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의 책 처음으로 | 사전 | 자유게시판 | 회원자료 | 로그인

 
사전프로젝트 - 맑스주의사상사전,인물대사전, 정치경제학사전
처음으로 > 잡지 > 계간지 > 경제와 사회 ( 8 권)
 


* 목차보기
* 이 책에 대한 의견
* 의견쓰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 이 책의 PDF 정보
1 - 경제와 사회 제29호 (3 MB)
경제와 사회 1996년 봄호 제29호
한국산업사회연구회 지음
출판사 - 한울
초판일 - 1996-03-20
ISBN -
조회수 : 1071

● 목 차

머리말 : 사회과학과 일상성의 세계/이종구 = 4

문제와 시각 : 대구 지역정서와 시민운동/김규원 = 126

학위논문 및 논평 = 251
현대사회에서 맑스 소외론의 의미/이홍균
맑스 소외론과 이론의 소외/김진업

서평 = 287
성찰적 자본주의와 성찰적 주체/조명래
S. 래쉬, J. 어리, 『기호와 공간의 경제』(1994)
강내희, 『공간, 육체, 권력』(1995)
경영참가운동에 대한 유의미한 보고서/김성오
조우현 편, 『세계의 노동자 경영참가』(1995)

특집 : 문화적 일상성과 비판적 이성
대중문화의 ‘과잉 담론’/원용진 = 10
영상문화시대의 주체/주은우 = 36
한국인의 종교적 일상성 – 그 빛과 그림자/최종철 = 56
한국인의 옷과 유행/현택수 = 83
한국인의 모임과 미시적 동원맥락/정수복 = 102

연구논문
정의롭고 지탱 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정책의 방향/구도완 = 134
50년대 노동계급의 계급해체/조돈문 = 160
- 노총의 호응성 전략과 노동자들의 저동원
일본적 생산시스템의 해외이전/엄창옥 = 199
- 『혼혈공장론』에 관한 재검토
일본 기업복지의 발전/조영훈 = 223
- 기업별 노조의 영향

맨위로맨위로

책 소개

한국산업사회연구회는 해방후 40년 가까이 누적되어온 분단모순과 급속한 경제성장에 의한 사회적 불평등·산업사회의 구조적 모순속에서 터져나온 광주 민주화 항쟁의 좌절을 딛고 1980년 이래 꾸준히 성장해 온 노동·농민운동 등 기충 민중운동의 성장과 더붙어 학문연구자들도 학문연구를 통해 사회개혁에 동참함은 물론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자각속에서 1984년 7월 20일 창립되었다. 창립 이래 꾸준히 진행되어온 월례발표회는 80회를 거듭하면서 진보적 학술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소개했고,연 2회를 개최하는 워크샾은 한국사회 성격논쟁을 촉발해 진보적 학술연구자들의 학문적 실천의 지평을 열었다. [산업사회연구]라는 책자를 2회 발간했고,『경제외사회』를 10회 발간해 학술계간지로 정착시키고 있다. 현재 국가·노동·도시·운동사·계급·문화 7개 분과로 조직되어 공동연구의 기반을 확충하고 있는 본회는 대학원 재학이상의 사회학 전공자들이 회원의 90%를 차지하는 사회학 연구자 대중단체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경제와 사회>1996년 봄호의 <특집>은 ‘문화적 일상성과 비판적 이성’이다. 원용진의 「대중문화의 ‘과잉 담론’」은 특집의 총론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가 넘치는 현상 자체가 고찰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는 이를 문화의 민주화를 가져오려는 반엘리트주의의 확산으로 해석하고 정치적 영역의 민주화만 생각하는 사고의 편협성을 지적하는 과감한 발상을 보여주었다. 다음에 주은우는 「영상문화시대의 주체」에서 일상성을 규정하는 시각 이미지를 다루고 있다. 그는 한국의 영상문회는 소비문화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모든 것이 기호와 이미지로 환원되는 소비사회의 우주에서 나르시시즘적 인간유형을 추구하는 미국적 추세를 따라가고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최근의 컴퓨터문화도 주체의 분열을 더욱 가속화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안방의 정신병동화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최종철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한국사회의 종교적 열기를 다룬 「한국인의 종교적 일상성-그 빛과 그림자」에서 다원화되고 있는 종교생활의 모습을 구체적인 예를 풍부하게 들어가며 분석하고 있다. 현택수는 「한국인의 옷과 유행」에서 옷입기의 상징적 의미를 찾으려 시도했다. 그는 물질적 소비대상이 된 현대사회의 옷에서 상품경제의 논리와 기호를 찾아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수복은 「한국인의 모임과 미시적 동원맥락」에서 혼자 있기를 두려워하고 모임을 좋아하는 한국인들은 군사독재 하에서 공적인 문제를 공적으로 해결하는 기제를 발전시키지 못하였으므로 인맥과 연줄이 중요하게 되었다는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와 활성화되고 있는 시민 주도의 사회운동을 분석하려면 미시적 동원맥락에 대한 고찰이 중요하다는 이론적 입장이 제시되어 있다. (머리말 中에서)

맨위로맨위로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1 - 경제와 사회 제29호 (3 MB)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맨위로맨위로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뒤로 | 목차보기 | 이분류의 목록으로

맨위로맨위로


HOME - 후원방법 안내 - CMS후원신청 - 취지문 - 사용 도움말 - 회원탈퇴하기

2002 노동자 전자도서관 "노동자의 책" 만들기 모임
120-702 서울시 중구 정동 22-2 경향신문 별관 202호 44
laborsbook@gmail.com
모바일버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