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반항이나 재난과 불행에 대해 어렴풋한 예감이 뒤엉켜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야만으로의 회귀라는 1930년대 독일의 절박한 위기상황 속에서 세태를 초월하는 유유자적함이 아니라, 동시대 사회와 역사를 자신의 유년시절에 비추어 성찰함으로써 자신의 자전적 경험을 역사의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단순한 시간적 흐름에 따른 삶의 파편적 나열이 아닌, 자신이 유년시절 겪었던 이미지들의 길어올림을 통해 재구성된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위대한 사상가의 자전적 글로 이 두 글을 평가해서는 곤란하다. 단순한 자전적 성격의 글이라면 이 텍스트들이 그의 전체 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아졌을 것이다. 벤야민이 두 편의 글에서 보여주고자 했던 바는 철저히 개인적 경험의 차원을 넘어서 '역사적 경험'의 차원을 이야기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 책은 마르셀 프루스트의 자전적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와 같은 개인적ㆍ사적 차원을 넘어서 유럽 문화와 사회의 기초가 충격적으로 해체되고 파괴되어 가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쓴 것이다. 1938년판 서문에 다음과 같이 쓴 것이 이러한 사실을 입증한다. 즉??지나간 과거를 개인사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우연의 소산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필연적으로 통찰??하고자 했고, 유년시절의 이미지들 안에 ??미래의 역사적 경험??이??미리 형상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통상적인 자전적 글쓰기 스타일을 벗어난 텍스트 ― '단편적 이미지'들의 재구성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은 지난 삶을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서사적 총체성을 보여주지 않는다. 이 글이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이다. 여기서는 벤야민 자신의 과거의 삶이 '단편적 이미지'들로 재구성되고 있다. 벤야민이 변증법적 이미지에 관해 말하고 있듯이, 유년시절 회상이 성공하는가의 여부는 지난 과거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어떤 법칙이 아니라 위험의 순간에 스쳐 지나가는 이미지들을 포착하는가에 달려 있다. 또한 유년시절의 회상은 마치 잠에서 막 깨어난 자가 방금 꾸었던 꿈을 기억하며 동시에 그 꿈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이런 맥락을 이해한 다음, 두 텍스트를 읽어야 벤야민이 의도한 '베를린' 연작을 독해할 수 있을 것이다.
벤야민이 살았던 시대는 안정과 불안의 전조가 뒤엉킨 동요의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시민계급에게는 상대적으로 안정기라고 볼 수 있었지만, 그 안에서는 몰락의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도사리고 있었다. 더욱이 벤야민이 나치 집권 시기에 이 글을 썼다는 점은 '불안'의 이미지가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가 유추되는 대목이다. 따라서 유복한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물질적 풍요를 경험하면서도 시민가정의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반항이나 재난과 불행에 대해 어렴풋한 예감이 뒤엉켜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무메레렌」「색채들」, 「오락서적」, 「독일 청소년의 새 친구」 등에서 나타나는 행복한 시절과 「카이저 파노라마」나 「나비채집」 등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기운이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행복과 불안이 겹쳐진 유년시절 ― 1930년대 독일 시민사회의 세태를 이미지로 은유
야만으로의 회귀라는 1930년대 절박한 위기상황 속에서 세태를 초월하는 유유자적함이 아니라, 동시대 사회와 역사를 자신의 유년시절에 비추어 성찰함으로써 벤야민은 자신의 자전적 경험을 역사의 차원으로 끌어올린다.
그것은 단순한 시간적 흐름에 따른 삶의 파편적 나열이 아닌, 자신이 유년시절 겪었던 이미지들의 길어올림을 통해 재구성된 '역사'임에 틀림없다.

