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볼셰비즘을 넘어서 |
|
독고종 지음 |
출판사 - 과학과사상 |
초판일 - 1994-03-20 |
ISBN - 9788979411006 |
조회수 : 2088 |
|
|
|
● 책 소개
마르크스의 1846년도 저작인 『독일 이데올로기』에는, 생산력의 미발전에 의한 교류관계가 낳게 되는 지역적 현상의 공산주의는 결국 미신에 둘러싸인 우물 안 개구리 신세가 될 것이며, 교류의 확장이 다시 지역적 공산주의를 없애버릴 것이라는 구절이 들어 있다. 그는, 공산주의는 오직 ‘일거의’ 또한 ‘동시적인’ 행동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이는 ‘세계적 교통의 보편적 발전’을 전제로 한다고 예상한다. 물론 그 ‘세계’라는 개념에 시대적 차이가 담겨 있기는 하지만, 1906년 트로츠키의 연속혁명이론은 마르크스와 맥이 닿는 이야기이다. 마르크스는 1846년 당시 유럽을 ‘세계’로 보았고, 1906년 트로츠키는 러시아와 유럽을 ‘세계’로 보았다. 필자는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한 소련 국가자본주의가, ‘지역적 공산주의’라는 적절치 않은 명칭으로 마르크스가 예견했던 상황에 부합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 연속 선상에 있는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거기에 가장 확실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경우라고 생각한다. -본문 중에서- ⓕ
맨위로
|
● 목 차
머리말 = 5
제1장 1905년을 전후한 러시아 사회민주주의의 혁명이론 = 13
1. 노동자해방단(1883)에서 제2차사회민주당대회(1903)까지 = 23
2. 멘셰비키의 '혁명적 야당' = 37
3. 볼셰비키의 '노동자 농민의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 43
(1)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강화시키는 민주주의 혁명 = 44
(2) 부르조아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가 얻는 것 = 49
(3) 부르조아 혁명인 '노동자 농민의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 53
(4) 혁명의 실질적 수혜자인 농민과 프롤레타리아의 예견되는 패배 = 61
(5) 레닌이 바라본 러시아 혁명과 유럽 혁명 = 77
4. 트로츠키의 '연속혁명론' = 88
(1) 러시아 혁명의 사회경제적 조건 = 90
(2) 혁명의 주도세력인 프롤레타리아 = 98
(3) 프롤레타리아 정부와 사회주의 정책 = 109
(4) 프롤레타이라 독재의 단 하나의 가능성 = 116
제2장 1차대전기의 러시아 사회민주주의 = 135
1. 레닌의『제국주의론』과 세계혁명론 = 139
(1) 1차대전의 성격과 레닌의『제국주의론』 = 140
(2) 레닌의 세계혁명론과 일국사회주의론 = 150
(3) 봉건적 군사적 제국주의 러시아와 '노동자 농민의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 177
2. 트로츠키의 유럽 사회주의 합중국 = 208
(1) 세계 사회주의 혁명의 과도기로서의 유럽 사회주의 혁명 = 209
(2) 러시아에서의 권력투쟁과 노동자정부 = 217
제3장 10월혁명과 볼셰비즘 = 225
1. 2월혁명과 러시아 = 231
2. 레닌과 10월혁명 = 249
(1) 4월 테제 이전의 볼셰비즘 = 249
(2) 이행기로 변신한 '노동자 농민의 혁명적 민주주의 독재' = 256
(3) 국가(독점) 자본주의라는 구도 = 268
(4) 이행기의 농업강령 '토지의 국유화' = 280
(5) 유럽 혁명에 대한 기대 = 304
3. 트로츠키와 10월혁명 = 315
제4장 트로츠키와 배신당한 연속혁명 = 353
1. 10월혁명과 제헌의회 = 360
2. 브레스트 - 리토프스크 조약을 둘러싼 드라마 = 381
(부록)
남북통일과 한반도 국민국가의 완성 = 431
1. 부르조아 혁명으로서의 러시아 혁명 = 434
2. 소련 국가자본주의의 사생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 438
3. 80년 이후의 남한의 정치운동이 빠진 함정 = 440
4. 결론 - 부르조아적 과제로서의 민족통일 = 447
'통일'에 관한 정성진씨의 기묘한 견해 = 452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