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
▒ 배반당한 혁명 |
|
레온 뜨로츠키 지음 , 김성훈옮김 |
출판사 - 갈무리 |
초판일 - 1993-11-30 |
ISBN - |
조회수 : 3982 |
|
|
|
● 책 소개
이 책은 영국에서 발기한 IS의 국가자본주의론과 대조해볼 때 의미심장한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듯하다. 즉, 트로츠키가 직접 저작하고, 강조를 한 대목에서 트로츠키는 소련이 스탈린관료집단에 의해 기형화된 (그러나!) 노동자 국가임을 주장하고, 그 실천적 결론으로서 두가지를 내세웠다. 즉, 소련등에 대한 제국주의로부터의 군사적 방어와 소련을 국가자본주의라고 규정하는 일체의 논리(물론 트로츠키가 이 책을 쓸 당시에, 토니클리프의 '소련국가자본주의론'이 나오지는 않았으나, 거의 비슷한 맥락으로 카우츠키등이 소련을 국가자본주의라고 선차적으로 말했었음을 유의할 것)에 대하여 매서운 비판을 각세우면서 행하였다. 이러한 핵심적 맥락에서 트로츠키의 '트로츠키주의'는 토니 클리프의 '트로츠키주의'와 대비된다. 이에 대한 섬세한 판단은 독자들의 몫이다.
--------------------------------------------------------------
스딸린은 관료집단의 인격화이다. 실제로 관료집단은 그의 정치적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 사회의 양대 적대 계급이 서로 우위를 가릴 수 없는 격렬한 투쟁을 벌이는 시기에 국가권력은 사회 위에 군림하여 이들 계급들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존재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이 국가권력은 특권계급을 방어하는 데 필요한 자유를 부여받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 역사적 순간에 케사르 체제 또는 이것의 부르주아적 형태인 보나파르트 체제가 등장한다. 정치적으로 원자화된 사회 위에 경찰과 장교집단을 버팀대로 삼고 군림하면서 어떠한 세력의 통제도 받지 않는 스딸린 체제는 보나파르트 체제의 변종에 지나지 않는다. - 본문 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역자서문/7
서문/38
제1장 그 동안 무엇이 성취되었는가?
1. 공업 성장의 주요 지수들/43
2. 소련이 이룩한 업적에 대한 비교 평가/46
3. 인구 일인당 생산량/52
제2장 경제성장과 당 지도부의 좌충우돌
1. “전시 공산주의”, “신경제정책”, 쿨락에 대한 정책/57
2. 급선회 : “4년 내에 5개년계획을 완수하자”와 “완벽한 집단화”/67
제3장 사회주의 체제와 국가
1. 이행기 체제/78
2. 강령과 현실/82
3. 노동자국가의 이중적 성격/84
4. “일반화된 결핍”과 경찰기구/88
5.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와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강화”/92
제4장 노동생산성을 향한 투쟁
1. 화폐와 계획/96
2. “사회주의적” 인플레/99
3. 루블화의 복권/105
4. 스타하노프 운동/108
제5장 소련에서의 테르미도르 반동
1. 왜 스딸린은 승리했는가/115
2. 볼셰비키당의 퇴보/122
3. 테르미도르 반동의 사회적 기반/132
제6장 불평등과 사회적 적대관계의 증대
1. 궁핍, 사치, 투기/140
2. 노동자계급의 계층적 분화/146
3. 집단화 농촌의 사회적 모순/152
4. 관료지배층의 사회적 외관/157
제7장 소련의 가족, 청년, 문화
1. 가족 내부의 테르미도르 반동/164
2. 청년에 대한 관료집단의 억압/177
3. 민족과 문화/186
제8장 소련의 대외정책과 군대
1. “세계혁명”에서 “현상유지”로/200
2. 국제연맹과 코민테른/206
3. 적군(赤軍)과 그 군사이론/216
4. 민병대의 해체와 장교계급의 부활/225
5. 전쟁 상황의 소련/233
제9장 소련의 사회적 관계
1. 소련이 국가자본주의 체제인가?/249
2. 관료집단이 지배계급인가?/252
3. 소련의 사회 성격은 아직도 결정되지 않았다/255
제10장 새로운 헌법을 통해서 바라본 소련
1. “능력에 따른”일과 개인 재산/259
2. 소비에트와 민주주의/262
3. 민주주의와 당/266
제11장 소련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보나파르트 체제 : 정치적 위기의 산물/273
2. “계급의 적”에 대한 관료집단의 투쟁/278
3. 새로운 혁명의 불가피성/283
보론 “일국 사회주의”이론/289
□ 뜨로츠키 연보/305
□ 뜨로츠키의 영어판 저작들/313
□ 찾아보기/315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이 도서는 PDF 파일이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