우리는 우리가 잊었던 것을 결코 온전히 되찾지는 못한다. 그 점이 어쩌면 좋을 수도 있다. 과거를 다시 찾게 된다면 그 충격이 너무 파괴적이어서 우리는 그 순간 왜 우리가 그토록 그것을 동경했는지 더이상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러한 동경을 잘 알고 있다.-p90 중에서

사랑하는 사람이 정원의 이곳저곳 길을 누비고 다니다 왔을 때 애인에게 제공할 다정한 장소로 그곳의 팔걸이 없는 벤치만한 것은 없었다. 나는 내가 앉은 자리에서 모래를 턴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이 모든 이미지들을 나는 기억 속에 보존하고 있다.-p190 중에서

기억의 현상판에 아무런 이미지도 남지 않을 때 그 이유가 언제나 너무 짧은 노출 시간 때문인 것은 아니다. 흔히 관습의 장막이 오랜 세월 동안 감광판에 필요한 빛을 가로막고 있는 경우들이 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치 마그네슘 분말에 불을 붙이기라도 한 듯 어디선가 빛이 생기면서 순간촬영의 이미지로 감광판에 공간이 찍힌다. 이렇게 생기는 비범한 이미지의 중심에는 언제나 우리 자신이 있다. 갑작스럽게 빛에 노출되는 순간들은 곧 우리가 자신의 울타리를 벗어나는 순간들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기억에서 아무리해도 파괴시킬 수 없는 이미지들이 떠오른다면 그것은 쇼크 속에서 우리의 심층적 자아가 겪은 이러한 희생 덕분이다.” -237p - 써니스프링

발터 벤야민 (Walter Bendix Schonflies Benjamin) (지은이)
독일 출신의 유대계 언어철학자, 번역가, 좌파 지식인으로서 한때 20세기 독일어권 최고의 비평가로 자처하기도 했다. 베를린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베를린, 프라이부르크, 뮌헨 대학 등에서 철학을 공부하던 중 나중에 평생의 친구이자 유대사상에서 지적 동반자가 된 게르숌 숄렘을 만난다. 전쟁을 피해 스위스로 간 그는 1919년 「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에 대한 연구로 베른 대학에서 최우등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신문과 잡지에 기고를 하고 번역가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1924년 교수자격 논문인 「독일 비애극의 원천」을 집필하지만 아카데미 세계로 진출하려던 계획은 결국 좌절하고 만다. 같은 해에 알게 된 연인 아샤 라치스 이외에 나중에 베르톨트 브레히트에게서 유물론적 사유의 영향을 받으면서 비평, 번역, 방송활동을 펼쳐나간다. 파시즘의 먹구름이 드리우기 시작한 유럽에서 스스로를 ‘좌파 아웃사이더’로 이해한 그가 택한 길은 교조적 마르크스주의에 거리를 두고, 유대신학적 사유와 유물론적 사유, 신비주의와 계몽적 사유 사이의 미묘한 긴장을 유지하면서 아방가르드적 실험정신에 바탕을 둔 글쓰기를 통해 현대의 변화된 조건 속에서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성찰하고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이었다. 1940년 벤야민은 당시 뉴욕에서 사회연구소(프랑크푸르트학파)를 이끌던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지원을 받아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하기 위해 프랑스를 탈출하던 중 스페인 국경 통과가 좌절되자 자결한다. 그로써 그가 13년간 매달렸던 프로젝트, 즉 마르크스의 ‘상품물신’의 구상을 상부구조(문화) 전체에 적용하여 19세기 자본주의와 모더니티의 근원을 고고학적으로 탐구하려던 필생의 저작 『파사젠베르크』(Das Passagen-Werk)는 미완으로 남는다. 스탈린-히틀러의 밀약을 접한 충격에서 쓴 유물론적 역사철학의 결정체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는 그가 남긴 최후의 글이다.

윤미애 (옮긴이)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독어독문학과에서 독문학을 전공했다. 독일 괴팅겐 대학에서 독문학과 사회학을 수학했으며,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동시대인 발터 벤야민: 가까움과 멂의 역설적 관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종교적 전회와 벤야민의 매체이론」, 「흔적과 문지방: 벤야민 해석의 두 열쇠」,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고전 읽기과 “기록시스템 1800”」 등이 있으며, 저서로 『발터 벤야민과 도시산책자의 사유』(2020)가 있다. 역서로는 『발터 벤야민』(2001),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공역, 2005),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 베를린 연대기』(2007), 『벤야민과 브레히트』(2015) 등이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벤야민을 비롯해 매체, 공간, 기억 등이다. 현재 서울대 독일어문화권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있다.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