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의 PDF 정보
|
▒ 국가와 정치이론 |
|
마틴 카노이 지음 , 이재석,김태일,한기범옮김 |
출판사 - 한울 |
초판일 - 1998-10-30 |
ISBN - |
조회수 : 2969 |
|
|
|
● 책 소개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는 무엇인가? 국가는 무엇을 하고 어떻게 기능하는가? 국가는 자본가계급의 지배도구인가? 아니면 자본가의 직접적인 이해와 노동자,대중에 기반을 둔 사회운동의 이해 모두에 '대항'하는 독립적인 정치세력인가? 본서는 이와같은 문제들에 대하여 진지한 대답을 모색하고 있다....준비중 ⓕ
맨위로
|
● 목 차
서론 = 9
제1장 국가와 근대정치사상
1. '공동선'(Common Good) 국가이론 = 20
(1) 고전적 이론 = 22
(2) 자유주의 이론 = 33
2. 다원주의 : '공동선'에 대한 재해석 = 44
3. 조합주의 = 51
4. 결론 = 54
제2장 마르크스·엥겔스·레닌과 국가 = 57
제3장 그람시와 국가
1. 시민사회의 개념 = 82
2. 헤게모니와 국가 = 85
3. 급진적 변혁의 과정 = 95
(1) 헤게모니의 위기 = 95
(2) 진지전(陣地戰) = 98
(3) 지식인의 역할 = 103
4. 결론 = 106
제4장 구조주의와 국가 : 알뛰세와 풀란차스
1. 알뛰세 : 이데올로기와 국가 = 111
2. 니코스 풀란차스 : 국가와 토대의 유기적 관계 = 119
3. 초기 풀란차스 = 121
4. 밀리반드 - 풀란차스 논쟁 = 127
5. 후기 풀란차스 : 변증법적 구조주의 = 132
(1) 국가와 사회계급 = 132
(2) 국가와 계급투쟁 = 136
(3) 계급투쟁의 장소로서의 국가 = 147
6. 결론 = 152
제5장 독일 논쟁
1. 오페의 후기자본주의 국가론 = 158
(1) 국가의 계급성 = 159
(2) 국가에 가해지는 한계 = 162
2. 히르쉬의 국가도출론 = 168
3. 오페, 히르쉬, 풀란차스의 비교 = 176
제6장 국가, 민주주의 및 사회주의로의 이행
1. 꼴레띠의 레닌론 = 187
2. 보비오의 대의 민주주의 대안(代案)론 = 189
3. 민주주의와 계급투쟁 = 196
(1) 잉그라오의 대중민주주의 = 196
(2) 풀란차스의 견해 = 201
4. 몇 가지 결론 = 205
제7장 종속국가
1. 선구자들 = 209
(1) 마르크스·엥겔스와 식민주의 = 209
(2) 레닌의 제국주의론 = 212
(3) 모택동과 중국혁명 = 214
2. 세계체제 모델과 종속국가 = 221
3. 역사적 - 구조적 종속 = 230
4. 라틴아메리카의 신권위주의 = 236
제8장 현대 미국 정치이론에서의 계급과 국가
1. 자본가 계급과 국가의 관계 = 252
(1) 권력구조 연구 = 252
(2) 계급타협과 사회민주주의 = 256
(3) 후기 구조주의의 비판 = 260
2. 자본축적, 정당성, 국가의 관계 = 266
3. 계급투쟁과 국가 = 279
제9장 국가론은 어디로?
1. 자본주의 국가에 대한 자유주의 및 조합주의 이론 = 294
2. 계급관점의 국가론 = 298
3. 계급관점 이론의 정치적 의미 = 305
4. 앞으로의 연구 방향 = 308
참고문헌 = 311
옮긴이 후기 = 323
ⓕ
맨위로
|
|
● PDF 원문 파일 정보
PDF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개발사인 Adob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Adobe
Reader(한글판)를 다운받아 설치하셔야 합니다. |
● 이 도서에 대한 의견들
|
맨위로 |
|
댓글을 남기려면 로그인하세요.
|